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여대 류인균 교수팀, 일반정신의학회지에 연구 논문 발표
[메디컬투데이 김소희 기자]
제1형 당뇨병이 상측 전전두엽의 손상을 가져와 우울증을 유발한다는 신경생물학적 메커니즘이 규명됐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9일 21세기 프론티어사업의 이화여대 류인균 교수 연구팀이 당뇨병에서 우울증 발병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신경생물학적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교과부에 따르면 그동안 당뇨병 환자가 우울증 발병률이 높다는 사실이 주목받아 왔으나 당뇨병과 우울증간의 공통된 신경생리학적 기전이 있을 것이라는 가정만 난무했다.
이에 연구팀은 ‘21세기프론티어 뇌프론티어사업단’ 및 ‘글로벌연구 네트워크 사업’의 지원으로 세계적 당뇨병 연구기관인 Joslin 당뇨병 센터의 Alan M Jacobson 교수, 미국 유타대학교 뇌연구소 Perry F Renshaw 교수팀과 공동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제1형 당뇨병 환자중에 과거 우울 에피소드가 있었던 우울증군은 우울 에피소드가 없었던 대조군에 비해 상측 전전두엽의 두께가 얇아진 것으로 밝혀냈다.
또한 우울 에피소드를 가진 제1형 당뇨병 환자군에서 생애 혈당 조절이 안 될수록 상측 전전두엽의 두께 감소 정도가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연구팀은 제1형 당뇨병으로 인한 상측 전전두엽의 구조적 손상 즉 두께가 감소가 우울증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즉 상측 전전두엽이 제1형 당뇨병과 우울증의 병태 생리에 모두 관여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
류인균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당뇨병으로 인한 고혈당과 신경 독성의 증가, 우울증 발병으로 이어지는 과정의 생물학적 기전을 제시하는 것으로 보다 효과적인 치료 전략을 세우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신경과학 및 정신의학 부문 최고 수준의 권위지인 ‘일반정신의학회지’에 지난 23일자로 게재됐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9일 21세기 프론티어사업의 이화여대 류인균 교수 연구팀이 당뇨병에서 우울증 발병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신경생물학적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교과부에 따르면 그동안 당뇨병 환자가 우울증 발병률이 높다는 사실이 주목받아 왔으나 당뇨병과 우울증간의 공통된 신경생리학적 기전이 있을 것이라는 가정만 난무했다.
이에 연구팀은 ‘21세기프론티어 뇌프론티어사업단’ 및 ‘글로벌연구 네트워크 사업’의 지원으로 세계적 당뇨병 연구기관인 Joslin 당뇨병 센터의 Alan M Jacobson 교수, 미국 유타대학교 뇌연구소 Perry F Renshaw 교수팀과 공동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제1형 당뇨병 환자중에 과거 우울 에피소드가 있었던 우울증군은 우울 에피소드가 없었던 대조군에 비해 상측 전전두엽의 두께가 얇아진 것으로 밝혀냈다.
또한 우울 에피소드를 가진 제1형 당뇨병 환자군에서 생애 혈당 조절이 안 될수록 상측 전전두엽의 두께 감소 정도가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연구팀은 제1형 당뇨병으로 인한 상측 전전두엽의 구조적 손상 즉 두께가 감소가 우울증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즉 상측 전전두엽이 제1형 당뇨병과 우울증의 병태 생리에 모두 관여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
류인균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당뇨병으로 인한 고혈당과 신경 독성의 증가, 우울증 발병으로 이어지는 과정의 생물학적 기전을 제시하는 것으로 보다 효과적인 치료 전략을 세우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신경과학 및 정신의학 부문 최고 수준의 권위지인 ‘일반정신의학회지’에 지난 23일자로 게재됐다.
메디컬투데이 김소희 기자(kimsh333@mdtoday.co.kr)
'당뇨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병약 '메트포민' 설포닐유레아 보다 심혈관건강에 더 이로워 (0) | 2012.11.12 |
---|---|
당뇨병 환자 3명 중 2명, 혈당측정 하루 한번도 안해 (0) | 2012.11.07 |
한국인 제2형 당뇨병 환자 복부비만 기준 3~4cm 낮춰야 (0) | 2012.10.30 |
물을 마셔도 계속 목이 말라서… (0) | 2012.10.26 |
망막질환 실명 4명 중 1명, 당뇨망막병증이 원인 (0) | 2012.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