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력 낮은’ 어린이들 노로바이러스에 노출 회복 후 최장 2주 이내에도 타인에 전염 가능성 [메디컬투데이 남연희 기자] 장염의 주원인으로 알려진 노로바이러스. 이 바이러스는 얼음 속에서도 장기간 생존이 가능하고 단 10개의 입자로도 감염시킬 수 있는 등 저온에서 잘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 아동·청소년·청년 건강 2017.03.27
한겨울 급증하는 식중독 경보…노로바이러스 예방법은? 손씻기-끓여먹기-익혀먹기 식중독 예방 3대 원칙 [메디컬투데이 김동주 기자] 지난달 일가족 9명이 대형마트에서 구매한 생굴을 먹고 단체로 설사와 복통 증세를 보여 병원에 긴급 후송됐다. 미국의 한 학교에서는 1000명이 넘는 학생이 집단 식중독 증세를 보여 휴교령이 내려지기도 .. 소화기계 질환 2017.02.10
겨울철 갑작스러운 설사와 구토…혹시 노로바이러스 감염? 온도가 떨어지면 노로바이러스 생존기간 더 길어져…겨울철에 발생多 [메디컬투데이 김혜인 기자] < #회사원 A씨는 업무 중 갑작스럽게 두통과 오한을 느끼고 설사를 했다. A씨는 중요한 업무 미팅을 앞두고 화장실을 들락날락 하다 걱정되는 마음에 병원을 찾았고 노로바이러스에 .. 소화기계 질환 2016.11.18
겨울철 늘어나는 장염…3명 중 1명은 10세 미만 어린이 “물 끓여 마시기, 손 씻기 등으로 예방해야” ▲2014년 장염 연령별 진료인원(표=심사평가원 제공)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 추운 겨울철 장염 환자가 집중 발생한다. 특히 장염 환자 3명 중 1명은 10세 미만 소아인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최근 5년간(2010~2014년) ‘장 .. 아동·청소년·청년 건강 2015.12.11
겨울철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주의…“익혀 먹고, 끓여 드세요” 겨울철 식중독 환자 중 55%가 ‘노로바이러스’ 때문에 ▲노로바이러스 예방법(사진=식약처 제공) [메디컬투데이 김수현 기자] 겨울철에 노로바이러스로 인한 식중독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손 씻기, 익혀먹기, 끓여먹기 등 개인위생과 식품위생 관리에 세심한 관심이 필요하다.. 면역질환·감염병 2015.11.18
겨울철 노로바이러스로 인한 식중독 빈번…위생관리 주의해야 손 씻기, 익혀먹기, 끓여먹기 등 개인위생 관리 중요 [메디컬투데이 남연희 기자] 겨울철에도 노로바이러스로 인한 식중독이 자주 발생하고 있어 개인위생 관리와 식품조리 위생에 주의가 요구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최근 추운 겨울철에도 노로바이러스로 인한 식중.. 면역질환·감염병 2015.01.14
식중독균, 냉장·냉동상태에서도 죽지 않는다 음식물 냉장보관도 2일 이상 넘기면 위험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 강렬한 햇살로 낮 최고 온도가 30도를 웃도는 등 때 이른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면서 식중독 발생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최근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햄버거를 먹은 고등학생들이 단체로 식중독에 걸렸.. 면역질환·감염병 2014.05.23
전염성 높은 노로바이러스, 소량에도 감염 우려 ‘주의’ 평균 24시간 잠복기 거쳐 구토와 설사 동반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 소량으로도 감염의 우려가 있는 노로바이러스 주의보가 발령됐다. 10일 건국대병원은 노로바이러스는 소량으로도 감염성이 높은 것이 특징이며 감염자가 접촉한 물건에 묻은 바이러스가 입에 들어가 감염되는 .. 면역질환·감염병 2014.01.13
설사와 구토 일으키는 ‘노로바이러스’, 어떤 질병일까 온도가 내려갈수록 활발해지는 겨울철 식중독 바이러스 [메디컬투데이 박으뜸 기자] 찌는듯 한 무더위에는 음식이 쉽게 상해 ‘식중독’의 위험이 높아진다. 대부분의 세균들은 높은 습도와 온도에서 활발해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식중독 바이러스 중 기온이 낮을수록 오래 살아남는.. 소화기계 질환 2013.01.25
겨울철 ‘식중독’ 주의보 노로바이러스 예방법은? 감염 환자의 구토물, 신체접촉에 의해서도 전염될 수 있어 [메디컬투데이 김소희 기자] 흔히 식중독은 30도를 오르내리며 더위가 기승을 부릴 때 많이 발생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식중독 바이러스 중 하나인 ‘노로바이러스’는 기온이 낮을수록 오래 살아남기 때문에 요즘처럼 기.. 건강한 생활 2013.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