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생활

농어촌 주민 응급의료 이용 현황…‘응당법’ 실시로 더 악화됐다?

pulmaemi 2012. 10. 11. 10:16

지방 병원급 의료기관, 응급의료센터 지정 반납 등 문제

 

[메디컬투데이 안태양 기자]

그동안 농어촌 응급의료 정책강화를 위한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응당법’ 실시 후 농어촌 응급의료전달체계가 더욱 약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5일 발표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농어촌 주민의 일반·응급의료이용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농어촌 지역 거주민의 일반 및 응급의료 이용 현황을 파악하고자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가장 어려운 점은 주위에 응급처치를 할 수 있는 사람이 없는 경우였고 두 번째로는 응급의료기관까지의 접근성 문제(25.21%)인 것으로 나타났다.

농어촌지역의 의료시설이나 응급의료시설 현실은 전체 의료기관의 12.9%, 전체 병상수의 15.4%만이 분포되어 있는데다가 농어촌에서 활동중인 의사는 전체의 4.8%로 상당히 열악한 상황이다.

농어촌지역에서 응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가장 어려운 점은 주위에 응급처치를 할 수 있는 사람이 없는 경우였고 두 번째로는 응급의료기관까지의 접근성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지역의 경우 응급 시 어려운 점이 없었다는 응답도 25.00%로 나타났으나 농어촌에서는 그러한 응답은 14.67%에 불과했으며 응급의료기관까지의 접근성 문제와 119구급차가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에서는 도시에 비해 높은 응답을 보였다.

보고서는 농어촌의 경우 도시에 비해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접근성이 낮기 때문에 병원전 단계에 대한 정책 강화가 요구되고 있다며 “최근 ‘응당법’ 시행이 ‘병원단계’에서의 서비스 질 강화에 집중됐지만 농어촌에서는 응급상황 시 먼저 응급의료기관으로 후송하는 ‘병원전 단계’부터 해결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 동안 농어촌 응급의료 정책강화를 위해 투입된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 정책효과는 잘 나타 나지 않고 있는 반면 최근 ‘응당법’ 실시 이후 지방 병원급 의료기관이 응급의료센터의 지정을 반납 하는 등 농어촌 응급의료전달체계가 더욱 약화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덧붙였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경우 도시와 농촌의 의료제공 환경 차이를 정책에 반영할 수 있도록 중앙에서는 정책의 근간이 되는 기본정책을 수립하되 세부적인 정책들을 지방에서 수립하도록 하고 수립된 계획에 따라 효과적으로 정책이 실시되도록 지원모니터링을 실시하는 방안을 검토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메디컬투데이 안태양 기자(xodid114@md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