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나가는 청소년, 5년간 8만명 넘어 일부 가출청소년, 용돈마련 위해 성매매도 불사 [메디컬투데이 윤주애 기자] 청소년 가출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가족위원회 소속 손숙미 의원은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가출청소년 신고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5년간 집을 나가거나 실종된 아동 및 청소년은 총 8만6085.. 아동·청소년, 청년에게 꿈을 2009.05.11
고지혈증 환자 상당수 "고지혈증이 뭔데?" 800명 환자 대상 설문 결과 국내 고지혈증 환자 상당수는 정작 자신의 질환에 대해 잘 모른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7일 약물시판후조사연구회(회장 김영식 울산의대 가정의학과)는 지난 2007년부터 지난 3월까지 20개 병의원 24명의 가정의를 방문한 고지혈증 환자 8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 이상지질혈증 2009.05.08
사고에 의한 어린이 사망률, 한국은 몇위? 한국은 3위···여전히 높은 수준 [메디컬투데이 권선미 기자] 통계청은 사고에 의한 어린이 사망률을 OECD 국가별로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멕시코와 미국의 뒤를 이어 3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통계청에 따르면 2007년 사고에 의해 사망한 어린이는 총 561명이며 1997년 대비 1/3 수준.. 아동·청소년·청년 건강 2009.05.07
광범위 약제내성결핵 심각한 결과 초래 다제내성결핵환자보다 치료실패율 4배, 사망률 3배 【뉴욕】 광범위 약제내성결핵(XDR-TB)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사망률도 과거보다 높아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단국대의대 김도형 교수는 한국의 다제내성결핵(MDR-TB) 환자 1,407례를 초기치료 후 3∼7년간 추적조사한 의료기록을 재검토한 결과, XDR-TB환.. 면역질환·감염병 2009.04.29
정신질환 1주이상 결근하면 사망위험↑ 男 소화기계 女 비뇨기계, 병가빈도 여성이 많아 【런던】 정신질환으로 1주 이상 결근할 경우 사망위험이 높아진다고 런던대학역학·보건대학원 제인 페리에(Jane Ferrie) 박사팀이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에 발표했다. 페리에 박사팀은 프랑스 GAZEL 시험에 등록된 약 2만명의 병가 기록을 검토.. 정신건강 2009.04.28
국민 5명중 1명은 '불면증' 호소 11%는 잠들었다 다시 깨…소득 낮을수록 심화 조용원 계명의대 교수, <임상신경학회지> 3월호 게재 우리나라 성인 5명 중 1명은 불면증에 시달린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조용원 계명의대 교수(동산병원 신경과)는 대한수면연구회와 공동으로 전국의 21~69세 성인남녀 5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 정신건강 2009.04.28
"실업자 100만 시대...가장들의 위기" 강성옥 앵커 ( 이하 강성옥 ) : 실업자 100만 명 시대가 눈앞에 현실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 발표를 보면 지난달 실업자 수는 95만 명을 넘어서 조만간 100만 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반면 취업자 수는 1년 전에 비해 19만 명 이상이 줄어 지난 99년 외환위기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세를 보.. 공동체사회 2009.04.26
헬리코박터 감염율 '뚝' 우리나라 성인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률이 최근 들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대의대와 연세대의대가 1998년부터 2005년까지 두 병원을 찾은 17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헬리코박터 감염율이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여 2005년 40.0%를 기록했다. 1998년에는 64.7%였다. 조사 대상.. 소화기계 질환 2009.04.23
규칙적 내시경 검사, 위암 판정 96%가 1기 <앵커 멘트> 위암은 한국인 암 발생 1위지만,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예방이 가능합니다. 규칙적으로 위내시경을 받은 사람은 위암이 발견되더라도 96%가 완치가 가능한 1기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충헌 의학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일주일 전 위암 수술을 받은 60대 남성입니다. 정.. 건강검진 2009.04.22
월경증후군 전문의 치료 기피경향 99%경험-유병률 34%…전문의 상담 10%만 바이엘, 한국여성 월경전증후군 현황 조사 우리나라 여성 99%가 월경 전 증상을 경험하고 3명 중 1명(34%)이 월경전증후군을 경험하고 있으며, 월경전증후군 여성 중 약 80%(79%)가 이로 인해 일상생활에 영향을 받고 있지만 대부분 전문적인 치료를 받지 않고 있는 것.. 여성·유아 건강 2009.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