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젤발전소 미세먼지 감축 기술 개발…내년부터 도서 지역 적용 한전 "백령도 시작으로 국내 56개 섬 지역 순차적 적용 검토" [메디컬투데이 김동주 기자] 내년부터 도서 지역을 중심으로 디젤발전소 오염물질 감축 기술이 적용된다. 30일 한국전력공사에 따르면 한전은 세계 최초로 디젤발전소 오염물질 감축 기술을 개발, 오는 7월까지 실증 연구를 .. 직업·환경성질환, 안전 2017.05.31
문재인 대통령 미세먼지 공약 이행 점검…'미세먼지 안녕'에서 확인가능 서울환경운동연합, 공약 이행 상황 페이지 개설 [메디컬투데이 최성수 기자] 환경단체가 문재인 대통령의 미세먼지 공약이 이행되는지를 점검하는 사이트를 운영한다. 서울환경운동연합은 미세먼지 온라인 플랫폼 '미세먼지 안녕(byedust.net)'에 문재인 대통령의 미세먼지 공약 이행 상.. 직업·환경성질환, 안전 2017.05.19
문재인 정부 미세먼지 30% 줄이기 대책은?…"석탄발전ㆍ경유차부터" 공정률 10% 미만 석탄발전소 9기…건설여부 재검토 [메디컬투데이 최성수 기자] 미세먼지 문제가 국민들의 최대 관심사 중 하나로 떠오르면서 문재인 대통령이 앞으로 펼쳐나갈 미세먼지 감축정책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선거운동 과정에서 지난달 13일 임기 내 국내.. 직업·환경성질환, 안전 2017.05.11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내놓았지만…여전히 대책 ‘부족’ 환경단체 “수도권 치중된 미세먼지 개선 대책 범위 확장해야” [메디컬투데이 고승아 기자] 정부가 ‘미세먼지 특별대책’에 이어 ‘비상저감조치’ 시행을 발표하면서 미세먼지 대책을 마련해나가고 있다. 그러나 미세먼지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중국발 미세먼지 등에 대한 대책.. 직업·환경성질환, 안전 2017.01.06
수도권 미세먼지 45% 줄인다 환경부, 2차 수도권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2015~2024년) 확정 [메디컬투데이 김경선 기자] 환경부는 지난 12월26일 열린 수도권대기환경관리위원회에서 2차 수도권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이하 2차 수도권 기본계획)을 심의해 확정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계획은 ‘맑은 공기로 건강한 10.. 직업·환경성질환, 안전 2014.01.02
반복학대 받는 아동, 대책없나? 학대가해자 개선이 반복학대 예방하는 길…법적 근거 반드시 마련돼야 [메디컬투데이 신은진 기자] 아동은 보호받아야 할 사회적 약자다. 하지만 최근 아동보호시설과 가정에서 학대받는 아동들이 보도되면서 아동학대의 심각성이 또다시 주목받았다. 특히 아동학대의 경우 학대가 .. 아동·청소년·청년 건강 2013.05.07
"날 아무도 이해못해"…자살 위기의 청소년을 도우려면? "끊임없는 희망 불어넣어줘야" [메디컬투데이 이슬기 기자] 청소년들의 자살이 해마다 늘어나고 있지만 정작 자살위기에 놓인 청소년들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부족해 그들에게 다가가는 법이 필요하다. ◇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청소년 자살' 청소년 자살은 전체 사망률 중 교통사고에 이어 2위를 .. 아동·청소년·청년 건강 2011.08.29
政, 노숙인·부랑인 대책 확 바꾼다 연내 '노숙인·부랑인 복지법' 제정 추진 陳 복지, 15일 서울역 앞 노숙인 지역 현장방문 실시 앞으로 노숙인 보호체계의 미흡함에서 발생하는 문제가 노숙인·부랑인 복지사업에 대한 전면적인 손질을 통해 상당부분 해소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올해를 노숙인·부랑인 복지사업의 패러다임 전환.. 공동체사회 2011.02.15
WHO “매년 250만 명 술 때문에 사망” 【제네바=AP/뉴시스】정진탄 기자 = 세계보건기구(WHO)는 11일 매년 250만 명이 술 때문에 사망하고 있으며 각국은 이를 막기 위한 대책을 더 강구해야 한다고 밝혔다. WHO는 전 세계 사망자의 4%는 술로 인한 것이며 술 관련 사망의 주요 원인은 취했을 때 입은 부상, 암, 간경변증, 심장질환, 뇌졸중 등이라.. 음주 2011.02.12
조기발견 어려운 '노인학대'…"남일이라 참견 못한다(?)" 사회적 안전망 대책마련 시급해 ▲노인학대 지속기간(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메디컬투데이 김록환 기자] 노인학대가 심각한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지만 특성상 조기발견이 어려운데다 '개입'이라는 인식이 강해 여전히 횡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노인학대의 원.. 저출산·고령화 사회 2010.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