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투데이 박종헌 기자]
MRI 영상의학 검사로 내장지방과 지방간의 상관관계를 증명한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영상의학과 최준일·최문형 교수팀은 간 공여 가능성이 있는 일반인 중 복부 CT와 MRS(자기공명분광법)를 포함하는 간 MRI 검사를 받은 9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에서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6일 밝혔다.
CT 검사로 전체지방, 피하지방, 내장지방, 근육의 면적, 배둘레를, MRI 검사로 간의 지방 침윤 정도를 측정하고 수치화 한 결과, 간의 지방 침윤 정도는 전체 지방면적, 내장지방 면적, 피하지방 면적, 근육 면적, 배둘레, 체질량 지수, 내장지방 대 피하지방 면적의 비율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 중 내장지방의 면적이 간 지방 침윤 정도와 관련성이 가장 높았다. 특히 다중회귀분석에서 내장지방이 많은 남성이 간 지방 침윤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연구팀에 따르면, 그 동안은 지방간을 확실하게 진단하기 위해 간의 일부를 생검용 바늘로 떼어내는 조직검사를 했으나, 이는 침습적인 방법으로 합병증의 우려가 있었다. 또한 간의 일부 표본으로 간 전체 지방간 진행 정도를 나타내기 어렵고, 병리학자가 주관적으로 판별해 결과가 가변적일 수 있었다.
이에 반해 영상의학 검사는 비침습적이고, 객관적으로 여러번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방간을 감별 진단하는 유용한 검사법이 될 것으로 연구팀은 내다봤다.
특히 MRS가 지방간 진단에 가장 정확한 영상의학적 검사로 알려져 있는데, 검사자가 주관적으로 지방간 여부를 판단하는 초음파 검사와 달리 객관적인 수치로 지방 침윤 정도를 정량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체내의 지방은 그 분포에 따라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으로 나눌 수 있다. 내장지방은 체내 장기 내부나 장기와 장기 사이의 공간에 과도하게 지방이 축적된 상태로, 축적이 심할 경우 건강에 해로워 내장비만을 복부비만과 같은 용어로 사용하기도 한다.
복부비만은 배에 과도한 지방이 축적된 상태로, 한국인 허리둘레 기준으로 남자 90cm(35.4인치), 여자 85cm(33.5인치) 이상인 경우에 해당된다. 정상 간의 경우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은 5% 정도인데, 이보다 많은 지방이 축적된 상태를 지방간이라고 한다.
지방간을 장기간 무심코 방치하면 간세포가 파괴되는 염증상태인 지방간염을 거쳐 간 조직이 섬유화되는 간경변이나 간암으로도 진행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최준일 교수는 “영상검사의 발달로 체형과 관련된 다양한 요소 중 내장지방 면적과 간 지방 침윤 정도를 비침습적으로 정확하고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지방간을 진단할 수 있고, 진단 후 건강상태가 개선되었는지 추적관찰 하는 데도 유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유럽 임상영양·대사증후군 공식 학회지 ‘Clinical Nutrition’ 정식 게재에 앞서 지난해 12월 온라인에 소개됐다.
메디컬투데이 박종헌 기자(pyngmin@mdtoday.co.kr)
'비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뚱뚱할수록, 만성콩팥병 발병위험 높아” (0) | 2017.03.15 |
---|---|
초경 11세 이전 시작한 여성 임신성 당뇨병 발병 위험 50% 더 높아 (0) | 2017.03.07 |
살 안찌고 싶으면 집에서 밥 먹고 밥 먹는중 TV 보지 마세요 (0) | 2017.03.03 |
'비만'으로 인해 위험 높아지는 '암' 이렇게나 많아요? (0) | 2017.03.02 |
20세때 말랐으나 50세 비만인 사람 '식도암·위암' 발병 위험 3배 (0) | 2017.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