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환경성질환, 안전

지진 등 재난 경험자 절반은 “우울·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겪어”

pulmaemi 2016. 9. 22. 12:11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

지진 등 각종 재난을 경험한 사람 절반이 재난 이후의 삶에서 우울증 또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등 정신건강 문제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용인정신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명수 진료부원장팀이 지난해 3월 성인 1003명을 대상으로 재난 경험 여부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재난 경험자 170명 중 45.9%(78명)가 자신의 정신건강 측면에서 상당한 수준 이상의 어려움을 겪었다고 응답했다.

이어 여가활동(71명, 41.8%), 직업(59명, 34.7%), 자산(56명, 32.9%), 신체 건강(52명, 30.6%), 가족관계(42명, 42%) 순서로 재난 경험 후의 삶에서 애로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난 경험자의 14%(24명)는 재난으로 인한 우울 등 정신적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정신건강증진센터·재난심리지원센터 등 공공 정신건강 서비스를 이용했다. 하지만 공공 정신건강 서비스를 받아본 재난경험자가 내린 평가 점수는 100점 만점에 63.5점으로 낮은 편이었다.

전체 조사 대상 1003명 중 재난관련 방송·보도로 인해 정신건강에 중등도 이상의 방해를 받은 사람의 수도 475명(47.4%)에 달했다. 절반을 웃도는 수준이다.

뿐만 아니라 재난 경험자가 재난 관련 방송·보도로 중등도 이상의 정신건강 방해를 받은 비율은 60.6%에 달했다.

부원장팀은 논문에서 “재난관련 언론보도와 방송 프로가 직·간접적으로 재난을 겪고 있는 사람의 정신건강에 해가 될 수 있는 내용을 거르지 않고 다뤘을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며 “바람직한 재난 보도와 메시지 전달을 위해서는 각 언론사가 자체적으로 재난보도 윤리지침 등 가이드라인을 설정하고 이를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재난 관련 정보는 단일 채널을 통해 전파될 필요가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재난이 발생하면 중앙정부 기관인 문화미디어스포츠부(DCMS)가 대국민 메시지 발표와 언론 보도자료 배포 등 전반을 담당하는 영국의 예를 들었다. 재난 관련 정보와 대책 등 모든 정보가 책임 있는 정부 기관을 통해 소통돼야, 불필요한 정보가 유출되거나 신속하게 알려야 할 정보가 빠져 발생하는 사회적 불안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 ‘재난정신건강 서비스에 대한 국민 인식도 조사’는 보건복지부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으며 대한신경정신의학회의 학술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dusdnr1663@md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