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염제 복용보다는 스트레칭이나 마사지 등이 완화에 좋아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
과유불급이라는 말이 있다. 운동을 처음 시작할 때 많은 사람들이 열의에 넘쳐 무리하곤 하는데 이는 운동을 한 당일보다 다음날이 더 힘든 경우가 대부분 이다. 무리한 운동 다음날 아침 바닥에 발을 딛고 일어서는 순간 통증이 느껴진다면 ‘족저근막염’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족저근막은 발뒤꿈치뼈에서 시작해 발바닥 앞쪽에 5개의 가지처럼 붙은 두껍고 강한 섬유띠인데 이는 발의 충격을 흡수하고 발을 들어 올리는 데 도움을 주며 걸을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런 족저근막의 반복적인 손상으로 근막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변성이 유발되고 염증이 발생하는 것을 족저근막염이라 한다.
다리 길이의 차이, 발바닥의 아치가 정상보다 낮은 평발이나 아치가 정상보다 높은 변형이 있는 경우 족저근막염의 발생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발의 무리한 사용이 원인으로 발생하는 빈도가 훨씬 높다.
즉 평소 운동을 하지 않던 사람이 갑자기 많은 양의 운동을 하거나 바닥이 딱딱한 장소에서 발바닥에 충격을 줄 수 있는 운동을 한 경우, 과체중, 장시간 서 있기, 너무 딱딱하거나 쿠션이 없는 구두의 사용, 하이힐의 착용 등 족저근막에 심한 부하가 가해지는 조건에서 염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흔하다.
아침에 일어나 처음 발을 디딜 때 느껴지는 심한 통증이 전형적인 증상이지만 모두 같은 것은 아니다. 주로 가만히 있을 때는 통증이 없다가 움직이기 시작하면 통증이 발생하고 일정 시간 움직이면 통증이 다시 줄어든다.
일반적으로 족저근막염은 특별한 치료 없이도 천천히 스스로 증상이 좋아지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지만 좋아지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므로 사실 무작정 기다릴 수는 없다.
그러므로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고 무리한 운동을 피해야 한다. 여성의 경우에는 하이힐은 최대한 피하는 것이 좋고 쿠션이 충분한 신발을 신는 것이 도움이 된다.
서울아산병원 정형외과 이호승 교수는 “족저근막염은 염증이 아니므로 치료 또한 단순히 염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소염제를 복용하기보다는 외상에 의해 파열된 근막을 치유시키기 위한 노력을 가하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또한 “바닥이 둥근 신발을 신어 족저근막의 긴장을 감소시키고 평소 족저근막을 마사지 해줘 족저근막의 유연성을 증가시키며 통증을 감소시키는 것이 좋다. 또 족저근막에 가해지는 긴장 정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고정식 자전거나 수영 및 다양한 상체 운동 등이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
족저근막은 발뒤꿈치뼈에서 시작해 발바닥 앞쪽에 5개의 가지처럼 붙은 두껍고 강한 섬유띠인데 이는 발의 충격을 흡수하고 발을 들어 올리는 데 도움을 주며 걸을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런 족저근막의 반복적인 손상으로 근막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변성이 유발되고 염증이 발생하는 것을 족저근막염이라 한다.
다리 길이의 차이, 발바닥의 아치가 정상보다 낮은 평발이나 아치가 정상보다 높은 변형이 있는 경우 족저근막염의 발생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발의 무리한 사용이 원인으로 발생하는 빈도가 훨씬 높다.
즉 평소 운동을 하지 않던 사람이 갑자기 많은 양의 운동을 하거나 바닥이 딱딱한 장소에서 발바닥에 충격을 줄 수 있는 운동을 한 경우, 과체중, 장시간 서 있기, 너무 딱딱하거나 쿠션이 없는 구두의 사용, 하이힐의 착용 등 족저근막에 심한 부하가 가해지는 조건에서 염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흔하다.
아침에 일어나 처음 발을 디딜 때 느껴지는 심한 통증이 전형적인 증상이지만 모두 같은 것은 아니다. 주로 가만히 있을 때는 통증이 없다가 움직이기 시작하면 통증이 발생하고 일정 시간 움직이면 통증이 다시 줄어든다.
일반적으로 족저근막염은 특별한 치료 없이도 천천히 스스로 증상이 좋아지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지만 좋아지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므로 사실 무작정 기다릴 수는 없다.
그러므로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고 무리한 운동을 피해야 한다. 여성의 경우에는 하이힐은 최대한 피하는 것이 좋고 쿠션이 충분한 신발을 신는 것이 도움이 된다.
서울아산병원 정형외과 이호승 교수는 “족저근막염은 염증이 아니므로 치료 또한 단순히 염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소염제를 복용하기보다는 외상에 의해 파열된 근막을 치유시키기 위한 노력을 가하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또한 “바닥이 둥근 신발을 신어 족저근막의 긴장을 감소시키고 평소 족저근막을 마사지 해줘 족저근막의 유연성을 증가시키며 통증을 감소시키는 것이 좋다. 또 족저근막에 가해지는 긴장 정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고정식 자전거나 수영 및 다양한 상체 운동 등이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dusdnr1663@mdtoday.co.kr)
'근골격계·신경계 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칼럼] 남들은 다 초승달 모양? 선천적 기형 ‘원판형연골판’ (0) | 2013.08.03 |
---|---|
ADHD 치료제 한 번 사용으로 노인들 낙상 위험 줄여 (0) | 2013.07.22 |
언제부턴가 손목이 시큰하게 아파요 (0) | 2013.07.12 |
담배연기에 직접 노출 안 되도 흡연 영향권 (0) | 2013.07.12 |
신소재 개발로 인공관절 착용한 ‘사이보그 노인’ 증가 (0) | 2013.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