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환자 연평균 25% 증가 작년 健保 진료환자 13만7000명…총진료비 3800억 80대 이상, 5만7000명으로 '01년 比 7.5배 급증 '06년 이후 평균진료비 증가율 28.1% 지난 '01년∼'08년까지 8년간 '기질성 정신장애' 유형인 '치매질환'의 실진료환자수가 연평균 25%씩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지난해 '치매' 건강보험 실진료환자수는 .. 뇌·심혈관계 질환 2009.09.15
고령자, 적당한 음주가 '치매' 예방 [메디컬투데이 김지효 기자] 고령자에서 적당한 양의 술을 마시는 것이 전혀 술을 마시지 않는 사람에 비해 치매가 발병할 위험이 낮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31일 호주국립대학 연구팀이 '미일반정신의학저널'에 밝힌 전 세계 1만명 이상을 대상으로 음주와 치매간 연관성에 대해 연구한 총 15종의 .. 뇌·심혈관계 질환 2009.08.31
'호흡검사' 만으로 폐암 정확 조기 진단 '금 나노' 검사법 개발 [메디컬투데이 민승기 기자] 금 나노입자로 만든 센서가 환자의 호흡 속 폐암을 감지해 X 레이상 폐암 병변이 나타나기 이전 부터 폐암 진단을 해 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Nature Nanotechnology'지에 발표된 연구결과에 의하면 이 같은 혁신적인 장비가 의료진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기에 경제.. 건강검진 2009.08.31
남성 골다공증환자 지속 증가 최근 5년간 1.3배…60세이상 남성 2배이상 작년 골다공증 진료비 575억…올 5월 현재 326억 최근 5년('04년-'08년)간 골다공증 환자수가 1.3배 가량 늘어난 가운데, '06년 이후 환자수는 매년 10% 이상의 증가율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성 골다공증환자는 5년간 1.8배 증가함으로써 여성(1.4배)보다 더 .. 근골격계·신경계 질환 2009.08.27
폭죽 안전사고 주의…자칫 손가락 절단까지 한국소비자원, 폭죽 안전사고 주의보 발표 [메디컬투데이 김지효 기자] 최근 폭죽으로 인해 화상을 입거나 갑작스러운 폭발 등으로 손가락이 절단되는 등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중략) 또 위해내용을 살펴보면 화상사고가 27건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었으며 다.. 건강한 생활 2009.08.19
귓병 연중 8월 '최다' 발생 심평원, 여름철 물놀이 주의 당부 귓병(외이염) 환자는 연중 8월중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송재성)은 지난 '06년∼'08년까지의 건강보험 심사결정자료를 분석한 결과, 외이염 환자가 매년 8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17일 밝혔다. 실제로 매년.. 눈·코·귀·피부 2009.08.18
노인성병 급증세 예방대책 없나. 음성적 성접촉으로 확산 추세 불구 사회적 무관심 방치 성에 무지, 치료않고 방치---성교육 및 치료 유도 절실 '노인의 성' 인정하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도 중요 노인성병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학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늘어나고 건강하게 오래 사는 노인이 증가했.. 저출산·고령화 사회 2009.08.18
'골다공증'만 예방해도 오래산다 [메디컬투데이 남연희 기자] 골다공증에 의해 골반골절이 발생한 사람들과 척추골절이 발병한 사람들이 발병 5년 후 사망할 위험이 각각 25%, 16%에 이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6일 맥마스터대학 연구팀이 밝힌 총 8000명 가량의 50세 이상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골반골절이 발병한 사람.. 근골격계·신경계 질환 2009.08.17
왕따 조기치료 필수 【시카고】 지속적으로 따돌림(왕따)을 당하는 어린이는 사춘기에 정신병성 증상을 일으키는 경향이 강해 조기 치료가 필수라고 영국 워윅대학 보건과학조사연구소 안드레아 슈라이어(Andrea Schrier) 박사팀이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에 발표했다. 약 반수의 어린이가 경험 정신병성 증상을 보이는 어린.. 아동·청소년·청년 건강 2009.08.11
사회경제적 약자 사망위험 높다 영국, 심장수술 후 생존율에 격차 2009년 07월 29일 (수) 08:41:08 김준호 기자 jkim30@medical-tribune.co.kr 【뉴욕】 가장 못사는 지역이 가장 잘 사는 지역에 비해 심장수술 후 사망 위험이 매우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버밍검대학병원 심장흉부외과 도메니코 파가노(Domenico Pagano) 박사팀은 영국에서 실시한 .. 뇌·심혈관계 질환 2009.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