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청소년·청년 건강

무더운 여름철, 열 많은 우리아이 ‘땀띠’ 예방하려면?

pulmaemi 2018. 8. 14. 15:24

옷은 헐렁하게 피부는 뽀송하게…파우더·비누 사용 자제해야


[메디컬투데이 김동주 기자] 

펄펄 끓는 한낮 폭염과 밤잠 설치는 열대야 기세가 꺾일 줄 모르고 계속되고 있다. 에어컨 없이는 견디기 어려운 날씨지만 어린 아이들이 있는 가정은 혹여나 아이들이 감기 등에 걸릴 것이 걱정되어 에어컨도 마음대로 틀지 못한다. 

이런 걱정은 아이가 어릴수록 더 심해지는데, 영유아들은 성인보다 땀 배출이 왕성하면서도 목, 허벅지 등 접히는 부분이 많아 땀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더울 때 우리 몸은 체온 조절을 위해서 땀을 발생시키는데 땀샘에서 만들어진 땀은 땀구멍을 통해 피부 표면으로 분비된다. 땀띠는 땀구멍이 막힘으로써 나타나는 피부 증상을 뜻하는데 자외선, 과다한 비누사용, 다량의 땀 등이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땀은 많이 분비되는데 땀구멍이 막혀서 나가지 못하니 땀이 나가는 통로나 땀샘이 터져서 주위조직으로 땀이 새 부풀게 되고 이것이 붉고 작은 좁쌀 같은 형태로 피부에 생겨 따끔따끔하고 가려움증을 느끼게 된다.  

땀띠는 ‘홍색한진’ 이라고도 하는데 아이들은 열이 많고 피부의 조절기능이 미숙해 땀띠가 생기기 쉽다. 특히 피부가 접히는 목, 사타구니 등에 땀띠가 잘 생기기 때문에 부모님들의 주의관찰이 필요하다. 

땀띠는 보기에는 심각한 피부병으로 보일 수도 있으나 아이가 땀이 차지 않게 옷을 헐렁하게 입히고 시원한 물로 목욕을 시키고 물기를 잘 닦아 말려주는 등 피부를 시원하게 해주고 땀으로 습해진 상태를 뽀송뽀송하게 해주는 것만으로도 증상이 개선된다. 

요즘 같은 날씨에 땀을 많이 흘렸을 때에는 물로 샤워를 하여 땀이나 더러운 때를 씻어내도록 하고, 땀 흡수가 잘되는 면 소재 옷을 입히는 것이 좋다. 기저귀를 사용하는 영유아는 통풍이 잘 되도록 너무 꽉 조이는 바지 등은 피하고, 집에서는 하의 없이 기저귀만 채워놓는 것도 땀띠 예방에 도움이 된다. 

많은 엄마들이 날만 더워지면 땀띠를 예방하기 위해 베이비파우더를 듬뿍 발라주고는 한다. 그러나 베이비 파우더를 너무 많이 바르면 땀과 파우더가 반죽이 되어 떡처럼 달라붙어 피부가 숨을 못 쉬게 되고 세균이 자랄 수 있다. 

오히려 파우더가 땀띠의 원인이 되는 샘이다. 베이비 파우더를 땀띠 예방 및 치료의 특효약처럼 생각하지 않아야 한다. 특히, 이미 땀띠가 생겼을 경우에는 파우더의 화학물질이 피부를 자극하고 땀구멍을 막아 증상을 더 악화시킬 수 있다. 

일단 가벼운 초기 땀띠일 때는 잘 씻겨주고 시원하게 해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아이를 씻길 때에도 과도한 비누사용은 땀띠를 심하게 할 수 있으므로 하루 동안 여러 번 비누를 사용하는 것은 피한다. 비누를 사용할 땐 엄마손에서 거품을 낸 후 그 거품으로 닦는데, 너무 세게 혹은 너무 많이 문지르지 않는 것이 덜 자극적이다.

목, 겨드랑이, 사타구니 등 접힌 부위는 땀띠가 한 번 나기 시작하면 관리하기가 힘들어진다. 그렇다고 땀띠를 예방한다며 피부가 접히는 부위마다 손수건을 감아두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바람이 통하지 않게 하므로 오히려 좋지 않다. 

자주 땀을 닦아주고 땀 흡수가 잘 되는 면 소재의 옷을 헐렁하게 입히고, 땀에 젖었다면 자주 갈아입히는 것이 좋다. 또한 아기 몸에 땀띠가 심하게 솟아 있을 때 소금물로 씻어주면 낫는다고 알고 있는 엄마들이 의외로 많다. 

소금물로 피부를 씻는 것은 오히려 자극을 주어 가려움이나 따가움을 유발하므로 좋지 않다. 적절한 진료를 통해 처방받은 것이 아닌 일반 연고를 바르는 것은 도움이 안 될 가능성이 많고, 땀구멍을 막아 오히려 땀띠를 악화시킬 수 있다.

처음 땀띠가 나기 시작할 때는 별다른 치료 없이 그냥 시원하게만 해주어도 금방 낫지만 증상이 심해지면 피부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땀띠도 정도에 따라 심한 경우에는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증상이 심해졌는데도 가볍게 생각해 병원을 찾지 않고 연고나 민간요법만으로 땀띠를 악화시키면 세균이나 칸디다균 등이 이차적으로 침범해 농양이 생기는 등 진행이 악화할 수 있으므로, 땀띠라고 생각했던 피부 병변이 호전되지 않을 경우 가볍게 생각하지 말고 피부과 전문의를 찾는 것이 좋다.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피부과 전지현 교수는 “땀띠를 예방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보다 땀이 덜 나도록 서늘한 곳에서 생활하는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어 “피부를 끈적거리는 상태로 두면 땀띠가 더 잘 생기므로 땀을 흘린 뒤에는 깨끗한 물로 잘 씻어주고 땀에 젖은 속옷을 자주 갈아 입혀야 한다”며 “옷을 너무 끼게 입게 되면 피부가 축축해지면서 땀띠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옷은 가능한 가볍고 헐렁하게 입히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메디컬투데이 김동주 기자(ed30109@md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