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질환·감염병

두통, 발진, 오한까지…가을철 3대 발열성 질환 주의

pulmaemi 2013. 9. 24. 16:20

야외 활동시 기피제 뿌리거나 긴소매나 긴바지 착용하는 것이 좋아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

추석이 지나고 가을이 성큼 다가오면 극심한 일교차 등으로 인해 감기에 걸리는 등 이런저런 잔병치레가 많이 늘어나게 된다. 특히 매년 가을이면 유행하는 무서운 발열성 질환들도 주의해야 될 대상 중 하나이다.

쯔쯔가무시병이란 오리엔티아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털진드기의 유충이 사람을 물 때 그 미생물이 인체 내로 들어가 혈액과 림프를 통해 전신에 퍼져 발열과 혈관염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이는 특히 털진드기의 수가 증가하기 시작하는 9월부터 질병이 발생하기 시작하고 11월에 절정을 이루다가 12월부터는 감소하기 시작하는데 이 시기에 벌초를 하거나 밤을 따는 등의 다양한 이유로 산에 갔다가 털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는 경우가 흔하다. 팔, 다리, 머리, 목 등의 노출 부위 또는 습기가 많은 사타구니, 목덜미, 겨드랑이, 엉덩이 부위를 물리기 쉽다.

감염된 털진드기의 유충에 물린 뒤 1~3주 후에 갑자기 시작되는 두통, 발열, 오한이 초기 증상이며 이어서 기침, 구토, 각막충혈, 근육통, 복통 및 인후염, 림프절 종대 등이 동반되며 피부에 발진과 부스럼 딱지가 나타난다.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1~2일 내에 증상이 빠르게 호전될 수 있지만 치료하지 않으면 약 2주 동안 발열이 지속된다.

렙토스피라병은 렙토스피라균에 감염돼 발생한다. 매년 세계적으로 수백만 명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고 사람과 동물에게 동시에 감염될 수 있는 흔한 인수 공통 전염병이기도 하다. 감염된 동물은 만성 보균상태를 유지하면서 렙토스피라균을 소변으로 배설해 개울이나 강물, 지하수, 흙 등을 오염시킨다.

사람은 오염된 환경과 접촉하면서 감염된다. 특히 장마철 야외활동이 많은 사람에게서 비교적 많이 발생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추수기에 집중호우나 홍수가 있었을 때 농작물 피해방지나 재해복구 작업 등에 참여한 농부, 축산업자, 군인, 자원봉사자들을 중심으로 수차례 발생한 적이 있다.

발생시기는 8월 초부터 시작돼 9월과 10월에 최고조에 달한다. 갑자기 시작되는 발열과 두통, 오한, 심한 근육통, 충혈 등이 흔한 증상이다. 이상한 형태의 발열, 수막염, 발진, 용혈성 빈혈, 피부나 점막의 출혈, 의식저하, 객혈을 동반하는 호흡기 증상 등도 나타날 수 있다.

이 중 황달을 초래하는 랩토스피라병은 5~10% 정도다. 황달이 생긴 중증 환자 중 5~30%가 간 장애가 아닌 신부전으로 사망한다. 그러나 신장투석을 시행하면 사망률이 떨어진다. 대체적으로 사망률은 낮은 편이지만 연령이 높을수록 사망률 또한 높아진다.

늦가을에 유행하는 신증후성 출혈열은 ‘유행성 출혈열’이란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현재 신증후성 출혈열은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15만명에게 발생할 정도로 공중보건학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한타바이러스가 대표적인 원인으로 꼽힌다.

만성 감염된 등줄쥐의 타액, 분변 등으로 한타바이러스가 배출, 공기 중에 건조된 바이러스가 호흡기를 통해 전파된다. 그러므로 쥐가 많이 서식하는 야외에서 눕거나 작업을 할 때 감염 위험이 높다.

주로 건조한 시기인 10~12월에 많이 발생하며 대부분 농촌 지역에서 발생하지만 드물게 도시의 집쥐나 실험용 쥐를 통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야외활동이 많은 남자, 농부, 군인, 설치류 동물 실험실 요원 등에게서도 빈번하게 발생한다.

신증후성 출혈열의 특징은 혈관 기능의 장애인데 모세혈관의 투과성이 증가되고 이로 인해 복막 뒤 부종이 생기면서 복통, 요통이 발생한다. 또 폐포 내로 체액이 유출돼 폐부종이 발생하면 호흡곤란이 나타날 수 있다. 혈관기능 장애뿐만 아니라 혈소판의 기능 장애 및 혈소판 감소가 나타나면서 출혈이 발생하기도 한다.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서부지부 이대일 원장은 “이들 질환은 추석 즈음 벌초나 성묘 등을 하는 과정에서 감염되기도 하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감염 예방을 위해 논밭 작업이나 야외활동 시에는 기피제를 뿌리거나 긴소매, 긴바지, 양말, 장화를 착용해 감염된 털진드기 및 설치류의 배설물에 접촉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좋고 논이나 물이 고인 습지에 들어갈 때는 장화, 장갑 등 보호장구를 착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야외활동 후 두통, 고열, 오한과 같은 심한 감기증상이 있거나 벌레에 물린 곳이 있으면 지체하지 말고 가까운 보건소나 의료기관을 찾아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dusdnr1663@md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