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작스러운 발작, 거품보다 의식부터 확인하세요 뇌전증 발작증상, 진단에도 중요 [메디컬투데이 박정은 기자] 2월 10일은 뇌전증의 날이다. 우리에게 간질로 익숙한 이 질환은 2009년, 대한뇌전증학회가 질환의 인식 개선과 사회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정식 명칭을 뇌전증으로 변경한 바 있다. 흔히 거품을 물고 발작하며 쓰러지는 전.. 뇌·심혈관계 질환 2020.02.11
불치병으로 알고 있는 뇌전증 완치 가능할까? 뇌전증 환자 70%는 항경련제 복용하면 경련 발작 멈출 수 있어 [메디컬투데이 손성우 기자] # 2년 전 초등학교 6학년이었던 김 모 군은 갑자기 발작 증상이 나면서 손발이 떨리고 입과 눈이 돌아가면서 거품을 물고 쓰러져 구급차를 타고 병원에 온 뒤 검사 결과, ‘난치성 뇌전증’이라.. 아동·청소년·청년 건강 2018.02.11
어유 속 'DHA' 간질 경련 예방 효과적 [메디컬투데이 신현정 기자] 어유가 뇌 속 에스트로겐을 높여 경련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0일 일본 히로시마대학 연구팀이 'Scientific Reports'지에 밝힌 새로운 연구결과에 의하면 어유속 성분인 DHA 보충이 경련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쥐를 대상.. 먹거리와 건강 2017.08.21
대마초 성분 중증 간질 '경련' 50% 이상 줄여 [메디컬투데이 최성수 기자] 대마초의 주활성 성분인 카나비디올이라는 성분이 중증 간질을 앓는 환자에서 경련 발병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9일 오하이오주립대학 연구팀이 미국에서 열리고 있는 신경학회에 발표한 새로운 연구결과에 의하면 매일 카나비디올을.. 흡연 2017.04.20
'뇌전증' 환자 14만명 육박…남성-20대 비율 높아 진료비 2015년 1512억원…5년새 14% 증가 [메디컬투데이 박종헌 기자] 간질로 많이 알고 있는 뇌전증 환자가 연간 14만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뇌전증은 만성적인 신경성 질환 중 하나로 뇌신경 세포의 불규칙한 흥분으로 인해 갑작스럽고 무질서한 전기적 활동이 나타나면서 발작 .. 뇌·심혈관계 질환 2017.02.02
엄마 앓은 '류마티스성관절염' 자녀 간질 발병 위험 높여 [메디컬투데이 김혜인 기자] 엄마가 자가면역질환인 류마티스성관절염을 앓는 것과 자녀에서 간질 발병과 연관이 있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 연구에 의하면 엄마가 앓는 다발성경화증등 뇌와 연관된 자가면역질환과 자녀에서 간질 발병 위험과 연관이 있을 수 있는 것으로 .. 여성·유아 건강 2016.11.21
어릴적 백일해 감염 아이들 간질 발병 위험 높여 [메디컬투데이 신현정 기자] 아이들 백일해 감염이 향후 간질 발병과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덴마크 오르후스대학 연구팀이 '미의학협회저널'에 밝힌 새로운 연구결과에 의하면 소아기 초기 백일해로 진단을 받은 아이들이 향후 소아기 간질이 발병할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 아동·청소년·청년 건강 2015.11.04
'오메가-3 어유' 간질 환자 경련 횟수 줄인다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 오메가-3 어유가 간질 환자에서 경련 발병 횟수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에서만 약 230만명 가량의 성인과 47만명의 아이들이 간질을 앓고 있는 가운데 10일 캘리포니아 LA 의대 연구팀이'Neurology, Neurosurgery & Psychiatry'지에 밝힌 새로운 연구결과.. 먹거리와 건강 2014.09.12
[건강칼럼] 연령과 무관하게 발병하는 뇌전증 장윤숙 교수 / 명지병원 신경과 [메디컬투데이 편집팀 기자] 뇌전증(간질)은 뇌신경세포가 과도하게 흥분되거나 억제되면 신체의 일부나 전체가 의지대로 움직이지 않고 경련을 보이거나 의식을 잃게 되는 증상을 말한다. 이는 100명 중 한두 명 정도가 앓고 있는 매우 흔한 질환으로 .. 근골격계·신경계 질환 2013.09.09
왕성한 운동 '간질' 예방에 도움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 왕성한 운동이 젊은 남성들에서 향후 간질 위험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스웨덴 예테보리대학 연구팀이 '신경학지'에 밝힌 117만명의 스웨덴 군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평균 25년간 진행된 이번 연구에서 연구기간중.. 운동 2013.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