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심혈관계 질환

갑작스레 발병하는 ‘뇌경색증’, 위험요인 관리가 중요 *

pulmaemi 2013. 4. 12. 08:55

최근 5년간 상급종합병원 진료환자 가장 크게 증가…연평균 5.3% ↑

 

[메디컬투데이 신은진 기자]

갑작스레 발병하는 ‘뇌경색증’은 위험요인 관리가 중요하다는 의견이다. 최근 5년간 상급종합병원의 뇌경색증 진료환자가 가장 크게 증가해 더욱더 주의를 요한다.

12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최근 5년간(2007~2011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뇌혈관 질환’으로 분류되는 ‘뇌경색증’ 질환의 진료인원은 2007년 38만명에서 2011년 43만2000명으로 늘어나 연평균 3.3%의 증가율을 보였다.

남성은 2007년 19만명에서 2011년 22만2000명으로 연평균 4% 증가했고 여성은 2007년 18만9000명에서 2011년 20만9000명으로 연평균 2.5% 늘었다.

2011년 기준 연령대별 진료환자 구성비율은 70대가 35.7%를 차지해 다른 연령층에 비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60대 26.9%, 80세 이상 16.5%, 50대 15.3% 순으로 나타나 전체 진료환자 43만명2000명중 60대 이상이 34만2000명으로 79.1%를 차지했다.

2011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건강보험 진료환자를 살펴보면 남성이 896명, 여성이 857명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약간 많았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남성은 80세 이상(9984명), 70대(6714명), 60대(3419명) 순으로 많았고, 여성은 80세 이상(7415명), 70대(5662명), 60대(2403명) 순으로 나타났다.

요양기관종별로 ‘뇌경색증’ 건강보험 진료환자를 살펴보면 최근 5년 동안 상급종합병원을 이용한 환자가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나 연평균 5.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 기준으로 ‘뇌경색증’ 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종합병원 18만2952명, 상급종합병원 14만1841명, 병원 8만3856명, 그리고 의원 6만9788명 순으로 이용을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 진료비 증가 추이를 살펴보면 ‘뇌경색증’ 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07년 5924억 원에서 2011년 8651억 원으로 1.5배, 연평균 9.9% 증가했으며 건강보험공단에서 지급한 급여비는 2007년 4243억 원에서 2011년 6247억 원으로 1.5배, 연평균 10.2% 증가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과 이준홍 교수는 “뇌경색증은 뇌혈관이 막혀서 발생하는 것으로 뇌혈관이 터져서 발생하는 뇌출혈과 구분된다. 뇌경색과 뇌출혈을 통틀어 뇌졸중(뇌혈관 질환)이라고 하며 뇌졸중은 뇌혈관의 폐색 또는 터짐에 의하여 손상된 뇌부위의 신경학적 증상이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준홍 교수에 따르면 뇌경색증의 원인으로는 조절이 가능한 원인과 조절이 불가능한 원인으로 분류할 수 있다. 조절이 불가능한 원인으로는 나이, 유전적 요인 등이 있고 조절이 가능한 원인으로는 고혈압, 당뇨병, 부정맥 등의 심장질환, 비만, 고지혈증, 흡연, 과음, 비만, 운동부족, 수면무호흡증, 경동맥 협착 등이 있어 평소의 관심과 적극적인 관리로 예방이 가능하다.

뇌경색증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편마비, 구음장애, 어지러움증, 언어장애, 기억력 및 인지기능의 장애, 두통, 복시, 삼킴장애, 감각이상 등이 갑자기 나타나게 된다. 후유증으로는 거동장애, 보행장애 및 어지러움증 등과 혈관병의 후유증으로 협심증, 심근경색, 부정맥, 폐렴, 하지혈관협착 및 폐색, 낙상, 골절, 욕창, 패혈증 등 다양한 합병증이 나타나게 되며, 적극적인 치료 및 관리를 하지 않을 경우 주요 사망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 교수는 “일단 뇌경색증이 발생하면 증상 발생 후 치료시작을 얼마나 빨리 할 수 있는지가 예후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된다. 증상이 발생하면 최대한 빨리 급성기 뇌졸중 치료 시설 및 인력을 갖추고 있는 병원을 방문하여 혈전용해술, 혈관확장술, 혈전제거술 등의 초급성기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뇌경색증은 생활병이라고 할 만큼 위험요인의 관리가 가장 중요하다. 조절 가능한 위험요인인 고혈압, 당뇨병, 부정맥등의 심장질환, 비만, 고지혈증, 흡연, 과음, 비만, 운동부족, 수면무호흡증, 경동맥 협착 등의 조기발견 및 관리에 힘쓰는 것이 뇌경색증의 예방에 필수적이다.

규칙적인 혈압 측정과 혈압관리, 당뇨 관리, 금연과 절주가 중요하며 또한 동물성 지방이나 콜레스테롤이 적은 음식을 싱겁게 먹는 건강한 식사습관을 유지하고 적어도 일주일에 4일은 하루에 30분 이상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심방세동 등의 심장병이나 목동맥 협착증이 있는 경우 반드시 전문적인 진료가 필요하겠다.
 
메디컬투데이 신은진 기자(ejshin@md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