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 전, 후 가벼운 스트레칭 해줘야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
직장인 김모(32)씨는 여름휴가를 맞아 수상스키를 즐기다 허벅지 뒤쪽에 순간적으로 심한 통증을 느꼈다. 허벅지가 ‘뚝’하고 부러지는 느낌이었다. 처음 타보는 수상스키에 긴장해 다리에 무리하게 힘을 주느라 근육이 놀랐을 것으로 생각했지만 통증은 멈추지 않았다.
하는 수 없이 병원을 찾은 김씨의 진단명은 햄스트링 부상.
주로 운동선수들에게서나 발생하던 햄스트링 부상이 이처럼 여름철 야외활동이 급증하면서 일반인에게도 빈번히 발생해 주의가 필요하다.
◇ 격렬한 운동, 갑작스런 충격으로 손상
을지대학교병원에 따르면 인체의 허벅지 뒤쪽 부분의 근육과 힘줄인 햄스트링은 자동차의 브레이크처럼 동작을 멈추거나 속도 감속 또는 방향을 바꿔주는 역할을 한다. 엉덩이와 무릎관절을 연결하는 반건양근·반막양근·대퇴이두근 등 3개의 근육으로 돼 있다.
일반적으로 빠른 속력의 달리기나 발차기가 포함된 운동에서 흔히 손상을 입을 수 있다. 특히 축구선수의 경우 슈팅 동작을 하다 다치는 경우가 많다. 뒤쪽 허벅지 가운데를 누를 때 통증이 있거나, 힘을 준 상태에서 무릎을 굽히거나 무리하게 근육을 펴려고 할 때 통증이 심하다면 햄스트링 부상일 가능성이 높다.
이때는 통증이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얼음찜질을 해주거나 되도록이면 근육을 사용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 부상 후 관리를 잘해야 회복이 빨라
보통 부상 순간 갑자기 '욱'하는 통증을 느끼거나 '뚝'하고 끊어지는 느낌을 받게 된다. 부상 후에는 허벅지 뒤쪽의 심한 통증으로 걷기가 불편함을 느낀다.
부상부위를 만졌을 때 물렁물렁하다는 것을 느낄 수도 있으며, 며칠이 지나면 시퍼렇게 멍이 든 것처럼 부상부위의 피부색이 변할 수 도 있다.
근육이 파손됐을 경우에는 초음파검사를 통해서 대략적으로 부상정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자세한 진단은 MRI를 통해서 가능하다. X-ray는 뼈의 이상 유무를 관찰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햄스트링 부상의 진단에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부상 후 3~5일 간은 절대적인 안정이 필요하며 그 후에는 아프지 않을 정도로 스트레칭을 해주면서 조금씩 회복운동을 해줘야 한다.
근육의 부분파열일 경우 보통 한 달이면 회복이 가능하지만 힘줄의 파열일 경우 근육보다 힘줄을 통하는 혈관들이 적어 회복을 돕는 요소들이 힘줄로 잘 갈 수 없기 때문에 적게는 수개월에서 1년에 걸쳐야 회복이 된다.
특히 위쪽 힘줄부위 부상은 재활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만성이 될 가능성이 높다. 힘줄이 심하게 파열된 경우는 석고고정(깁스)를 해야 하고, 완전히 파열된 경우는 수술을 해야 한다.
을지대병원 정형외과 양대석 교수는 “초기엔 인대손상치료와 염증제거치료 등 비교적 간단한 시술로도 회복이 가능하지만 상태가 심각할 경우에는 인대를 재건하거나 봉합하는 방법도 고려해야 한다”며 “여름철에는 근육이 쉽게 피로해지기 때문에 장시간 운동도 피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특히 햄스트링부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운동 전, 후로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양 교수는 조언했다.
양 교수는 “운동 전 15~30분 동안 스트레칭을 통해 약간 땀이 날 만큼 무릎 관절과 주변 근육들을 부드럽게 이완시켜 유연성을 높여주고 보조근육을 강화시켜줘야 한다”며 “또한 자신의 건강상태를 고려하여 무리하지 않는 강도에서 운동을 하는 것이 좋으며, 운동 후에도 무릎 관절과 주변근육에 대한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햄스트링 부상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dusdnr1663@mdtoday.co.kr)
하는 수 없이 병원을 찾은 김씨의 진단명은 햄스트링 부상.
