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가진 암환자 총 사망률 높아 【미국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암진단 당시 당뇨병을 갖고 있던 환자의 총 사망률은 당뇨병이 없는 환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존스홉킨스보건대학원 베타니 바론(Bethany Barone) 씨는 23건의 시험을 대상으로 한 메타분석 결과, JAMA에 발표했다. 암의 종류별로 총 사망률의 상승을 보면 자궁내막.. 생활습관병 2009.04.01
당뇨병+고혈압환자 혈압관리 특히 중요 【뉴욕】2형 당뇨병과 고혈압을 일으킨 환자에는 ACE억제제나 β차단제를 이용한 엄격한 혈압관리가 대단히 중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영국 처칠병원 옥스퍼드당뇨병·내분비·대사센터 루리 홀먼(Rury R. Holman) 박사팀이 발표한 이번 결과는 신규 2형 당뇨병 환자 5,102례를 무작위 배정하여 4년간.. 생활습관병 2009.04.01
종신보험보다 좋은 ‘걷기보험’ 치매 유발하기 쉬운 당뇨·고혈압에 효과 [메디컬투데이 민승기 기자] 신체 건강한 사람이라면 하루에 한 걸음도 걷지 않는 사람은 없다. 일상 생활에서 가장 자연스럽게 이뤄지는 ‘걷기’는 생활속에서 가장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유산소운동이다. 최근 관절염으로 고생하는 최모(54)양은 “최근 .. 운동 2009.03.30
'캐나다·미국'등 젖병등 '비스테놀 A' 퇴출 열풍 [메디컬투데이 곽도흔 기자] 미국 내 비스페놀 A 라는 논란이 되고 있는 유해성분을 함유한 우유병 등을 제조해오던 회사들이 이 같은 제품속 비스테놀 A을 제거하기로 해 화제가 되고 있다. 최근 미국내 6개 회사들은 우유병등 병에서 비스테놀 A를 제거 소비자들의 요구에 응하기로 결정했다라고 .. 여성·유아 건강 2009.03.16
흡연량 많은 젊은 '골초', 심장마비 조심! 30~40대 젊은 심근경색 환자, 4명 중 3명 ‘골초’ [메디컬투데이 박엘리 기자] "연초 금연계획, 잘 지키고 계십니까?" 흡연량이 많은 30~40대 젊은 층에서도 심근경색이 늘어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0일 강남세브란스병원에 따르면 심장혈관센터 홍범기 교수팀이 지난 2년간 응급실을 통해 내.. 흡연 2009.03.11
`인슐린 저항성` 유발 근본인자 발견…당뇨병 치료 전기 구승회 성균관대 교수팀 국내 연구진이 당뇨병 발병의 주요 원인인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하는 근본인자를 발견, 당뇨병 치료의 중요한 전기를 마련했다. 구승회 성균관대 의대 분자세포생물학 교수(40)팀은 간에서 포도당 생성을 조절하는 인자 중 하나인 'TORC2'가 지방합성에 관여하는 'LIPIN1' 단백질.. 당뇨병 2009.03.05
우울증상 내장지방 증가유발 【시카고】네덜란드자유대학의료센터 정신과 니콜 보겔장스(Nicole Vogelzangs) 교수팀은 우울증상을 보이는 고령자는 체지방이 아닌 내장지방이 축적될 가능성이 높다고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에 발표했다. 코르티졸 관련 이번 논문에 따르면 고령자의 약 10∼15%는 우울증상을 보인다. 보겔장스 교수는 .. 건강한 생활 2009.02.28
당뇨병 치료 메커니즘 세계 첫 규명 삼성서울 이명식 교수팀…글리벡, 소포체스트레스 감소시켜 원인 조절 美 Diabetes 게재, 당뇨병 신개념치료제 개발 전망 백혈병 치료제로 잘 알려진 항암제 글리벡(스위스 노바티스가 개발한 골수암치료제)이 제2형 당뇨병의 근본적 원인치료에도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국내연구진에 의해 세계 처음으.. 당뇨병 2009.02.26
건보, 녹색건강실천 건강증진센터 개설 국내 최첨단 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 무료 제공 검진결과 심·뇌혈관 질환 관련 건강주의…영양상담 병행실시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서울 강남서부지사에 국민건강증진센터를 개설하고 지난 20일부터 국내 최첨단의 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에 착수했다. ▲국민건강증진센터 개소 건보공단은 건강한 삶.. 카테고리 없음 2009.02.24
美청소년 당뇨치료제 사용량 증가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 미국 5∼19세 청소년의 2형 당뇨병 치료제 사용이 2002∼05년에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인트루이스대학 소아과 도나 할로란(Donna R. Halloran) 교수와 미국 약물공급관리회사(PBM)인 Express Scripts사의 에밀리 콕스(Emily R. Cox) 박사는 Pediatrics에 이같이 발표했다. 특.. 아동·청소년·청년 건강 2009.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