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수명 23

美 연구팀 "인류의 최대 수명, 130년까지 증가" 예고

[메디컬투데이 박세용 기자] 통계학적 모델에 따르면 2100년 인간의 최대 수명은 130년에 달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워싱턴대학교 연구팀이 ‘인구학적 연구(Demographic Research)’ 저널에 발표한 바에 따르면 1만 5천여명의 장수인구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베이지안 조건부확률(Bayesian conditional probability) 통계분석방법을 사용해 연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지난 100년간 인간의 기대수명은 꾸준히 증가해왔다. 기대수명의 증가는 정치ㆍ경제ㆍ사회 전반의 보건사업 정책 계획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 때문에 장수 및 기대수명 증가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 80대 및 90대 인구 사망률이 감소추세에 있다는 것과 약 5년 마다 ..

건강한 생활 2021.07.14

기대수명-건강수명 격차 줄이려면 ‘건강검진’ 필수

[메디컬투데이 고동현 기자] 의학 기술이 발전하면서 한국인 평균수명이 늘었다. WHO(세계보건기구)는 2030년에 출생하는 우리나라 여성의 평균 수명은 90.82세로 전 세계 사람 중 처음으로 평균 90세 이상 살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기대수명과 건강수명은 차이가 있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8년 한국인 평균 기대수명은 82.7세였는데 같은 해 건강수명은 64.4세로 조사됐다. 건강수명은 0세 출생자가 앞으로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생존연수인 기대수명에서 질병이나 사고로 정상적인 활동을 하지 못하는 기간을 뺀 기간으로, 즉 건강한 상태로 살 수 있는 수명을 말한다. 기대수명에서 건강수명을 뺀 약 20년에 가까운 시간을 병으로 인해 정상적인 생활을 하지 못하고 지내게 된다는 의미다...

건강검진 2021.07.01

소득수준-전기사용률 낮을수록 소아 사망률 높고 기대수명 불평등

[메디컬투데이 손수경 기자] 국가소득과 전기사용이 낮을수록, 고체연료 사용과 천연자원 고갈이 높을수록 세계 5세 미만 어린이 사망과 기대수명의 불평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원광대학교 장수과학연구소 김종인 교수 연구팀에 따르면 2000~2015년 세계보건기구, 유엔, 세계은..

AIDS 더 이상 불치병 아니다... AIDS 환자들 건강한 사람들 처럼 오래 살아

[메디컬투데이 신현정 기자] 새로 개발된 약물들로 인해 AIDS 환자의 기대수명이 거의 건강한 사람들과 비슷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브리스톨대학 연구팀이 '란셋'지에 발표한 유럽과 미국내 8만8500명을 대상으로 한 총 18종의 연구결과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2010년 항레트로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