당뇨병 혈당관리 기본, '혈당지수' 낮은 식품 먹어라 [메디컬투데이 윤주애 기자] 혈당지수가 낮은 식사가 1형당뇨병과 2형당뇨병을 앓는 사람에서 혈당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시드니대학 연구팀이 'Cochrane review'지에 밝힌 402명을 대상으로 한 과거 진행된 11종의 임상시험결과를 분석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저혈당식사를 할 시.. 당뇨병 2009.01.23
만보걷기 안녕하세요. 당뇨가족 여러분! 2008년도 마무리되어 가고 있습니다. 한 해 동안 혈당관리를 위해 열심히 운동을 하셨나요? 겨울이라 몸이 움츠러들기 쉬운데, 운동을 도와줄 수 있는 전략을 한 가지 알려드리겠습니다. 당뇨환자들에게 어떻게 운동하고 있는지 여쭈어 보면 “걷는다" 고 말씀하시는 경.. 운동 2009.01.22
경계형 당뇨병엔 1박 2일 교육입원 효과적 【일본】 일본에서 실시된 연구에 따르면 내당능이상(IGT) 증례에 1박 2일 입원교육과 3개월 마다 보건지도를 통해 생활습관을 개선시킬 경우, 주치의로부터 정기적인 진찰만 받은 경우에 비해 3년 후 2형 당뇨병 발병률을 42% 억제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Diabetes Care ). 2형 당뇨병 이행 42% 억제 니가타.. 당뇨병 2009.01.22
미국 당뇨병환자 10년간 90% 증가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 미질병관리센터(CDC)에 의하면 과거 10년간 미국에서 진단된 신규 성인 당뇨환자는 약 90%증가했다. CDC 당뇨병 연구부문 카렌 커틀랜드(Karen Kirtland) 박사팀이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에 발표됐다. 효과적인 예방필요성 강조 이번 데이터에서 33개 주에서 과거 10년간 .. 당뇨병 2009.01.22
2형 당뇨병치료 복잡·고비용 美전체 의료비 10% 넘어, 신약 처방탓 【시카고】 시카고대학병원 내과 칼렙 알렉산더(G. Caleb Alexander) 박사팀은 2형 당뇨병 성인환자의 치료가 좀더 복잡해지고 고액화되고 있다고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에 발표했다. 미국에서는 2000년에 1,100만명 이상이 당뇨병으로 진단됐다. 하지만 2050년까지 2,900만.. 당뇨병 2009.01.22
'대기오염' 당뇨병 유발할 수 있다 [메디컬투데이 김범규 기자] 대기오염이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미국내에만 약 2400만명이 당뇨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 같은 수치는 향후 20년내 2배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의료진들은 식습관과 운동이 당뇨병 발병에 있어서 결정적 역할을 할 수 .. 당뇨병 2009.01.21
다이어트, 저탄수화물 섭취가 저칼리 식사보다 효과 좋아 [메디컬투데이 윤철규 기자] 저탄수화물 식사를 하는 사람들이 저칼로리 식사를 하는 사람들에 비해 에너지원으로 간내 지방 산화에 덜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UT Southwestern 의료센터 연구팀이 'Hepatology' 저널에 밝힌 14명의 과체중 혹은 비만인을 대상으로 한 이 같은 연구결과는 당뇨병, 인.. 비만 2009.01.21
"119 살려주세요" 고혈압·당뇨 환자 응급이송 급증 출동 37만건 25만명 이송 연 4.3% 증가 [메디컬투데이 김범규 기자] 혈압, 당뇨, 심장질환 등으로 의료기관에 실려 간 환자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는 2008년도 119구급활동 현황을 분석한 결과 총 37만6224건 출동으로 25만787명을 응급의료센터 등 의료기관에 이송했다고 밝.. 건강한 생활 2009.01.19
코카콜라 '비타민워터' 비만·당뇨병 유발 논란 [메디컬투데이 윤주애 기자] 코카콜라사의 비타민워터(vitaminwater)를 자주 마실 경우 만성질환 발병 위험이 감소하기는 커녕 오히려 비만이나 당뇨병 발병 위험이 높아질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됐다. 18일 미국의 소비자단체인 공익을 위한 과학센터(CSPI, Center for Science in the Public Interest)는 .. 먹거리와 건강 2009.01.19
'멜라토닌' 분비 유전자변이, '당뇨병' 유발 [메디컬투데이 김지효 기자] 공복시 혈당증가및 2형 당뇨병 발병 위험 증가와 연관된 새로운 유전자 변이가 규명됐다. 18일 독일 Helmholtz Zentrum München 연구팀 등을 포함한 국제 연구팀 등이 '네이쳐유전학저널'에 밝힌 연구결과에 따르면 이 같은 유전자 변이가 공복시 멜라토닌 분비를 통해 간접적.. 당뇨병 2009.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