주로 운동선수들에게서나 발생하던 햄스트링 부상이 이처럼 여름철 야외활동이 급증하면서 일반인에게도 빈번히 발생해 주의가 필요하다.
◇ 격렬한 운동, 갑작스런 충격으로 손상
▲양대석 교수 (사진=을지대병원 제공) |
일반적으로 빠른 속력의 달리기나 발차기가 포함된 운동에서 흔히 손상을 입을 수 있다. 특히 축구선수의 경우 슈팅 동작을 하다 다치는 경우가 많다. 뒤쪽 허벅지 가운데를 누를 때 통증이 있거나, 힘을 준 상태에서 무릎을 굽히거나 무리하게 근육을 펴려고 할 때 통증이 심하다면 햄스트링 부상일 가능성이 높다.
이때는 통증이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얼음찜질을 해주거나 되도록이면 근육을 사용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 부상 후 관리를 잘해야 회복이 빨라
보통 부상 순간 갑자기 '욱'하는 통증을 느끼거나 '뚝'하고 끊어지는 느낌을 받게 된다. 부상 후에는 허벅지 뒤쪽의 심한 통증으로 걷기가 불편함을 느낀다.
부상부위를 만졌을 때 물렁물렁하다는 것을 느낄 수도 있으며, 며칠이 지나면 시퍼렇게 멍이 든 것처럼 부상부위의 피부색이 변할 수 도 있다.
근육이 파손됐을 경우에는 초음파검사를 통해서 대략적으로 부상정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자세한 진단은 MRI를 통해서 가능하다. X-ray는 뼈의 이상 유무를 관찰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햄스트링 부상의 진단에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부상 후 3~5일 간은 절대적인 안정이 필요하며 그 후에는 아프지 않을 정도로 스트레칭을 해주면서 조금씩 회복운동을 해줘야 한다.
근육의 부분파열일 경우 보통 한 달이면 회복이 가능하지만 힘줄의 파열일 경우 근육보다 힘줄을 통하는 혈관들이 적어 회복을 돕는 요소들이 힘줄로 잘 갈 수 없기 때문에 적게는 수개월에서 1년에 걸쳐야 회복이 된다.
특히 위쪽 힘줄부위 부상은 재활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만성이 될 가능성이 높다. 힘줄이 심하게 파열된 경우는 석고고정(깁스)를 해야 하고, 완전히 파열된 경우는 수술을 해야 한다.
을지대병원 정형외과 양대석 교수는 “초기엔 인대손상치료와 염증제거치료 등 비교적 간단한 시술로도 회복이 가능하지만 상태가 심각할 경우에는 인대를 재건하거나 봉합하는 방법도 고려해야 한다”며 “여름철에는 근육이 쉽게 피로해지기 때문에 장시간 운동도 피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특히 햄스트링부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운동 전, 후로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양 교수는 조언했다.
양 교수는 “운동 전 15~30분 동안 스트레칭을 통해 약간 땀이 날 만큼 무릎 관절과 주변 근육들을 부드럽게 이완시켜 유연성을 높여주고 보조근육을 강화시켜줘야 한다”며 “또한 자신의 건강상태를 고려하여 무리하지 않는 강도에서 운동을 하는 것이 좋으며, 운동 후에도 무릎 관절과 주변근육에 대한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햄스트링 부상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dusdnr1663@mdtoday.co.kr)
'근골격계·신경계 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괴사증’ 남성이 여성에 비해 1.7배 많아 (0) | 2014.08.18 |
---|---|
야간에 몰려오는 어깨질환 통증…왜? (0) | 2014.08.13 |
갑작스런 허리 통증, 그냥 넘기지 말자! (0) | 2014.07.29 |
'타이레놀' 요통 증상 개선 효과 없다 (0) | 2014.07.28 |
손목과 손가락이 시큰하고 저리기까지? (0) | 2014.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