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투데이=이재혁 기자] 치매의 다양한 원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알츠하이머 치매가 최근 국내 40세 이상 인구에서 점차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백민석 교수(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신경과 전문의) 연구팀은 국내 알츠하이머 치매의 유병률 및 발병률의 최근 추세를 밝혀내고, 당뇨·고혈압 등의 요인이 알츠하이머 치매 발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결과를 30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국가 빅데이터를 활용해 2006년부터 2015년 기간 동안 국내 40세 이상 남녀 2000여 명의 데이터를 추적·관찰했다.
그 결과 인구 1000명당 알츠하이머 치매 발병률은 2006년 1.83명에서 2015년 5.21명으로 약 2.85배 상승했다. 또한 인구 1000명당 알츠하이머 치매 유병률은 2006년 3.17명에서 2015년 15.75명으로 약 5배가 상승해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40세 이상 전 연령대에서 동일한 추이를 보였다.
고혈압과 고지혈증 질환군에서의 치매 발병률은 대조군(비질환군)에 비교해 높았으나, 해당 기간 동안 양 집단에서의 발병률 격차는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를 보였다.
한편 치매에 동반되는 혈관성·내과성 질환에 대한 치료 수준이 높아지면서 알츠하이머 치매 발병율 또한 점차 감소하고 있다는 기존 연구 결과들이 있었으나, 연구 대상자의 수가 적어 결과 해석에 제약이 있었다.
그러나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활용한 이번 연구결과에서는 국내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는 상반된 결과를 도출하면서,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에 대한 지속적 관심과 치료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시사하게 됐다.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백민석 교수는 “우리나라 알츠하이머 치매 진단의 증가는 사회 고령화와 함께 치매의 조기진단률을 높이려는 정부 정책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으므로, 본 연구 결과를 부정적으로만 해석할 필요는 없다”고 하면서도 “알츠하이머 치매의 조기진단과 동반질환의 적극적인 치료를 위한 지역사회와 의료기관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SCIE급 국제학술지 ‘프론티어인뉴롤로지’(Frontiers in Neurology) 2022년 5월호에 게재됐다.
메디컬투데이 이재혁 기자(dlwogur93@mdtoday.co.kr)
'뇌·심혈관계 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규칙 심장 박동’ 심방세동 환자, 한해 24만명…4년만에 35.3%↑ (0) | 2022.07.14 |
---|---|
뇌졸중 있으면 우울·불안…자살사고 위험 4.66배 ↑ (0) | 2022.06.23 |
뇌졸중, 재활치료 골든타임 확보가 건강한 일상생활 복귀 포인트 (0) | 2022.05.04 |
노년층 ‘파킨슨병’ 환자 5년간 15% ↑…70대가 38% (0) | 2022.04.18 |
치매 환자의 배우자, 치매 걸릴 위험성 2배 ↑ (0) | 2022.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