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목굴 증후군은 휴식이 필요한 질환
[메디컬투데이 김소희 기자]
컴퓨터로 작업하는 직업군들은 손목이 아프다고 호소한다. 그들은 매일 의자에 앉아 마우스나 키보드를 움직이다보니 ‘손목터널증후군’이 생겼지만 직업이기 때문에 그만둘 수 없어 점점 증상이 심화된다고 말한다.
가톨릭대 의정부성모병원 신경과 이시백 교수에 따르면 손목터널증후군 즉 손목굴 증후군은 엄지손가락과 둘째, 셋째 손가락의 말단부 손가락 관절이 굴곡되고 동일 부위의 감각을 담당하는 정중 신경이 손목 부위에서 눌리게 돼 나타나는 질환이다.
손목굴 증후군의 증상으로는 엄지손가락, 집게손가락 및 가운데 손가락에 저리고 찌르는 듯한 통증이 대표적이다.
이때 증상은 서서히 발생하며 손바닥 쪽에만 증상이 있고 새끼손가락이나 손등에는 증상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병변이 있는 손을 많이 사용하거나 밤에 증상이 심해지고 점차 진행되면 근위축과 근력저하가 발생해 병뚜껑을 돌리는 데도 힘이 든다.
이시백 교수는 “단순한 손목굴 증후군이 아니라 간혹 경추 추간판탈출증(디스크) 또는 뇌졸중의 한 증상으로 손 저림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전문의에게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종종 양손 모두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전신적인 질환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류마티스성 관절염, 갑상선 기능 저하증, 당뇨병, 통풍 등의 동반 질환을 확인해야 한다. 특히 임신 중에만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고 덧붙였다.
만약 손목굴 증후군이 발생했으나 아직 초기라면 충분한 휴식과 보조기 착용,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제를 투여 등으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때 동반되는 전신질환이 있는 경우 그에 대한 치료를 병행하면 된다.
무엇보다 손목굴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지속적이고 반복되는 동작 등 해당 부위를 과도하게 사용하지 않는 게 중요하다.
이 교수는 “지나친 손목이나 손 운동을 억제하고 장시간의 컴퓨터 사용과 같이 손목의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동작을 피하는 등 작업 환경을 개선해 손목의 부담을 덜어준다. 증상이 발생하면 조기에 전문의의 진료와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가톨릭대 의정부성모병원 신경과 이시백 교수에 따르면 손목터널증후군 즉 손목굴 증후군은 엄지손가락과 둘째, 셋째 손가락의 말단부 손가락 관절이 굴곡되고 동일 부위의 감각을 담당하는 정중 신경이 손목 부위에서 눌리게 돼 나타나는 질환이다.
손목굴 증후군의 증상으로는 엄지손가락, 집게손가락 및 가운데 손가락에 저리고 찌르는 듯한 통증이 대표적이다.
이때 증상은 서서히 발생하며 손바닥 쪽에만 증상이 있고 새끼손가락이나 손등에는 증상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병변이 있는 손을 많이 사용하거나 밤에 증상이 심해지고 점차 진행되면 근위축과 근력저하가 발생해 병뚜껑을 돌리는 데도 힘이 든다.
이시백 교수는 “단순한 손목굴 증후군이 아니라 간혹 경추 추간판탈출증(디스크) 또는 뇌졸중의 한 증상으로 손 저림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전문의에게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종종 양손 모두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전신적인 질환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류마티스성 관절염, 갑상선 기능 저하증, 당뇨병, 통풍 등의 동반 질환을 확인해야 한다. 특히 임신 중에만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고 덧붙였다.
만약 손목굴 증후군이 발생했으나 아직 초기라면 충분한 휴식과 보조기 착용,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제를 투여 등으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때 동반되는 전신질환이 있는 경우 그에 대한 치료를 병행하면 된다.
무엇보다 손목굴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지속적이고 반복되는 동작 등 해당 부위를 과도하게 사용하지 않는 게 중요하다.
이 교수는 “지나친 손목이나 손 운동을 억제하고 장시간의 컴퓨터 사용과 같이 손목의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동작을 피하는 등 작업 환경을 개선해 손목의 부담을 덜어준다. 증상이 발생하면 조기에 전문의의 진료와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메디컬투데이 김소희 기자(kimsh333@mdtoday.co.kr)
'근골격계·신경계 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HD 치료제 한 번 사용으로 노인들 낙상 위험 줄여 (0) | 2013.07.22 |
---|---|
무리한 운동한 다음날 아침, 일어서자마자 찌릿 (0) | 2013.07.18 |
담배연기에 직접 노출 안 되도 흡연 영향권 (0) | 2013.07.12 |
신소재 개발로 인공관절 착용한 ‘사이보그 노인’ 증가 (0) | 2013.07.12 |
오늘도 머리가 지끈지끈 ‘두통’ (0) | 2013.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