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환경성질환, 안전

공설운동장·생활체육시설에도 석면 사용…정부 은폐 의혹

pulmaemi 2011. 10. 13. 11:17

환경부, 업체 눈치보기만

 

[메디컬투데이 최원석 기자]

시민들이 이용하는 공설운동장과 생활체육시설 등에도 감람석이 사용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정부가 어디에 사용됐는지 정보를 공개하지 않고 은폐하려 한다는 의혹이 일고 있다.

지금까지 정부와 서울시가 공식적으로 감람석 운동장에서 석면 검출을 확인한 곳은 잠실, 목동 등 야구장과 서울 양명초, 부산 몰운대초 등 8개교다.

문제는 이들 야구장과 학교 외에도 감람석으로 조성한 공설운동장과 생활체육시설 등이 더 있다는 것이다.

정부 관계자는 "현재 문광부에서 전수 조사를 진행하고 있는데 공설운동장과 생활체육시설의 일부 구간에 감람석 운동장이 쓰인 것을 확인했다"며 감람석 운동장이 더 있다는 사실을 뒷받침했다. 환경부도 사문석·감람석이 전국적으로 유통됐는지 여부에 대해 확인되지 않았으나 가능성 있다는 입장이다.

석면 사태에 대한 논란이 불거지자 뒤늦게 교과부는 감람석으로 깐 초중고 학교 운동장을 전수조사하고 있으며 문광부도 전국의 공설운동장과 생활체육시설을 대상으로 감람석 사용실태를 조사하고 있다.

그러나 문광부는 감람석 사용에 대한 조사 결과가 나와도 정보를 공개할 가능성이 적다고 밝혔다.

문광부 관계자는 "각 지자체와 구청 등에 감람석 운동장 실태 조사와 결과 보고서 제출하라고 공문을 보냈다"며 "아마 11월 초나 돼야 결과가 나올 듯하다"고 말했다.

감람석 사용에 따른 정보 공개 여부에 대해 이 관계자는 "공설운동장, 생활체육시설에 사용된 사문석·감람석이 확인돼도 공개를 안 할 것이다"며 "뭐하러 문광부가 나서서 긁어 부스럼 만드나"고 덧붙였다.

석면 대응과 관련 주부처인 환경부가 있는데 문광부가 나서서 분란을 일으킬 필요 없다는 것이 문광부의 설명이다. 한마디로 은폐하겠다는 것이다. 1달 동안 일부 감람석 운동장으로 조성된 생활체육시설 등을 이용한 시민들은 석면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때문에 환경부가 나서서 근본적이고 시급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환경부는 1급 발암물질인 석면의 유해성을 간과하고 여전히 늑장대응과 업체 눈치보기만 하고 있다.

국내에 사문석 광산은 경북 안동 2곳, 충남 청양 1곳 등 총 3곳이 있다. 광산에서 나오는 감람석은 제철소에서 80% 정도 사용되고 20%가 감람석 운동장, 조경석 등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사문석과 감람석 광산에서 어디로 유통됐는지 환경부가 나서서 파악을 하면 전수조사가 가능하다는 지적이다. 업체를 통해 유통상황만 파악되면 어디에 감람석과 사문석이 쓰였는지 발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환경부, 교과부, 문광부 세 부처가 각기 따로, 그것도 지자체와 구청에 협조를 구해 일일이 조사를 진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환경보건시민센터 임흥규 팀장은 "현재까지 석면 사용이 확인된 곳은 일부에 불과하다"며 "환경부가 직접 나서 공급업체를 조사해 얼마나 어디에 유통됐는지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전문가들은 문광부과 교과부의 전수조사 결과가 나오면 정보 공개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환경부 관계자는 "현재 업체 협조를 구하고 있고 알아보고 있으나 업체 쪽에서는 기업 비밀에 해당되기 때문에 꺼려하는 게 사실이다"며 "최대한 협조를 요청하겠다"고 해명했다.

한편 환경부는 야구장 석면 사태에 대한 비판 여론이 거세지자 "석면노출에 따른 국민건강을 지키고자 석면안전관리법 마련에 심혈을 기울여 왔다"는 골자의 "일련의 석면사태, 환경부의 늦장 대응은 아닙니다"라는 공식입장을 밝힌 바 있다.

 
메디컬투데이 최원석 기자(taekkyonz@md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