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한적 조사 아닌 다방면으로 조사 이루어져야
[메디컬투데이 우푸름 기자]
환경부에 따르면 어린이 활동공간의 환경안전 관리 상태는 크게 개선됐다. 그러나 100곳 중 17곳은 여전히 환경안전관리 사각지대에 놓여있어 우려의 목소리가 계속되고 있다.
◇ 유해물질에 기생충까지
환경부는 지난 한 해 동안 어린이 활동공간 7527곳에 대해 환경안전 관리 상태를 진단한 결과 환경안전 기준 미달률이 17.4%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여전히 1300여곳의 어린이 활동 공간은 환경안전관리 상태가 미흡하다는 것.
이 중 도료나 마감재의 중금속 기준을 초과한 시설은 738곳으로 나타났다. 이 중 97.2%인 717곳이 납 기준을 초과했는데 납 기준이 최대 37.4%를 초과해 검출된 곳도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어린이 활동공간 중 실내공간 4300곳을 진단한 결과 10.8%인 431곳이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또는 폼알데하이드 등의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 시설의 문제도 적지 않았다.
바닥이 모래 등 토양으로 조성된 어린이 놀이시설 136곳에서 기생충(란)이 검출됐으며 어린이 놀이시설 벤치 등에 사용된 목재 21곳에서는 사용이 금지된 크롬·구리·비소 화합물계 방부제(CCA)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 동물 배설물 등 노출…실외 시설 관리 미흡
지난 2013년 전라남도 보건환경연구원은 ‘어린이 놀이터의 환경유해인자 분포특성’ 보고서를 통해 목포, 여수, 순천, 나주시의 모래를 바닥재로 사용하는 어린이 놀이터 19개소에서 ▲비소 ▲수은 ▲카드뮴 ▲납 ▲6가크롬 ▲구리 ▲니켈 ▲아연 ▲기생충(란)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납, 카드뮴, 6가 크롬, 수은, 비소는 환경안전관리기준에 적합했고, 구리, 아연, 니켈은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충족했다. 반면 여수의 1곳에서 기생충이 검출돼 위생적 관리가 필요했다.
보고서는 “애완동물이나 야생동물의 분변으로 인한 놀이터의 오염을 예방하기 위해 동물의 먹이가 될 수 있는 음식 찌꺼기나 과자 등에 오염되지 않도록 깨끗이 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애완견의 배설물 처리를 위해 위생봉투를 소지해 분변을 방치하지 않도록 성숙된 시민의식을 고취시키며 성장기 어린이들에게 깨끗하고 안전한 놀이공간 제공을 위해 지속적인 관리 방안 강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아이건강연대 김민선 사무국장 역시 “실외 시설은 실내에 비해 조사가 허술한 것이 사실”이라며 “실외 놀이터에는 개나 고양이 등 동물의 대변이 노출돼 있고 벤치나 놀이시설 등에는 납 함유량이 높은 페인트가 사용된다”고 지적했다.
◇ “뚜렷한 기준 없다”…관리방안 마련 시급
김 사무국장은 “아직까지도 어린이활동공간의 유해물질 사용에 대한 환경안전기준이 뚜렷하게 마련돼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또한 정부나 지자체에서 조사를 하지만 관리가 잘 되지 않고, 여전히 어린이 건강에 유해물질이 끼치는 영향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는 시설도 있다고 그는 말했다.
통합적인 관리가 안 돼 어린이들이 유해물질에 노출될 수밖에 없고, 어린이 활동공간의 환경안전을 매번 강조하지만 여전히 비용을 문제로 들며 신경을 쓰지 않는 지자체들도 많다고 했다.
이어 그는 “어린이에게 유해물질은 작은 요인도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그러나 조사 시에는 함유기준이 아닌 용출량으로 조사가 이루어지고, 몇 가지 물질에 대해 제한적인 조사가 이루어져 문제”라며 “시행규칙과 관리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사무국장은 “검사 항목 역시 제한적이다. 다방면으로 검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개별조사로는 부족하고, 제도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환경부는 환경안전진단 결과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시설에 대한 사전 점검과 지속적 개선을 독려해 2016년 1월부터 시행 예정인 ‘어린이 활동공간 환경안전기준 준수 의무화’ 이전에 시설 개선을 완료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메디컬투데이 우푸름 기자(pureum@mdtoday.co.kr)
◇ 유해물질에 기생충까지
환경부는 지난 한 해 동안 어린이 활동공간 7527곳에 대해 환경안전 관리 상태를 진단한 결과 환경안전 기준 미달률이 17.4%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여전히 1300여곳의 어린이 활동 공간은 환경안전관리 상태가 미흡하다는 것.
