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투데이 지용준 기자]
하루 7시간 이상 자면 심장병ㆍ뇌졸중 등 혈관 질환 발생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취침ㆍ기상시간이 불규칙해도 뇌혈관 질환 위험이 두 배 높았다.
이는 경희대병원 가정의학과 김병성 교수팀이 질병관리본부의 한국인유전체 역학조사사업(KoGES)에 참여한 경기 안산ㆍ안성의 40∼69세 주민 2470명의 수면 상태와 혈관 질환 여부 등을 분석한 결과다.
이번 연구에서 남성은 하루 7∼9시간 잠을 자는 비율(51.9%), 여성은 하루 5∼7시간 수면을 취하는 비율이 48.2%로 가장 높았다. 여성의 평균 수면 시간(6.4시간)이 남성(6.6시간)보다 약간 짧았다.
현재 흡연을 하는 사람은 오래 잠을 자는 비율이 높았고, 음주를 하거나 운동을 하는 사람은 수면시간이 짧은 비율이 높았다.
잠드는 시간이 밤 9∼11시인 사람은 하루 7∼9시간의 수면을 취하는 비율이 높았다. 이보다 늦게 잠드는 사람은 수면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았다.
협심증ㆍ심근경색 등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은 하루 수면시간이 5∼7시간보다 길수록 높았다. 수면시간이 5∼7시간인 사람 대비 수면시간이 7∼9시간인 사람의 심혈관질환 위험은 1.9배, 9시간 이상 자는 사람의 위험은 2.8배에 달했다.
수면시간은 뇌졸중 등 뇌혈관질환의 발생 위험에도 영향을 미쳤다. 하루에 5∼7시간 잠을 자는 사람에 비해 9시간 이상 수면을 취하는 사람의 뇌혈관질환 발생 위험은 3.1배였다.
수면이 불규칙한 것도 혈관질환 위험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연구팀은 연구 참여자에게 ”잠자리에 드는 시간과 일어나는 시간이 규칙적인가?“를 질문한 뒤 ‘아니요’라고 응답하면 수면이 불규칙한 것으로 간주했다.
취침ㆍ기상 시간이 불규칙한 사람의 뇌혈관질환 발생 위험은 규칙적인 사람보다 2배 높았다.
김 교수팀은 논문에서 ”하루에 5∼7시간보다 길게 자거나 취침ㆍ기상시간이 불규칙한 것은 심장병ㆍ뇌졸중 등 혈관질환 발생의 위험 요인“이며 ”혈관질환의 예방을 위해 적절한 수면 습관의 유지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하루 수면시간이 7∼8시간인 사람의 심혈관질환 등 각종 질환에 의한 사망 위험이 가장 낮았다는 국내 연구결과가 나와 있다. 이를 근거로 한국인의 적정 수면시간이 7∼8시간으로 권고되고도 했다. 이번 연구에선 이보다 짧은 5∼7시간 잠을 자는 사람의 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가장 낮았다.
김 교수팀은 논문에서 ”수면시간이 너무 짧으면 내피세포의 기능이 손상돼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분비됨으로써 심혈관질환 위험을 높일 수 있다“며 ”과도한 수면시간이 질병 발생 위험을 높이는 이유는 아직 불분명하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결과 '수면시간과 규칙성이 심뇌혈관질환 발생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 기반 코호트 연구'는 대한가정의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메디컬투데이 지용준 기자(yjun89@mdtoday.co.kr)
'정신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증 정신질환자 정신보건기관 등록관리율 19% 불과 (0) | 2019.01.09 |
---|---|
왕성한 신체활동 '양극성장애' 있는 사람 우울증 증상 퇴치 (0) | 2019.01.03 |
자살위험 8배 높은 자살유가족, 정부지원 예산 확보 (0) | 2018.12.10 |
한국형 양극성장애 약물치료 최신 치료지침 개발 (0) | 2018.12.05 |
정신·행동장애 경제적 질병부담, 2020년 이후 8조원 돌파 (0) | 2018.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