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질환·감염병

광범위 약제내성결핵 심각한 결과 초래

pulmaemi 2009. 4. 29. 07:12
다제내성결핵환자보다 치료실패율 4배, 사망률 3배

【뉴욕】 광범위 약제내성결핵(XDR-TB)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사망률도 과거보다 높아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단국대의대 김도형 교수는 한국의 다제내성결핵(MDR-TB) 환자 1,407례를 초기치료 후 3∼7년간 추적조사한 의료기록을 재검토한 결과, XDR-TB환자는 MDR-TB환자에 비해 치료 실패율이 4배 높고 사망률은 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에 발표했다.

MDR-TB 환자 1,407례 검토

이번 연구에 따르면 MDR-TB환자 1,407명 중 75명(5.3%)이 XDR-TB였다. 또한 치료포기율은 32%(453명)로 높았다.

XDR-TB환자는 MDR-TB환자에 비해 나이, 세컨드라인의 TB치료제 투여율, 질환 진행도가 유의하게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TB치료경험이 2회 이상이었으며 치료시작 당시에 입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치료 성공률은 XDR-TB가 아닌 MDR-TB(이하 MDR-TB) 환자의 46.2%인데 비해 XDR-TB환자에서는 29.3%였다(P=0.004).

XDR-TB에서는 전체 사망률(XDR-TB환자 49.3%, MDR-TB환자 19.4%, P<0.001)과 TB관련 사망률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41.3%, 11.8%, P<0.001).

또한 치료 성공률을 높이는 방법은 외과적 개입 뿐인 것으로 나타났다[위험비(OR) 3.87, 95%신뢰구간(CI) 1.69∼8.88, P=0.001].

다변량분석에 따르면 XDR-TB의 존재가 치료 성공률(OR 0.23, 95%CI 0.08∼0.64, P=0.005), 전체 사망률[위험비(HR) 3.25, 95%CI 1.91∼5.53, P<0.001], 및 TB관련 사망률(HR 4.45, 95%CI 2.48∼8.00, P<0.001)과 유의하게 관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발률은 MDR-TB환자가 8.8%인데 비해 XDR-TB환자에서는 13.6%로 높았지만 유의하지는 않았다(P=0.436).

적극적 치료와 증례 관리 필요

세계보건기구(WHO) 결핵·폐질환공동센터 지오반니 바티스타 미글리오리(Giovanni Battista Migliori) 박사팀은 관련논평(2008; 178: 1000-1001)에서 김 교수팀이 조사한 XDR-TB환자에는 2∼3종류 이상의 약물을 투여받은 사람이 거의 없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더 많은 약제나 기타 개입법을 이용하면 결과는 달라졌을 수도 있다. 김 교수팀이 코호트에서 이처럼 XDR-TB관련 사망률이 높았던 것은 투여 약제가 적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고 설명했다.

과거 페루 및 러시아에서 실시된 연구에서는 치료 성공률이 각각 60.4%, 48%이고 사망률도 높아지지 않았다.

박사팀은 “이러한 연구에서는 환자에 대해서 2가지 이상의 개입법을 병용했기 때문에 적극적 치료법과 부작용 관리 뿐만 아니라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뛰어난 사회적 지원도 편성해 제공했다. 이 2건의 연구 성공률은 우연이라고 생각되지는 않지만 XDR-TB환자에는 적극적 치료와 증례 관리가 최선임을 보여준다”고 언급했다.

김 교수팀의 연구에서 주목할 점은 외과적 절제가 MDR-TB와 XDR-TB의 양쪽 모두에 치료를 성공할 수 있는 유일한 예측인자라는 사실이다.

미글리오리 박사팀은 다른 연구자들이 외과적 개입에 관해서 같은 견해를 보이고 있고 이 문제에 관한 대규모 연구가 아직 끝나지 않은 상태라는 점을 언급하면서 “수술이나 영양공급 등 결핵 치료의 초기부터 실시하는 개입법 가운데 몇가지는 유용성이 재고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예방이 최선책

미글리오리 박사팀은 XDR-TB에 관한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다음과 같이 결론내리고 있다.

(1) 적극적 치료에 따른 이득은 아직 충분히 평가돼 있지 않지만 XDR-TB환자에 적극적 치료를 하지 않아 발생하는 비용은 환자 개인과 공중보건에 부담이 될 것이다

(2) 의학적인 개입은 매우 중요하지만 이것만으로는 최적의 결과를 얻을 수 없다. 즉 보조적 요법이나 심리학적 서포트가 양호한 결과를 얻는 열쇠가 된다

(3) XDR-TB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환자 모집단을 대상으로 한 조직적인 연구를 실시하고, 표준적인 정의나 결과 척도를 이용해 대표적 데이터를 수집해야 한다
박사팀은 WHO 결핵부문 마리오 라비글리온(Mario C. Raviglione) 박사팀이 Lancet(2006; 367: 952-955)에 발표한 연구를 인용하면서 “현재로서는 강력한 의료시스템에 근거한 적극적인 결핵 예방 프로그램이 XDR-TB의 예방의 최선책”이라고 강조했다.

 김준호 기자


관련기사
다제내성 결핵발생 역대 최고  메디칼트리뷴 (04.24)
중환자실 다제내성균 ‘심각’  메디칼트리뷴 (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