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뚱뚱해지는 대한민국…국민 100명 중 36명 비만

pulmaemi 2017. 10. 30. 13:39
살쪄서 고민인 30대 남성-말라서 고민인 20대 여성
▲2014~2016년 BMI 측정에 따른 비만도 현황 (자료=국민건강보험공단 제공)


[메디컬투데이 박종헌 기자] 

국내 비만인구가 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기동민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6년 건강검진을 받은 인원은 총 1454만여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BMI 측정 결과에 따른 비만도를 살펴본 결과 전체의 35.6%인 518만여명이 비만인구로 나왔다. 인구 100명 중 36명이 비만 상태인 셈이다.

더욱 우려스러운 것은 비만인구 비율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2014년의 경우, 전체 수검인원 중 33.4%가 비만인구였다. 2015년에 34.8%로 증가했고, 올해 역시 비만인구 증가는 지속되고 있었다. 

비만인구가 늘어나면서 정상 체중에 속하는 사람들은 점차 줄어들고 있다. 2014년 전체 수검인원의 38.5%가 정상 체중으로 100명 중 39명이 정상범위에 속했지만, 2015년에는 37.5%, 2016년에는 36.8%로 점점 줄어드는 상태다.

가장 비만도가 높은 연령대는 60대다. 전체 인구의 39%가 비만인 것으로 나온다. 전체 연령별 비만도를 보면 19세 이하는 24.6%, 20대 24.8%, 30대 37.2%, 40대 35.8%, 50대 36.2%, 60대 39%, 70대 이상 36.1%로 나타난다. 하지만 좀 더 세부적으로 들여다보면 남녀 간의 미묘한 차이가 발생한다. 

남성의 경우 성인이 되기 전인 19세 미만 중 비만인구는 28.5%에 불과하다. 하지만, 20대에 들어서면서 36.7%로 늘어난다. 8.2%나 증가한 것이다. 30대에는 47.2%로 크게 증가해 거의 절반에 가까운 사람들이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40대 이후에는 점점 줄어드는 추세를 보여 40대 46.2%, 50대 42.2%, 60대 39.3%, 70대 이상의 연령대에선 32.1%로 20대보다 나아지는 추세를 보인다. 

반면, 여성들은 남성과는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여성들의 비만율은 19세 이하에서는 19.1%였다. 20대에 들어서는 12.9%로 확 줄어든다. 이후 30대에는 17.1%, 40대 23.5%, 50대 30%, 60대 38.7%, 70대 이상 39.4%로 나이가 들수록 비만해지고, 남성 비만율을 역전하는 현상까지 보인다. 임신과 출산, 육아에 따른 부담과 생활 환경 변화가 작용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남성의 이런 차이점으로 인해 연령대별 비만율은 6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반면 누구는 살쪄서 고민이지만, 말라서 고민인 경우도 있다. 표준체중 미만인 저체중 비율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20대 여성이다. 2016년 기준, 전체 여성인원 중 저체중 비율은 5.4%다. 연령대로 보면 10대와 20대, 30대의 저체중 비율이 평균보다 높다. 특히 20대가 심각하다. 

20대 여성은 100명 중 16명(15.8%) 정도가 저체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19세 이하 연령대는 12.7%, 30대는 10.8%가 저체중으로 나왔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저체중 비율이 조금씩 줄어들고 있다는 점이다. 20대 여성의 저체중 비율은 2014년 17.5%에서 2015년 16.3%, 2016년 15.8%로 조금씩 줄어들고 있다.

비만이 질병의 근원인 것처럼 저체중도 가볍게 다룰 수 없다. 일부에서는 비만보다 더 위험하다고도 한다. 특히 외모지상주의와 마른 몸을 지향하는 사회 트렌드가 젊은 여성들의 저체중을 촉발하는 상황은 더욱 우려되고 경계해야 할 부분이다.

기동민 의원은 "보건복지부를 중심으로 국민들의 질병 예방과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는 적극적인 정책과 실행 대안이 마련돼야 한다"면서 "비만 예방(적정한 체중 관리)은 그 중에서 가장 빠른 길"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선진 의료 시스템을 구축한 국가들이 햄버거와 나트륨을 규제하거나, 공공체육시설과 여가시설을 적극적으로 조성해 국민들이 일상적으로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이유는 다른 데 있지 않다. 국민이 건강하면 의료비가 줄어들고, 그만큼 국가 부담도 줄어들기 때문이다"며 "물론 국가 정책의 궁극적 목표인 국민들의 건강한 삶이 보장되는 것은 두 말할 필요가 없다. 정부와 우리 사회가 함께 고민해야할 문제"라고 덧붙였다.   
메디컬투데이 박종헌 기자(pyngmin@md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