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환경성질환, 안전

석면오염 석재, 전국으로 유통 '논란'

pulmaemi 2010. 7. 27. 11:48

유통량·경로 파악안돼, 음식점·가정으로도 공급 우려

 

4대강 공사구간 등에 사용된 석면오염 석재가 전국적으로 유통됐을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해당 채석장의 안전관리가 부실했던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환경운동연합을 비롯한 환경단체들이 제기한 이 같은 문제가 수면위로 드러나게 된 것은 4대강사업 한강살리기 15공구(제천지구)사업장과 남한강본류 한강8공구(충주2지구)에서 잇따라 석면석재가 발견되면서 부터다.

이곳에 사용된 석재는 제천지역의 폐광된 석면광산 주변 채석장에서 캐낸 것으로 석재에 석면가루가 묻어나는 등 오염된 사실이 밝혀지면서 논란이 됐다.

문제가 불거지자 충북도청은 해당 공구현장에서 석재를 전량 반출시키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환경운동가들은 채석된 석재가 4대강 공사구간뿐 아니라 전국으로 유통됐을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해당 채석장에서 공급된 석재가 관급공사, 자치단체의 수해방지공사 등은 물론 일반 가정이나 그 외 건축의 조경석으로 쓰였을 것으로 보고 있다"며 "충주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오는 길에 들른 음식점의 조경석에서도 오염된 석재를 발견했다"고 말했다.

이번에 발견된 트레몰라이트 석면은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에서 1급 발암물질로 규정한 물질이다. 1급 발암물질이란 것은 사람에게 확실하게 암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전제하에 분류된다.

이렇게 오염된 석재가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 쓰였다면 해당 건물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호흡기를 통해 충분히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는 결론이다.

문제는 채석된 석재가 어느 경로를 통해 얼마나 유통됐는지 현재로선 정확한 파악이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해당 채석장에서 연간 유통된 석재의 양이 얼마나 되냐는 질문에 충북도청 관계자는 "채석은 석재공급업자의 영업행위기 때문에 도청에서는 정확하게 파악이 안된다"며 "업자들이 얘기하고 있는 자료를 모두 신뢰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고 설명했다.

환경단체들은 4대강 사업구간에만 25톤 트럭으로 60대 이상의 분량이 공급됐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한편 환경단체들은 석면오염 석재가 이처럼 전국적으로 유통되는 일은 미리 예방할 수 있었다고 주장하며 해당 지자체의 안전불감증이 가져온 결과라고 비난하고 있다.

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2009년부터 여러 차례 채석장으로 인한 석면오염문제를 제기하며 채석장 폐쇄를 주장했지만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다가 1년 후 이런 일이 발생했다"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현재 해당 채석장에서의 채석은 일시중단 된 상태다. 하지만 폐쇄에 대해서는 법적인 근거가 부족하다는 것이 충북도청의 입장이다.

충북도청 관계자는 "채석장의 폐쇄는 허가취소를 말하는 것인데 산지관리법상 해당 채석장을 폐쇄할 근거는 없다"며 "하지만 문제가 된 만큼 가능한 한 채석 중단조치가 취해질 수 있도록 준비 중이다"고 말했다.  

 

<건강이 보이는 대한민국 대표 의료, 건강 신문 ⓒ 메디컬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