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장중첩증 방치하면 장이 괴사될 수 있어… 증상 나타나는 즉시 병원으로
[메디컬투데이 김소희 기자]
어느 날 갑자기 아이가 심하게 보채서 기저귀를 보니 딸기쨈 같은 변이 떡하니 자리하고 있었다면? 어느 부모라도 당황해서 어찌할 바를 모를 것이다. 만약 이런 상황이 닥쳤다면 그 즉시 바로 병원을 찾아야 한다. 장 괴사까지 이를 수 있는 ‘소아 장중첩증’일 수 있기 때문이다.
소아 장중첩증은 소장과 대장 모두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장의 일부가 다른 장안으로 마치 망원경처럼 말려들어가 장막힘을 유발하는 소아 응급 복부질환이다.
이때 말려들어간 장으로 물이나 음식 등이 통과하지 못하고 장의 부종이 진행돼 오랜 기간이 지나면 장이 괴사될 수 있다.
소아 장충접증의 증상으로는 ▲간헐적인 심한 복통으로 아이가 심하게 보챔 ▲기저귀에 딸기잼이나 젤리 같은 형태의 변을 봄 ▲복부에 덩어리가 만져짐 ▲복부 팽만 ▲녹색의 구토 ▲설사 및 발열 등이 있다.
만약 평소 건강하던 아이가 갑자기 소리를 지르면서 비명 같은 울음소리를 내면 장중첩증일 수 있다. 특히 울면서 무릎을 가슴쪽으로 움직이며 반복적으로 15~20분 정도 지속적으로 울고 시간이 갈수록 더욱 잦은 빈도를 보인다면 장중첩증을 의심해봐야 한다.
소아 장중첩증은 특별한 원인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감기나 장염의 요인이 되는 바이러스 감염이나 여러 종류의 종양이 원인일 수 있다.
이는 3개월~6세 소아에서 발생하며 1세 이하에서 가장 흔하다. 특히 선천성 질환의 하나인 장회전이상증을 가진 아이들에서 발생빈도가 높고 한번 장중첩증을 앓았던 아이들은 그렇지 않은 아이들에 비해 장중첩증이 생길 확률이 더 높다.
소아 장중첩증을 방치할 경우 장으로 가는 혈류가 차단돼 장이 괴사하거나 장천공이 유발돼 복막염과 패혈증을 일으킬 수 있다. 복막염은 복통과 복부팽만, 발열 등을 야기하고 결국 아이는 쇼크에 빠지게 된다.
계명대 동산병원 소아외과 정은영 교수는 “아이에게 장중첩증 증상이 나타난다면 그 즉시 응급실을 찾아야 한다. 괜히 약국에서 약을 지어먹이는 등 병원에 오는 시간을 지연시키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고 말했다.
이어 “소아 장중첩증은 원인이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이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따라서 아이들을 관찰하고 이러한 질환이 의심될 때 병원을 빨리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소아 장중첩증은 소장과 대장 모두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장의 일부가 다른 장안으로 마치 망원경처럼 말려들어가 장막힘을 유발하는 소아 응급 복부질환이다.
이때 말려들어간 장으로 물이나 음식 등이 통과하지 못하고 장의 부종이 진행돼 오랜 기간이 지나면 장이 괴사될 수 있다.
소아 장충접증의 증상으로는 ▲간헐적인 심한 복통으로 아이가 심하게 보챔 ▲기저귀에 딸기잼이나 젤리 같은 형태의 변을 봄 ▲복부에 덩어리가 만져짐 ▲복부 팽만 ▲녹색의 구토 ▲설사 및 발열 등이 있다.
만약 평소 건강하던 아이가 갑자기 소리를 지르면서 비명 같은 울음소리를 내면 장중첩증일 수 있다. 특히 울면서 무릎을 가슴쪽으로 움직이며 반복적으로 15~20분 정도 지속적으로 울고 시간이 갈수록 더욱 잦은 빈도를 보인다면 장중첩증을 의심해봐야 한다.
소아 장중첩증은 특별한 원인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감기나 장염의 요인이 되는 바이러스 감염이나 여러 종류의 종양이 원인일 수 있다.
이는 3개월~6세 소아에서 발생하며 1세 이하에서 가장 흔하다. 특히 선천성 질환의 하나인 장회전이상증을 가진 아이들에서 발생빈도가 높고 한번 장중첩증을 앓았던 아이들은 그렇지 않은 아이들에 비해 장중첩증이 생길 확률이 더 높다.
소아 장중첩증을 방치할 경우 장으로 가는 혈류가 차단돼 장이 괴사하거나 장천공이 유발돼 복막염과 패혈증을 일으킬 수 있다. 복막염은 복통과 복부팽만, 발열 등을 야기하고 결국 아이는 쇼크에 빠지게 된다.
계명대 동산병원 소아외과 정은영 교수는 “아이에게 장중첩증 증상이 나타난다면 그 즉시 응급실을 찾아야 한다. 괜히 약국에서 약을 지어먹이는 등 병원에 오는 시간을 지연시키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고 말했다.
이어 “소아 장중첩증은 원인이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이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따라서 아이들을 관찰하고 이러한 질환이 의심될 때 병원을 빨리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메디컬투데이 김소희 기자(kimsh333@mdtoday.co.kr)
'여성·유아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구화된 식습관, 폐경 이후 유방암 늘어” (0) | 2012.10.10 |
---|---|
‘요실금’ 부끄럽다고 참으면 더 이상 안 된다 (0) | 2012.10.08 |
한국여성의 가장 큰 가슴앓이, 유방암 (0) | 2012.10.08 |
'보톡스' 얼굴에만 맞는다고?... 방광에도 맞아요 (0) | 2012.10.08 |
‘한부모가족지원법’ 시행…미혼모들은 어디로 가야하나 (0) | 2012.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