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치대 김의성 교수, 곽영준 연구원 심평원 빅데이터 조사
1차 신경치료 치아 5년 생존율 90.94%, 2차 후속치료 치아 5년 생존율 86.25%
[메디컬투데이 지용준 기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에서 제공하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국 치과의사들에 의해 시행된 신경치료 받은 치아를 5년 동안 추적 조사한 결과 신경치료 받은 치아의 5년 생존율은 90.94%로 나타났다.
또한, 처음 시행한 신경치료에 문제가 생겨 재신경치료나 치근단 수술 같은 2차 후속치료를 통해 치아를 구강 내 유지할 수 있는 확률은 86.25%에 달했다.
연세대 치과대학 보존과학교실 김의성 교수와 곽영준 연구원으로 구성된 연구팀은 2010년에 대한민국에서 신경치료를 받은 치아 중 건강보험공단 코호트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모든 치아를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2010년에 1차 신경치료가 이뤄진 치아의 총 개수는 286만6749개였다. 이중 아무런 후속치료가 없었던 치아는 281만2658개, 후속치료가 있었던 치아는 5만4091개였다. 후속치료가 없었던 경우 5년 후 치아가 남아있는 경우는 90.94%(255만7800개)였다. 즉 1차 신경치료로도 10개 중 9개의 치아는 5년 넘게 유지됐다. 5년 내 발치된 경우는 9.06%(25만4858개)였다.
1차 신경치료 후 다시 문제가 발생해 재신경치료, 치근단 절제술, 의도적 재식술 등 후속치료가 있었던 치아는 총 5만4091개였다. 이중 5년 후 생존해 있는 치아는 4만6656개(86.25%), 5년 내 발치된 치아는 7435개(13.75%)였다. 즉 1차 신경치료 후에도 치아에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후속치료를 받아 치아가 유지되는 경우는 86%가 넘었다.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연구팀은 발치보다 후속치료를 받는 것이 치아 보존에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총 286여만개 치아 중 약 9%에 해당하는 25만여개의 치아는 후속치료 없이 발치가 됐다. 발치된 치아는 그냥 그대로 있거나 보철치료 혹은 임플란트 시술을 받았을 것이다. 특히 임플란트는 최근 65세 이상 어르신들에게 평생 2개까지 보험치료가 가능하므로 국가보험 재정에도 부담을 줄 수 있다. 수직치근파절, 치주질환 등 발치를 피할 수 없는 경우도 있지만, 2차 후속치료의 치아 5년 생존율이 86.25%인 것으로 나타나 재신경치료나 치근단 수술을 시도하지 않고 발치가 이뤄진 것은 개선돼야 할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메디컬투데이 지용준 기자(yjun89@mdtoday.co.kr)
'구강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 10명 중 3명, 구강질환 있어도 치과 치료 안 받아 (0) | 2019.01.31 |
---|---|
'잇몸질환' 유발균 치매도 유발? (0) | 2019.01.25 |
노화에 따른 치아 상실, 치과에서 ‘임플란트 틀니’로 해결 (0) | 2019.01.18 |
얼굴비대칭 교정, 치료비용 부담 줄이는 건보 적용은 어떻게? (0) | 2019.01.14 |
뽑아? 말아? 사랑니 발치의 적기는 (0) | 2019.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