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안 29

전자기기 장시간 사용, 노안·백내장 발병 시기 앞당긴다

[메디컬투데이 고동현 기자] 코로나19 장기화로 집에 있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TV를 비롯해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전자기기 사용이 늘었다. 문제는 전자기기 장시간 사용에 따른 시력 감퇴다. 특히 눈의 노화는 노안, 백내장과 직결된다. 스마트폰 사용이 일상화되면서 눈의 노화가 가속돼 백내장 발병 연령대가 점차 낮아지는 추세다. 노안은 나이가 들수록 가까이에 있는 물체에 초점을 맞추는 능력이 떨어진 상태다. 시력이 점점 흐릿해지며 가까운 곳이 제대로 보이지 않는 등의 증상을 겪게 된다. 노안 이후에 자연스럽게 겪게 되는 또 다른 안질환은 백내장으로, 이 또한 발병 시기가 앞당겨지고 있다. 백내장은 투명하고 맑은 수정체가 시간이 갈수록 혼탁해져 앞이 뿌옇게 보이고 눈에 이물질이 낀 것처럼 침침해지..

‘젊은 노안’ 주의해야…전자기기로 인한 눈 혹사가 ‘독’

[메디컬투데이 고동현 기자] 업무 또는 일상생활에서 필수품이 된 스마트폰, PC 등을 눈과 가까운 거리에서 사용할 경우 눈의 노화로 인한 질환이 젊은 나이에도 찾아올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최정원 JW(제이더블유)안과 원장은 “컴퓨터와 스마트폰 등 IT 제품은 우리 생활에 빠져서는 안 되는 필수품으로 자리를 잡은 상태”라며 “그러나 눈을 혹사할 정도로 사용하거나 눈과 가까운 거리에서 사용할 경우 흐린 증상과 함께 수정체의 탄성이 줄어들며 눈의 노화가 이른 나이에도 찾아올 수 있다”고 ‘젊은 노안’의 위험성을 강조했다. 최 원장에 따르면 젊은 노안은 일반적인 노안 뿐 아닌 더욱 심화될 경우 백내장까지 찾아올 수 있다. 일반적인 노안은 눈이 노화되며 수정체의 조절력이 줄어들며 시력이 감퇴돼 근거리 시력이..

젊은 나이에도 찾아오는 노안·백내장, 해결 방법은?

[메디컬투데이 김준수 기자] 바야흐로 젊은 노안의 시대가 도래했다. 이는 잦은 스마트폰 사용과 감소한 눈 휴식 시간이 주된 원인이라 할 수 있다. 통상 노안은 40대 중반을 기점으로 발병 가능성이 높아지는데, 최근 단순 시력 퇴행이 아닌 수정체를 잡고 있는 근육이 노화돼 내원하는 20~30대 젊은 층이 증가하고 있다. 대표적인 노안 증상으로는 ▲스마트폰 속 글씨가 잘 안 보이는 현상 ▲가까운 거리에서 먼 거리를 볼 때 초점이 맞지 않는 증상 ▲책이나 문자가 보이지 않아 팔을 길게 뻗는 행동 ▲TV나 컴퓨터 화면이 선명하지 않고 ▲전등을 켜도 밝게 보이지 않는 증상 등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증상이 나타났다고 해서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 노안 안경이나 돋보기 등의 단기적인 방법으로 해결하지 않고 안..

증상 유사한 ‘노안’과 ‘백내장’ 구분 방법은?

[메디컬투데이 김준수 기자] 백내장은 수정체가 혼탁해져 눈에 들어오는 빛이 제대로 통과하지 못해 시야가 흐리게 보이는 대표적인 노년 안질환이다. 백내장이 발생하면 밝은 곳에서 눈이 부시고 어두운 곳에서는 비교적 시력이 회복되는 듯한 주맹현상과 사물이 겹쳐 보이는 복시 증상이 발현되기도 한다. 또 쉽게 눈의 피로를 느끼고 안통, 두통 등이 동반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증상들은 노안 증상과 오인하기 쉽다. 노안은 노화에 의해 눈 속 수정체가 탄성을 잃어 조절력이 떨어지게 되는 질환이다. 백내장과 발병 연령대나 초기 증상이 유사하다. 그러나 가장 큰 차이점은 노안은 근거리 시력이 저하되는 현상뿐이지만 백내장은 시야 전체가 뿌옇게 보인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노안은 증상이 심하지 않을 경우, 돋보기를 착용해 시력 교..

초고령사회 코앞, 눈 건강 관리는 38% 그쳐

실명에 이르는 노인성 안질환 등 눈 건강에 대한 인식 제고 필요 [메디컬투데이 박수현 기자] 국민 대부분은 우리나라가 고령사회에 진입한 사실을 알고 있는 반면에, 이를 대비해 눈 건강을 관리하고 있는 사람은 10명 중 4명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안과병원은 올해 국제실명예방위원회(IAPB, WHO 산하)가 선정한 Vision 2020년을 맞이해 전국의 20세부터 79세 사이의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고령화에 따른 눈 건강관리 인식조사’를 실시했다고 6일 밝혔다. 이 결과 응답자의 86.7%가 고령사회 진입을 알고 있었지만, 눈 건강 관리를 한다는 응답자는 38.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40세 이상 인구 중 43.2%가 백내장 환자, 3.4%가 녹내장 환자,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