이 중 도료나 마감재의 중금속 기준을 초과한 시설은 738곳으로 나타났다. 이 중 97.2%인 717곳이 납 기준을 초과했는데 납 기준이 최대 37.4%를 초과해 검출된 곳도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어린이 활동공간 중 실내공간 4300곳을 진단한 결과 10.8%인 431곳이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또는 폼알데하이드 등의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 시설의 문제도 적지 않았다.
바닥이 모래 등 토양으로 조성된 어린이 놀이시설 136곳에서 기생충(란)이 검출됐으며 어린이 놀이시설 벤치 등에 사용된 목재 21곳에서는 사용이 금지된 크롬·구리·비소 화합물계 방부제(CCA)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 동물 배설물 등 노출…실외 시설 관리 미흡
지난 2013년 전라남도 보건환경연구원은 ‘어린이 놀이터의 환경유해인자 분포특성’ 보고서를 통해 목포, 여수, 순천, 나주시의 모래를 바닥재로 사용하는 어린이 놀이터 19개소에서 ▲비소 ▲수은 ▲카드뮴 ▲납 ▲6가크롬 ▲구리 ▲니켈 ▲아연 ▲기생충(란)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납, 카드뮴, 6가 크롬, 수은, 비소는 환경안전관리기준에 적합했고, 구리, 아연, 니켈은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충족했다. 반면 여수의 1곳에서 기생충이 검출돼 위생적 관리가 필요했다.
보고서는 “애완동물이나 야생동물의 분변으로 인한 놀이터의 오염을 예방하기 위해 동물의 먹이가 될 수 있는 음식 찌꺼기나 과자 등에 오염되지 않도록 깨끗이 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애완견의 배설물 처리를 위해 위생봉투를 소지해 분변을 방치하지 않도록 성숙된 시민의식을 고취시키며 성장기 어린이들에게 깨끗하고 안전한 놀이공간 제공을 위해 지속적인 관리 방안 강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아이건강연대 김민선 사무국장 역시 “실외 시설은 실내에 비해 조사가 허술한 것이 사실”이라며 “실외 놀이터에는 개나 고양이 등 동물의 대변이 노출돼 있고 벤치나 놀이시설 등에는 납 함유량이 높은 페인트가 사용된다”고 지적했다.
◇ “뚜렷한 기준 없다”…관리방안 마련 시급
김 사무국장은 “아직까지도 어린이활동공간의 유해물질 사용에 대한 환경안전기준이 뚜렷하게 마련돼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또한 정부나 지자체에서 조사를 하지만 관리가 잘 되지 않고, 여전히 어린이 건강에 유해물질이 끼치는 영향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는 시설도 있다고 그는 말했다.
통합적인 관리가 안 돼 어린이들이 유해물질에 노출될 수밖에 없고, 어린이 활동공간의 환경안전을 매번 강조하지만 여전히 비용을 문제로 들며 신경을 쓰지 않는 지자체들도 많다고 했다.
이어 그는 “어린이에게 유해물질은 작은 요인도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그러나 조사 시에는 함유기준이 아닌 용출량으로 조사가 이루어지고, 몇 가지 물질에 대해 제한적인 조사가 이루어져 문제”라며 “시행규칙과 관리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사무국장은 “검사 항목 역시 제한적이다. 다방면으로 검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개별조사로는 부족하고, 제도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환경부는 환경안전진단 결과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시설에 대한 사전 점검과 지속적 개선을 독려해 2016년 1월부터 시행 예정인 ‘어린이 활동공간 환경안전기준 준수 의무화’ 이전에 시설 개선을 완료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메디컬투데이 우푸름 기자(pureum@mdtoday.co.kr)
'아동·청소년·청년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 쪘다고 착각하는 10대 청소년 어른되어 비만 위험 높아 (0) | 2015.01.30 |
---|---|
어릴 적 학대 뇌 회색질 변화시킨다 (0) | 2015.01.28 |
마음의 짐 ‘여드름 흉터’…레이저 치료로 감쪽같이 해결 (0) | 2015.01.27 |
신경·심낭도 인체조직 기증에 추가 (0) | 2015.01.21 |
'피자' 먹는 날 아이들 칼로리 섭취 ↑ 포화지방 섭취 ↑ (0) | 2015.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