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교거부증,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 장애가 대표적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
3월 새학기가 시작되면 여러 가지 이유로 적응을 잘 하지 못하고 학업 성적도 저조해지는 아이들이 의외로 적지 않다. 우리 아이들이 새학기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을지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창화 교수의 도움말로 알아본다.
아이들이 무작정 학교에 가지 않겠다고 하거나 학교에 갈 시간만 되면 머리가 아프다거나 배가 아프다고 하면서 학교에 갈 수가 없다고 하는 경우에 부모는 난감한 처지에 빠지게 된다. 이를 ‘등교거부증’, ‘학교거부증’, ‘학교공포증’ 등으로 부른다.
등교거부증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대표적인 경우를 보면 첫째, 새로이 학교에 입학을 하거나 초등학교 저학년인 경우에는 분리불안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
영유아기 때 애착관계가 적절하게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도 이러한 분리불안이 심하게 나타날 수도 있으며 부모가 지나치게 과보호하는 가정, 가족끼리 서로 지나치게 의존적인 가정 또는 가정불화가 많거나 엄마가 어떤 이유로 해서 장기간 집을 떠나 있었던 가정에서 분리불안이 발생하기 쉽다.
이런 경우 일정한 기간동안은 부모가 아이를 학교에 데리고 가서 수업 중 교실 밖에서 기다리고 있다가 수업이 끝나면 데려오고, 이 시간을 점차 줄여나가는 등 아이의 불안정도를 점검해 가면서 단계적으로 이를 해결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지능이 떨어지거나 학습장애가 있는 경우에도 학교에 가기를 싫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아이의 능력에 맞는 교육기관을 찾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으며 학습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적절한 특수교육을 받는 것이 좋다.
셋째, 우울증, 사회공포증 및 기타 정신질환의 증상이다. 특히 중․고등학생이 학교에 가는 것을 거부할 경우에는 정신질환의 증상 때문일 가능성도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반드시 전문가와 상의하여 필요할 경우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넷째, 학교에서 따돌림을 당하거나, 괴롭힘을 당할 경우이다. 항상 아이의 생활에 관심을 가지고 열린 마음으로 아이와 대화를 하면서 아이가 이러한 상황에 처할 경우 조기에 이를 발견해 적절한 대책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이 교수는 “어떤 경우이던 가능하면 빨리 학교에 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결석한 기간이 길어지게 되면 학교 가는 것을 거부했던 이유가 해소되더라도 결석한 것 자체에 따른 부작용 때문에 또 학교에 가는 것을 꺼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 장애의 경우는 70~80% 약물․행동치료로
개선이 가능하다.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 장애의 아이가 학습할 때 주의집중을 못하고, 꼭 해야할 일을 일러주도 그 일을 못하기도 한다. 그러다보니 학교에서도 선생님에게 꾸지람을 많이 듣게 되고, 친구들과의 다툼도 잦게 되며 때로는 친구들로부터 따돌림을 당하게도 된다.
초등학교 1, 2학년 내내 이러한 현상이 지속될 경우 3, 4학년에 접어 들면서는 아이들 스스로도 스트레스를 받게 되어 불안, 초조, 자신감 상실 및 위축감등을 느끼게 되며 때로는 우울증에 빠지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받아야 한다.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 장애치료의 경우 약물치료와 행동치료를 병행하게 되는데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이들 중 약 70~80%에서 뚜렷한 효과, 즉, 행동이 차분해지고 주의력이 높아지는 효과를 볼 수 있게 된다.
3월 새학기가 시작되면 여러 가지 이유로 적응을 잘 하지 못하고 학업 성적도 저조해지는 아이들이 의외로 적지 않다. 우리 아이들이 새학기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을지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창화 교수의 도움말로 알아본다.
아이들이 무작정 학교에 가지 않겠다고 하거나 학교에 갈 시간만 되면 머리가 아프다거나 배가 아프다고 하면서 학교에 갈 수가 없다고 하는 경우에 부모는 난감한 처지에 빠지게 된다. 이를 ‘등교거부증’, ‘학교거부증’, ‘학교공포증’ 등으로 부른다.
등교거부증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대표적인 경우를 보면 첫째, 새로이 학교에 입학을 하거나 초등학교 저학년인 경우에는 분리불안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
영유아기 때 애착관계가 적절하게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도 이러한 분리불안이 심하게 나타날 수도 있으며 부모가 지나치게 과보호하는 가정, 가족끼리 서로 지나치게 의존적인 가정 또는 가정불화가 많거나 엄마가 어떤 이유로 해서 장기간 집을 떠나 있었던 가정에서 분리불안이 발생하기 쉽다.
이런 경우 일정한 기간동안은 부모가 아이를 학교에 데리고 가서 수업 중 교실 밖에서 기다리고 있다가 수업이 끝나면 데려오고, 이 시간을 점차 줄여나가는 등 아이의 불안정도를 점검해 가면서 단계적으로 이를 해결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지능이 떨어지거나 학습장애가 있는 경우에도 학교에 가기를 싫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아이의 능력에 맞는 교육기관을 찾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으며 학습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적절한 특수교육을 받는 것이 좋다.
셋째, 우울증, 사회공포증 및 기타 정신질환의 증상이다. 특히 중․고등학생이 학교에 가는 것을 거부할 경우에는 정신질환의 증상 때문일 가능성도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반드시 전문가와 상의하여 필요할 경우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넷째, 학교에서 따돌림을 당하거나, 괴롭힘을 당할 경우이다. 항상 아이의 생활에 관심을 가지고 열린 마음으로 아이와 대화를 하면서 아이가 이러한 상황에 처할 경우 조기에 이를 발견해 적절한 대책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이 교수는 “어떤 경우이던 가능하면 빨리 학교에 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결석한 기간이 길어지게 되면 학교 가는 것을 거부했던 이유가 해소되더라도 결석한 것 자체에 따른 부작용 때문에 또 학교에 가는 것을 꺼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창화 교수 (사진=을지대학교병원 제공) |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 장애의 아이가 학습할 때 주의집중을 못하고, 꼭 해야할 일을 일러주도 그 일을 못하기도 한다. 그러다보니 학교에서도 선생님에게 꾸지람을 많이 듣게 되고, 친구들과의 다툼도 잦게 되며 때로는 친구들로부터 따돌림을 당하게도 된다.
초등학교 1, 2학년 내내 이러한 현상이 지속될 경우 3, 4학년에 접어 들면서는 아이들 스스로도 스트레스를 받게 되어 불안, 초조, 자신감 상실 및 위축감등을 느끼게 되며 때로는 우울증에 빠지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받아야 한다.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 장애치료의 경우 약물치료와 행동치료를 병행하게 되는데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이들 중 약 70~80%에서 뚜렷한 효과, 즉, 행동이 차분해지고 주의력이 높아지는 효과를 볼 수 있게 된다.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dusdnr1663@mdtoday.co.kr)
'아동·청소년·청년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콜록콜록 잔기침 하는 아이, 단순 감기라고? (0) | 2016.03.02 |
---|---|
아미노산 적게 섭취하는 아이들 '성장지체' 위험 높아 (0) | 2016.02.28 |
아침밥 거르는 학생, 이상지질혈증 위험 5.8배 증가 (0) | 2016.02.28 |
청소년기 키 크고 뚱뚱하면 '임파종' 위험 높아 (0) | 2016.02.28 |
젊었을 적 술 많이 마시면 향후 '고혈압' 위험 높아져 (0) | 2016.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