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량한 사회

故 백남기 씨 '사망진단서'가 의미하는 것

pulmaemi 2016. 9. 30. 07:25

백남기씨가 그제 사망했다. 그를 진료해온 의료진의 사망진단서는 이렇게 기술한다. 사망의 종류는 '병사', 직접 사인은 '심폐정지', 선행 원인은 '급성신부전', 이를 기인하게 한 원인은 '급성경막하출혈'이다.


이 진단서를 두고 대단히 말이 많다. 마치 사망진단서 한 장이 그의 사망의 원인을 밝혀내는 판결로 여기고 있는 것 같다. 분명히 정치적 프레임이 가미되어 있는 이 죽음과 논란에 대해서, 나는 수백 장의 사망진단서를 써온 의사로서 소견을 밝힌다.


사망진단서에 기술할 수 있는 사망의 종류는 '병사', '외인사', '기타 및 불상' 세 가지밖에 없다. '기타 및 불상'은 그야말로 모르겠다는 뜻이고, '병사'는 병으로 인한 사망. '외인사'는 외상으로 인한 사망을 뜻한다. 백남기씨는 근 1년간 병원에 입원했으므로 의료진이 그의 병이나 상태를 모르지는 않는다. 그렇다면 '병사'와 '외인사' 중 하나이다.


이 경계는 조금 애매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외상성 뇌출혈로 입원해서 일주일 만에 죽었다면 명백한 '외인사'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외상성 뇌출혈로 입원한 후 10년을 살다가 급성신부전이 생겨 죽었다면 기인한 원인은 '뇌출혈'일 수 있겠지만, 직접 사인은 '급성신부전'이다. 뇌출혈을 겪었어도 10년을 살았으므로 향후 더 살 수 있었다고 보고, 직접 사망은 내과적인 이유로 간주하기 때문에 사인을 '외인사'가 아닌 '병사'라고 하는 것이다. 그러면 1년이나 2년 정도면 어떻게 될까? 이 상황에선 의료진의 판단으로, 환자가 투병한 시기와 기왕력, 그리고 내과적인 상태까지 고려해서 사망진단서를 작성하게 된다.


백남기씨는 뇌출혈 이후 317일을 더 살았다. 나는 환자를 직접 보지 않았으므로, 어떤 상태에서 어떻게 투병했는지 모른다. 하지만 진단서에는 '병사'가 기록되어 있다. 이는 의료진이 환자가 뇌출혈에도 불구하고 317일을 살았고, 그보다 더 오래 살릴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예기치 못한 각종 합병증이 발생했으며, 사건 발행 후 충분한 시간이 지났으니 사망의 연유는 '병사'에 가깝다고 판단했던 것으로 해석된다.


그리고 사망 진단서를 직접 기록해본 사람으로서, 언론의 주목으로 이 서류 작성의 과정이 몹시 고뇌스러웠음을 짐작할 수 있다. 직접 사인이 '심폐정지'인 것만 봐도 알 수 있는데, 모든 사람이 사망 직전에는 '심폐정지'를 겪기 때문에 사망진단서에는 이를 언급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서울대학교 의료진이 이를 분명 알았을 테지만 직접 사인에 기록한 것은, 직접 사인이 '급성신부전'으로 기록되어 뻔히 예견될 수 있는 정치적 논란을 막기 위함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 선행 원인은 '급성경막하출혈'이라고 분명히 기록되어 있다. 결론적으로, 그를 진료한 의사는 이러한 인과 관계를 파악했고, 더 살릴 수 있다고 생각했으며, 그를 둘러싼 갈등도 판단했고, 결국 이러한 결론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나는 환자를 직접 보지 않았으므로 여기서 더 할 말이 없다. 하지만 서류에는 분명한 인과 관계가 적혀 있고, 나는 이 판단을 존중할 수 있다.


이 사망을 두고 벌어진 부검 논란에 대해 한마디 더 덧붙이자면, 도저히 상식 밖의 이야기이다. 부검은 사인이 불분명할 때 행한다. 317일 전에 촬영한 CT에는 외상성 뇌출혈과 다발성 안면 골절이 관찰되고, 그 후 그는 의식을 한 번도 차리지 못 했다. 그리고 317일간 이어진 일련의 각종 검사에서 그의 내과적인 상태를 분명히 파악할 수 있다. 부검을 하는 것을 본 적이 있는가? 머리를 열어 뇌를 조각조각 자르고, 배를 열어 장기를 하나하나 꺼내 검사한다. 이것이 필요하다면 해야겠지만, 선후 인과관계가 명확한 죽음에서, 게다가 1년 가까이 입원해 의료진이 속속들이 파악한 환자에서 부검을 행하는 일을 거의 본 적이 없다. 1년은 뇌출혈마저 말라서 흔적만 남을 시간이고, 이 사람을 부검해 더 밝혀낼 사실이 없기 때문이다. 이 사람의 죽음은 지금까지 밝혀진 사실로 충분하며, 부검 이야기가 나오는 것 자체가 전혀 과학적이지 못하다.


이 글의 요는 '병사'의 논란이 맞다, 틀리다고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의료진이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요약해 기록한 서류였을 뿐이다. 이 논란을 계속하는 것은 '사망진단서'라는 서류 한 장으로 사실을 흐릴 뿐, 지금껏 벌어진 일이 무엇이었는지 이야기해주는 게 아니다. 팩트는 2015년 11월 14일 외상을 입은 백남기씨가 병원에서 시행한 검사 결과가 외상성 지주막하 출혈이었고, 그것이 의식이 영영 돌아오지 못할 정도로 심한 외상이었으며, 그 뒤 그가 투병하다 317일 후에 사망했다는 것이다. 이 팩트에서 '병사'라고 쓰인 종이 한 장은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또, 우리가 집중해야 하는 것은 그 팩트밖에 없다.


이 외상이 왜 일어났는지, 어떠한 방식으로 발생했는지는 CCTV나 현장에 있었던 사람들이 밝힐 일이지 사람을 살리는 의사가 밝힐 일이 아니며, 이 사람이 왜 병원까지 와서 누워 결국은 목숨을 잃게 되었는지도 사회가 밝힐 일이지 의사가 밝힐 일이 아니다. 의사는 이 사람을 받아 치료해서 317일을 살렸고, 자신의 소견을 밝혔을 뿐이다. 여기서 과학적인 이분법을 정치적 논란에 끌어들이는 것은, 결국 과학을 혼란스럽게 할 뿐이고, 다른 논쟁이나 쟁점을 부러 만들거나 사실을 호도하는 행위에 지나지 않는다. 역사는 그가 죽은 2016년 9월 25일보다는 그가 쓰러져 영영 의식을 잃은 2015년 11월 14일을 쟁점으로 삼아야 한다. 모든 일은 그날 벌어졌으며, 그 여파로 그가 이제 사망했던 것이다. 우리는 서류보다는 우리에게 벌어진 객관적인 사실만을 보고 믿으며, 그에 대해 증명해야 한다.

그리고 지금은 고인이 영면하게 할 때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


허핑턴포스트코리아

팬 되기                                                                       


응급의학과 전문의, 현 공중보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