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외선 대기 중 흡수율 떨어지는 5월말~6월말 가장 많아
[메디컬투데이 박종헌 기자]
흔히 한여름 뙤약볕은 자외선 차단제에 양산, 선글라스 등 온갖 방법을 동원해서 어떻게든 막아보려 애쓰지만, 오뉴월 봄볕은 기분 좋게 즐길만한 수준이라고 생각해 자외선 단속을 등한시하기 쉽다.
하지만 ‘봄볕에는 며느리 내보내고 가을볕에는 딸 내보낸다’는 속담처럼 한여름보다 오뉴월의 자외선이 우리 몸에 좋지 않은 영향을 더 많이 끼친다는 사실은 알아둘 만하다. 적당한 햇볕은 인체의 혈액순환을 돕고 비타민D의 합성과 살균작용을 하지만, 지나친 자외선은 피부 노화, 시력 손상, 백내장, 피부암 등 각종 질환의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자외선의 강도는 계절, 날씨, 지형상의 위치, 고도, 받는 부위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일년 중에 자외선 양이 가장 많은 시기는 4∼9월이고 하지 때가 최고점이다. 이때는 태양과 우리나라가 일직선상에 놓여 거리가 가장 짧은 시기이다. 그 중에서도 우리가 받는 자외선의 양은 5월 말∼6월 말이 가장 많은데, 이 시기가 대기 중의 자외선 흡수율이 가장 떨어지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흔히 자외선을 걱정하는 7∼8월의 경우 온도는 가장 높지만 대기 중 습기의 농도가 높기 때문에 자외선의 양은 오히려 5∼6월보다 적다.
하루 중에서는 오전 10시∼오후 2시가 가장 강하다. 특히 해변의 모래사장, 바다, 스키장 등에서는 직사광선 이외에도 물이나 눈에 반사되는 광선으로 인해 실제로 피부에 닿는 자외선 양은 훨씬 증가한다.
피부는 자외선에 노출되면 빨리 노화가 진행되고 각질이 두꺼워지면서 색소가 증가된다. 따라서 각질이 일어나고 얼룩덜룩해지며 칙칙해 보이는 현상이 나타난다. 강한 자외선에 노출되면 기미와 주근깨도 많이 생기는데 이러한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변화를 ‘광노화’라고 한다. 광노화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나타나는 내인성 노화와는 다른 피부의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일시적으로 피부에 홍반, 색소침착, 광과민 현상을 일으킨다.
차움 피부과 최유진 교수는 “자외선에 장기적으로 노출된 피부는 두꺼워지고, 수분이 증발되어 건조해지거나 거칠어지며, 탄력이 떨어지고 상처 치유가 지연된다”며 “자외선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종양으로는 광선각화증, 각화극세포종, 일광 흑자, 기저세포암, 편평상피세포암, 악성 흑자 등이 있다”고 말했다.
사람에게 피부의 광노화를 일으키는 햇빛은 파장에 따라 자외선A와 자외선B로 나뉜다. 자외선B가 자외선A보다 1000배 정도 강하지만, 햇빛 중에 자외선A는 자외선B보다 10배 내지 100배나 풍부하고, 진피 깊숙이 침투하며 활성산소를 생성하므로 피부의 광노화에 자외선B만큼이나 영향을 끼친다. 그래서 자외선B뿐만 아니라 자외선A도 차단해 주어야만 햇빛으로 인한 피부 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광노화의 원인은 사람의 노화 원인이 명확하지 않듯이 그 원인도 명확하지 않다. 다만 자외선이 염색체와 세포막 또는 세포 내외의 물질에 흡수돼 손상을 끼칠 것으로 추정된다. 광노화의 정도는 햇빛에 노출된 정도, 피부의 색깔, 일광손상에 대한 취약성과 복구능력의 차이로 인하여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머리의 형태, 의복, 직업 등에 의해서도 차이가 난다.
