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투데이 남연희 기자]
누구나 한번쯤은 겪는 어지럼증은 매우 흔한 증상이며 원인도 다양하다. 머리, 귀, 심장, 혈관이 원인일수도 있다. 대부분의 어지럼증의 원인은 심각하지 않지만, 일부는 아주 심각한 원인이 숨어 있을 수도 있다.
어지럼증은 굉장히 다양한 원인이 있다. 어지럼증은 이비인후과, 신경외과, 신경과 등 다양한 과에서 진찰되며, 정확한 원인 진단이 중요하다.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이석증이 많아지고 있는데, 어지럼증의 20~50%정도의 원인은 이석증으로 나타났다. 어지럼증이 있다 해서 무조건 빈혈이라 생각해 철분을 섭취하는 것은 활성산소를 많이 생성시키는 부작용을 초래 할 수 있다.
영양분이 부족하면 어지럼증을 느낄 수도 있으나, 대부분의 어지럼증은 영양분의 부족으로 인해서 일어나는 것 이 아니다. 어지럽다 해서 음식을 많이 섭취하면 추후의 치료에 있어서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한다.
추워지면 자율신경계나 심뇌혈관에 문제가 있는 경우 더 어지러움을 느낄 수도 있다. 추워지면 자율신경기능이 증가하게 되고 교감, 부교감신경의 균형이 무너지고, 몸의 긴장도가 증가하여 신체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일교차가 심할 때에는 심뇌혈관질환이 증가하기 때문에, 어지럼증이 증가한다고 볼 수 있다.
어지럼증의 증상은 팽이 돌 듯이 뺑뺑 돈다, 앞이 캄캄하다, 아찔하다 등으로 표현하기도 하며, 몇 걸음 걸어 구토를 하기도 한다. 또한 안색이 창백해지고 식은땀을 흘리기도 한다. 이외에도 연관 질환에 따라 귀가 먹먹하다던가, 눈이 침침해지고, 발음이 잘되지 않기도 한다.
어지럼증을 방치하면 청력이 손실될 수도 있는데, 귀의 주요한 기능은 청력 뿐 만이 아니라, 전정기관과 세반고리관이 있어 각각 위치와 회전기능을 담당한다. 사람은 뇌와 양측 귀 3개의 기관이 어지러움을 관장하고 있다. 이 때 한 쪽 귀가 소실되거나, 기능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양측 귀가 감지하는 정보의 차이가 발생해 심한 회전성 어지러움(현운, vertigo)이 생기기도 한다.
귀 질환을 의심할 수 있는 어지럼증으로는 첫 번째 이석증이다. 이석증은 전정기관에는 이석이 있어 몸이 흔들림을 감지하는데, 이석이 떨어져나가 부유성 석회화 물질이 되 세반고리관으로 들어가는 질환을 말한다. 주요 증상은 주변이 빙빙 돌고 한쪽으로 기울여지며 땅이 울렁거리며 특히 아침에 증상이 심해진다. 이석증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비디오안진검사기를 이용해서 어느 곳에 이석증이 생겼는지 검사한 후 치료한다. 이석증이 어느 위치에 생겼는지 판정이 되면, 간단한 약과 운동치료를 통해서 치료를 할 수 있다.
이석을 제거해야 하는 경우는 이석 치환술 등을 통해 이석을 제거할 수도 있으나, 이석 습성화 훈련을 통해 이석증을 극복하는 방법을 권하고 있다. 고개를 한쪽으로 돌려 천정을 보면서 옆으로 누워 귀안의 불순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반대로도 행한다. 이러한 방법을 아침에 한쪽 귀당 2분씩 10번 정도 좌우로 행하면 이석을 제거 할 수 있다.
두 번째는 전정신경염으로, 전정신경에 발생한 염증으로 인해 어지럼증을 경험하는 질환이다. 심한 어지럼증과 구역, 구토가 자연적으로 발생하여 수 시간 동안, 길게는 하루 이상 지속되는 것이 특징이다. 전정신경염은 양성의 질환이고 저절로 호전되기 때문에 환자가 증상을 견딜 수 있으면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전정신경 재활운동을 통해 전정기관을 강화하면 예방할 수 있다. 전정신경 재활운동은 눈으로 목표를 주시하는 것을 훈련시키고 평형기능을 강화시켜 어지러움을 덜하게 해준다.
세 번째는 메니에르병이다. 메니에르병은 귀에 물이 찬 듯이 먹먹하게 느낌이 동반되는 증상으로, 쉽게 말해 ‘귀 고혈압’이라고 할 수 있다. 달팽이관 안에는 내림프액이 순환하는데, 그 순환이 정상적이지 못하면, 달팽이관이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게 되고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난다. 초기에는 귀가 먹먹한 느낌이 들고, 점차 청력이 떨어지고 이명이 생기게 된다. 그러다 결국 압력이 쌔지면서 달팽이관이 터지게 되는데, 이때는 극심한 어지러움을 경험하게 된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이비인후과 임기정 교수는 “메니에르병은 짠 것, 단 것, 매운 것, 국물, 소금, 설탕 등 인공적인 것을 많이 섭취해 생기는 현대의 문명병 같은 것이라, 이런 것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며 “약물 치료의 경우 이뇨제를 복용해 염분을 배출해 주는 것이 좋으며, 청력이 떨어져가는 경우에는 스테로이드를 복용해 청력을 보존한다. 또한 정말 어지러울 때를 대비해서 어지럼증 비상약과 안정제를 준비해놓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귀는 청각과 연결돼 있기 때문에 가만히 두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특히 청력이 약해지고 귀에서 소리가 나는 어지럼증, 귀가 먹먹한 느낌이 동반되는 어지럼증, 항생제 투여 중에 나타나는 어지럼증은 방치 시에 청력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바로 병원을 가 진료를 받는 것을 권한다.
임기정 교수는 “어지러움을 느끼면서 청력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바로 병원에 가서 청력검사를 받고 청력을 회복시키기 위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며 “특히 돌발성난청 같은 경우는 2주에서 한 달 정도 방치 시에 평생을 청력을 망가진 채 살수도 있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고 말했다.
메디컬투데이 남연희 기자(ralph0407@mdtoday.co.kr)
'눈·코·귀·피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철 ‘피부건조증’ 피부과 치료 받기 앞서 예방 중요 (0) | 2019.01.08 |
---|---|
국내 연구진, 재발하는 시신경염 원인 찾았다 (0) | 2019.01.03 |
세균 감염 '암' 유발 기전 규명 (0) | 2018.12.10 |
여드름과 기미 치료, 피부 재생력과 면역력 향상이 중요 (0) | 2018.12.10 |
피부건조증, 가렵다고 긁으면 2차 감염 주의 (0) | 2018.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