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생산성에 악영향 줄 수 있어 정부와 기업차원의 관심필요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
직장인 우울증이 업무지장을 초래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3일 대한신경정신의학회는 제46회 정신건강의 날을 맞아 직장인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직장 내 우울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현재 직장을 다니거나 1년이내에 근무한 적이 있는 16세~64세 1000명을 대상으로 직장 내 우울증에 대한 인식과 현황을 조사한 것이다. 우울증을 겪고 있는 사람들은 개인의 우울감이나 불면증상 이외에도 단순 업무 처리가 늦어지거나, 실수가 많아지는 등 직장생활에 지장을 주는 경우가 많아서 직장인 우울증으로 인한 업무 생산성 저하문제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직장인들은 일상적 생활을 영위하는데 해로운 영향을 주는 질환으로서 심혈관 질환 문제와 뇌혈관 장애 다음으로 우울증을 꼽아 질환의 인지도는 낮지 않았다.
하지만 우울증으로 진단받은 비율이 우리나라 직장인은 전체 7% 만 보고하여 유럽과 다른 선진국에 비해 매우 낮은 비율을 보였다. (호주 26%, 캐나다 21%, 유럽 7개국 평균 20%)
이와 관련하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이동우 홍보기획이사(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는 “우리나라의 자살율이 매우 높은 실정임을 비교해 볼 때 우울증의 유병율이 외국보다 낮다기 보다는, 우리나라에서는 사회적 편견이나 직장 내 불이익에 대한 두려움으로 우울증 진단을 받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우리나라의 직장 내 관리자들은 우울증을 앓고 있는 직원을 알았을 때 반응이 ‘우울증 관련 이야기를 회피(30%)’하거나 ‘어떻게 해야 할 지 모름(29%)’의 순으로 나타나, 직원의 우울증 관리에 대한 대처 능력이 매우 낮았다.
반면 유럽의 경우, 직장 내 관리자들이 ‘도움이 필요한 부분을 문의(49%)’, ‘의료전문가 상담지원(37%)’ 등 우울증을 앓고 있는 직원에 대해 문제 해결을 위한 긍정적인 접근을 우선시하는 것과는 대조적인 결과다.
이번 연구에서 우울증 환자로 진단 받은 전체 응답자의 47%가 업무중 집중력저하, 결정 못함, 건망증 등의 인지능력장애를 겪어 업무 생산성에 악영향을 주고 있었고, 이로 인해 회사생활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응답했다.
우울증의 구체적인 증상으로는 개인적인 우울감, 수면장애나 불면증, 체중과 식욕 변화 외에도 집중력 저하, 결정 못함, 건망증 등의 증상을 보여 인지능력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우울증을 앓기 전에는 최상의 업무 수행도 비율이 평균26%였다면, 우울증을 앓고 있을 때는 최상의 업무수행도가 6%로 대폭 떨어졌다.
우울증을 진단 받은 사람의 4명중 1명(26%)은 우울증으로 인해 회사를 그만뒀으며, 휴직한 경우는 31%에 해당됐다. 휴직을 한 경우에도 약 35%가 회사에 구체적인 사유로서 우울증을 밝히지 않았으며, ‘직장생활의 위협’과 ‘개인 문제’를 이유로 꼽아, 우울증에 대한 직장 내 편견이 우울증을 알리는데 가장 큰 방해요인 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 김영훈 이사장(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은 “우울증은 심리적 우울감 뿐만 아니라 인지기능이 떨어져 업무 능률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직장인 우울증은 개인의 문제보다는 기업의 생산성 차원에서 인식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3일 대한신경정신의학회는 제46회 정신건강의 날을 맞아 직장인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직장 내 우울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현재 직장을 다니거나 1년이내에 근무한 적이 있는 16세~64세 1000명을 대상으로 직장 내 우울증에 대한 인식과 현황을 조사한 것이다. 우울증을 겪고 있는 사람들은 개인의 우울감이나 불면증상 이외에도 단순 업무 처리가 늦어지거나, 실수가 많아지는 등 직장생활에 지장을 주는 경우가 많아서 직장인 우울증으로 인한 업무 생산성 저하문제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직장인들은 일상적 생활을 영위하는데 해로운 영향을 주는 질환으로서 심혈관 질환 문제와 뇌혈관 장애 다음으로 우울증을 꼽아 질환의 인지도는 낮지 않았다.
하지만 우울증으로 진단받은 비율이 우리나라 직장인은 전체 7% 만 보고하여 유럽과 다른 선진국에 비해 매우 낮은 비율을 보였다. (호주 26%, 캐나다 21%, 유럽 7개국 평균 20%)
이와 관련하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이동우 홍보기획이사(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는 “우리나라의 자살율이 매우 높은 실정임을 비교해 볼 때 우울증의 유병율이 외국보다 낮다기 보다는, 우리나라에서는 사회적 편견이나 직장 내 불이익에 대한 두려움으로 우울증 진단을 받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우리나라의 직장 내 관리자들은 우울증을 앓고 있는 직원을 알았을 때 반응이 ‘우울증 관련 이야기를 회피(30%)’하거나 ‘어떻게 해야 할 지 모름(29%)’의 순으로 나타나, 직원의 우울증 관리에 대한 대처 능력이 매우 낮았다.
반면 유럽의 경우, 직장 내 관리자들이 ‘도움이 필요한 부분을 문의(49%)’, ‘의료전문가 상담지원(37%)’ 등 우울증을 앓고 있는 직원에 대해 문제 해결을 위한 긍정적인 접근을 우선시하는 것과는 대조적인 결과다.
이번 연구에서 우울증 환자로 진단 받은 전체 응답자의 47%가 업무중 집중력저하, 결정 못함, 건망증 등의 인지능력장애를 겪어 업무 생산성에 악영향을 주고 있었고, 이로 인해 회사생활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응답했다.
우울증의 구체적인 증상으로는 개인적인 우울감, 수면장애나 불면증, 체중과 식욕 변화 외에도 집중력 저하, 결정 못함, 건망증 등의 증상을 보여 인지능력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우울증을 앓기 전에는 최상의 업무 수행도 비율이 평균26%였다면, 우울증을 앓고 있을 때는 최상의 업무수행도가 6%로 대폭 떨어졌다.
우울증을 진단 받은 사람의 4명중 1명(26%)은 우울증으로 인해 회사를 그만뒀으며, 휴직한 경우는 31%에 해당됐다. 휴직을 한 경우에도 약 35%가 회사에 구체적인 사유로서 우울증을 밝히지 않았으며, ‘직장생활의 위협’과 ‘개인 문제’를 이유로 꼽아, 우울증에 대한 직장 내 편견이 우울증을 알리는데 가장 큰 방해요인 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 김영훈 이사장(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은 “우울증은 심리적 우울감 뿐만 아니라 인지기능이 떨어져 업무 능률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직장인 우울증은 개인의 문제보다는 기업의 생산성 차원에서 인식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정신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감해지는 봄철 코 관리는 어떻게? (0) | 2014.04.15 |
---|---|
불면증 앓는 젊은 성인 '뇌졸중' 위험 8배 (0) | 2014.04.15 |
정신건강 위기에 내 몰린 교사들, 우울증 늘어 (0) | 2014.04.01 |
[건강서적] 고마워, 우울증 (0) | 2014.03.31 |
‘변비’ 2명 중 1명은 소아·아동이나 70세 이상 노인 (0) | 2014.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