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투데이 최성수 기자]
매년 기후변화로 인한 폭염과 폭염에 의한 피해가 증가하는 가운데, 질병관리본부가 운영하는 ‘온열질환 감시체계’가 폭염에 따른 실제 건강피해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제기됐다.
정의당 윤소하 의원은 "질본의 ‘온열질환 감시체계’가 실제 환자 수 집계와 큰 차이가 날 뿐만 아니라 온열질환 외에 간접적 건강피해를 전혀 반영하지 않아 폭염으로 인한 건강피해의 심각성을 드러내는 데에 매우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13일 정의당 윤소하 의원이 질본으로 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6년간 평균 폭염일수 증감에 따라 온열질환자 발생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악의 폭염을 기록했던 2016년(평균 폭염일수 22.4일)에 온열질환자가 2,125명이 발생했고 그 중 17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전반적으로 폭염으로 인한 건강피해는 증가하는 추세이다.
온열질환 감시체계’ 운영 결과와 의료통계정보 등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질본이 집계한 온열질환 환자 수와 실제 환자 수가 최소 12명, 최대 11,518명이 차이가 나는 등 통계의 부정확함이 드러났다.
질본의 온열질환 감시체계가 표본이 한정적(2016년 5.23~9.21 기준 전국 응급실 운영 의료기관 535개)이고, 질병코드의 중복 부여를 고려했을 때 일정한 통계상 차이는 날 수밖에 없다.
온열질환 감시체계 운영결과’는 폭염과 건강피해를 다루는 통계이지만, 말그대로 온열질환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폭염의 심각성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도 있다.
실제 '제2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2016~2020)의 기후변화질환 분류에 따르면,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 외에도 감염성질환·심혈관계질환·알레르기질환·수인성질환 등을 기후변화질환으로 포함하고 있다.
온열질환 감시체계에서는 열사병·열탈진·열경련 등 온열질환만 집계하고, 폭염으로 인한 감염성질환·심혈관계질환·알레르기질환 등의 발병과 악화는 집계하지 않는다. 따라서 폭염으로 인한 건강피해의 실제적 규모와 심각성 등 실태를 파악하지 못하는 통계라는 지적이다.
'폭염대응 건강관리 사업안내'(2015) 자료와 질본 홈페이지 안내자료 등을 보면 열사병·열탈진 등 온열질환에 대해서만 증상과 응급조치를 안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열질환에 국한했을 뿐만 아니라 응급조치 내용을 보면 ‘시원한 곳에서 휴식’, ‘음료나 주스 섭취’ 등 기초적인 내용에 그치고 있다.
윤소하 의원은 “폭염 등 기후변화와 그로 인한 건강피해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관련 통계의 부실함은 더 큰 피해를 가져올 것”며 “정부는 매일 폭염에 대한 초과사망자 수를 집계하는 등의 실제적인 폭염 피해를 반영하는 통계를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별·사례별 적극적인 폭염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메디컬투데이 최성수 기자(choiss@mdtoday.co.kr)
'직업·환경성질환, 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급 발암물질 라돈, 전국 유치원·학교 20% 기준치 초과 예상 (0) | 2017.10.16 |
---|---|
발암물질 비소까지…중금속 오염된 농경지 3년간 5배 ↑ (0) | 2017.10.16 |
주한미군 이전 공여지 환경조사서 60%는 오염원 검출 (0) | 2017.10.12 |
비염·천식 등 환경성질환자, 4년새 5.7% 증가 (0) | 2017.10.11 |
원자력사고 발생 국가 수입폐기물, ‘방사성물질 비오염 확인서류’ 제출 의무화 (0) | 2017.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