주근깨나 잡티, 기미의 경우에는 완벽하게 없애기는 어렵기 때문에 예방이 최선의 방법이며, 치료에는 레이저, IPL, 피부박피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비타민A나 항산화작용이 있는 비타민C, E가 포함돼 있는 화장품이나 항산화제 보충제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노화와 기미와 같은 색소 병변에 효과를 볼 수도 있다.
장기적이고 과도한 일광노출을 줄이는 것이 광노화를 예방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대표적인 예가 자외선차단제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일광차단지수(SPF) 수치가 15정도 되는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면 충분하다. 그러나 자외선 차단제의 SPF는 바르는 양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사람들이 바르는 자외선 차단제의 양은 SPF를 측정할 때 사용하는 양보다 훨씬 적기 때문에 SPF의 수치가 15보다 높은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더라도 SPF 15정도의 효과를 내기가 쉽지 않다.
최근 자외선 차단제에는 SPF뿐 아니라 UV-A차단지수를 PA(protection factor of UV-A)로 표시하는데, 이는 자외선 차단 제품을 사용했을 때와 사용하지 않았을 때의 최소흑화량의 비율을 말한다. PA는 범위에 따라 PA+, PA++, PA+++로 표기하기도 한다.
주의해야 할 점은 차단 수치가 높으면 높을수록 자외선 차단 정도도 커지지만 그 차이는 크지 않고, 다만 실제로 차단시키는 자외선 양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피부 속으로 투과되는 양이 중요한데 이는 차단 수치와 비례하므로 결론적으로 차단 수치가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최유진 교수는 “자외선 차단제에 의한 자극성 접촉피부염이 발생할 수도 있어 주의해야 한다. 접촉피부염은 화학적인 차단제에 의해 발생되고 물리적인 차단제는 이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나 물리적인 차단제의 경우 차단효과가 좋은 반면 백탁 현상이 있어 미용적으로 적절하지 못하다는 단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옷차림이나 모자, 선글라스 등의 소품으로 일광 노출을 줄이는 방법도 고려해 볼 만하다.
자외선 노출 빈도가 높은 계절에는 몸에 딱 맞는 옷보다는 헐렁한 옷을 입는 게 좋은데, 몸에 딱 맞을 경우 햇빛이 옷감 사이로 침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물에 젖은 옷이 자외선을 더 잘 막아줄 것 같지만 사실은 물기가 많을수록 자외선 차단 효과가 떨어진다.
자외선 차단 효과는 옷의 색깔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흰 티셔츠는 SPF 5∼9 정도의 효과가 있지만 짙은 색 청바지의 경우는 SPF 1000 정도로 자외선 차단 효과가 아주 높다.
모자를 착용하는 것도 자외선 차단에 도움이 되지만, 일반적으로 많이 쓰는 야구모자의 자외선 보호 효과는 매우 낮으며 더욱이 등과 목은 보호할 수 없다. 따라서 가급적 챙이 넓은 모자(10cm 정도)를 쓰는 게 좋다.
선글라스를 구입시 튀는 패션도 중요하지만 자외선 차단 표면처리, 눈부심 방지를 위한 여러 가지 표면처리 여부를 꼼꼼히 살펴, 사용 목적에 따라 색상과 모양을 선택하는 것도 중요하다.
메디컬투데이 박종헌 기자(pyngmin@mdtoday.co.kr)
'직업·환경성질환, 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업무상 재해로 1년 결근…대법 “연차휴가수당 청구 가능” (0) | 2017.05.30 |
---|---|
하루 평균 14.4시간 근무…게임업계 직원 84% 크런치모드 경험 (0) | 2017.05.29 |
수도권 초미세먼지 44%는 중국 영향 …봄철에는 59%까지 증가 (0) | 2017.05.23 |
미세먼지 안구 표면 손상 위험 3배…염증 질환까지 유발 (0) | 2017.05.22 |
문재인 대통령 미세먼지 공약 이행 점검…'미세먼지 안녕'에서 확인가능 (0) | 2017.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