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투데이 김동주 기자]
건강한 사람의 똥을 환자의 치료에 이용하는 ‘대변이식술’이 주목받고 있다.
‘대변이식술’이란 사람의 대변 속 미생물을 내시경이나 관장을 통해 환자의 장(腸)속에 뿌려주는 치료법으로 유럽과 미국, 캐나다 등에선 널리 알려진 공인 치료법이다.
지난해에는 세브란스병원이 소화기내과와 감염내과 및 진단검사의학과 의료진으로 국내 첫 대변이식술 전문진료팀을 꾸려 본격적인 진료에 나선 바 있다.
현재 국내 허가사항에서는 약물로 잘 조절되지 않는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 장염’ 환자에 한해 대변이식술이 시행될 수 있다.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은 장에 증상이 없는 건강한 사람에서도 소량 기생할 수 있는 균으로, 급격히 증가할 경우 독소를 배출해 장염을 야기한다. 이로 인해 설사와 발열, 점액변 또는 혈변 등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복통과 오심, 구토, 복부팽만감, 오한 등 다양한 불편감을 동반한다.
감염성 질환으로서 항생제 치료가 우선이지만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 장염은 주로 다른 질환을 치료하고자 사용된 항생제 치료 후에 발병하는 특징이 있다. 또 일반적인 항생제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아 특정 항생제로 치료해야 하며, 혹 초기 치료가 잘 되어도 환자의 35% 이상에서 재발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항생제 치료로 수가 감소한 장내 미생물의 균형을 맞추어 증가해 있는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 균을 줄이자는 치료 아이디어가 나왔다. 이후 건강한 사람의 대변 속의 미생물을 환자의 장에 이식하는 치료법이 나왔고, 그 결과 90% 이상의 환자에서 치료 성공율을 보이는 것으로 미국과 유럽의학계에 보고가 되고 있다.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박수정 교수는 “좋은 대변을 우선 확보하는 것이 치료의 첫 시작이다”면서 “대변 제공자에 대한 과거병력과 현재 건강상태, 가족력, 장내 병원균 및 기생충 감염 여부 등을 세심히 살펴 환자에게 새로운 병을 전파하는 것을 철저히 예방한다. 또한 간염환자와 헬리코박터 보균자, 여러 감염성질환자, 비만이거나 당뇨환자 등도 처음부터 제외 대상”이라고 설명했다.
건강한 대변을 공급하기 위해 우리나라에도 대변은행이 문을 열었다. 이는 아시아 최초로 지난해 6월 중순 바이오일레븐 기업부설연구소 김석진좋은균연구소가 설립한 대변은행 ‘골드 바이옴’이 그 주인공이다.
김석진좋은균연구소는 2013년 국내 최초로 장내세균분석(GMA) 서비스를 도입한 후 1000여명의 장내 미생물을 분석한 경험을 바탕으로 이를 설립했다.
김석진 소장은 “최근 대변이식술이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 장염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입증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대변이식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시술에 사용되는 대변의 경우 미생물 감염병 여부 확인, 혈액검사 등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이를 전문적으로 채집, 관리하는 대변은행의 중요성은 점점 더 높아질 것”이라고 바라봤다.
메디컬투데이 김동주 기자(ed30109@mdtoday.co.kr)
'장내 세균 & 프로바이오틱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걀처럼 무언가가 쑥 빠져 나와요" 골반장기탈출증 의심해야 (0) | 2018.04.25 |
---|---|
염증·장내 세균 '자폐증' 발병 영향 (0) | 2018.04.25 |
임신중 '프로바이오틱' 섭취 아이들 습진 예방 (0) | 2018.03.19 |
'자가면역질환' 유발하는 장내 세균 찾았다 (0) | 2018.03.12 |
장내 세균 '패혈증' 예방 기전 찾았다 (0) | 2018.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