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스러운 노화? 합병증 부르는 ‘노인성 근감소증 [메디컬투데이 이경호 기자] 노화로 인한 자연스러운 증상으로 여겨지는 노인성 근감소증. 그러나 노년기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요인인 만큼 개인 별 질환, 영양 상태를 고려한 맞춤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노인성 근감소증은 노화로 인해 만성질환, 영양부족, 운동량 감소가 .. 근골격계·신경계 질환 2019.09.19
상대악력 하위 25%의 당뇨병 유병률, 성인 평균의 2배 이상 악력 높을수록 당뇨병 발생 위험 크게 감소 [메디컬투데이 지용준 기자] 악력이 높을수록 2형 당뇨병 발생 위험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국대병원 가정의학과 최은영 교수가 2014∼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성인 8082명을 대상으로 악력과 당뇨병 발생 위험의 상관.. 당뇨병 2019.08.01
오래 살고 싶으면 근력 보다 근 파워 키워야 [메디컬투데이 고동현 기자] 근력(muscle strength)을 키우는 것이 건강에 이로운 반면 근 파워(muscle power)를 늘리는 것은 수명 연장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근력이란 한 근육이 길이를 바꾸지 않고 낼 수 있는 최대 장력을 말하는 반면 근 파워는 가능한 얼마나 빨리 큰 힘을 내는지.. 근골격계·신경계 질환 2019.04.22
손으로 쥐는 힘 약하면 삶의 질도 낮다 서울아산병원 연구팀, 국민건강영양조사 4620명 분석 [메디컬투데이 지용준 기자] 흔히 노인들의 근력평가를 위해 사용하는 방법인 손으로 쥐는 힘(악력)이 일상생활의 움직임이나 스스로 옷을 갈아입고 씻을 수 있는 것과 같은 ‘삶의 질’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아산.. 근골격계·신경계 질환 2018.08.06
'황혼육아' 노인들 운동시간 턱없이 부족 매일유업 사코페니아 연구소, 어버이날 맞아 설문조사 실시▲ 사코페니아 연구소 설문조사 결과 (사진=매일유업 제공) [메디컬투데이 김준수 기자] 실버 세대들이 자녀들을 대신한 '황혼육아'로 인해 운동할 시간이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일유업 사코페니아 연구소가 8일 .. 저출산·고령화 사회 2018.05.09
나이들면 다리 근육 약해지는 이유는?... '신경소실' 때문 [메디컬투데이 곽경민 기자] 나이가 들면 하지 근육이 적어지는 이유가 규명됐다. 13일 맨체스터 메트로폴리탄대학 연구팀이 '생리학저널'에 밝힌 168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신경 소실로 인해 나이가 들면서 근력이 약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세인 남성과 78세인 고령 .. 근골격계·신경계 질환 2018.03.13
나이들어 다리 힘 안 빠지려면 '단백질' 많이 드세요 [메디컬투데이 김동주 기자] 어류나 가금류, 육류 등의 동물성이든 콩, 계란등의 식물성이든 단백질을 많이 섭취하는 식습관이 나이들면서 근육이 더 크고 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9일 매사스츄세스종합병원 연구팀이 '임상영양학저널'에 밝힌 새로운 연구결과에.. 먹거리와 건강 2017.02.10
신체 건강한 아이들이 공부도 잘 한다 [메디컬투데이 김혜인 기자] 아이들의 근력을 건강하게 하는 것이 학업성적 개선에도 이로울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보스톤 Northeastern 대학 연구팀이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지에 밝힌 9-11세 연령의 총 75명의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유산소 .. 아동·청소년·청년 건강 2016.11.07
청소년기 심폐건강+근육건강 좋지 않으면 당뇨병 위험 높아 [메디컬투데이 신현정 기자] 심폐건강이 좋지 않고 근력이 좋지 않은 청소년들이 체중과 무관하게 향후 2형 당뇨병이 발병할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8일 마운트시나이 연구팀이 '내과학회지'에 밝힌 스웨덴내 100만명 이상의 18세 젊은 남성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에 의하.. 아동·청소년·청년 건강 2016.03.08
근력 강한 아이들 당뇨·심장병 위험 낮아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 신체가 건강한 것이 각종 건강장애 발병 위험을 낮춘다고 알려져 있지만 31일 미시건대학 연구팀이 '소아과학지'에 밝힌 새로운 연구결과에 의하면 청소년기 근력을 포함한 강한 정도가 당뇨병, 심장병 이나 뇌졸중 발병 위험을 낮추는 것과 연관된 것으로.. 아동·청소년·청년 건강 2014.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