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성 난청 등 치료서 내이까지 약물 전달하는 데 성공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
그동안 치료가 어려워 보청기를 사용해야 했던 노인성, 소음성 난청 등 내이성 난청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됐다.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이비인후과 김동기 교수팀은 ‘올리고아르기닌 접합 나노파티클을 이용한 경고막 내이 약물 및 유전자 전달’ 논문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노인성, 소음성, 선천성 난청 등을 일으키는 내이는 머리뼈 밑바닥의 깊숙한 곳에 위치해 있을 뿐만 아니라 내이까지의 경로에 미로 혈관 장벽이 있어 치료 약물이 도달할 수 없어 치료가 어려웠다.
김 교수팀은 이러한 치료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과학기술원 김종득 교수팀과 세포 내 약물 전달 목적으로 개발한 미세입자 ‘PHEA 나노파티클’에서 착안, 내이성 난청 치료 약물을 ‘나노파티클’에 묻혀 고막 안에 주입한 결과, 치료 약물이 효과적으로 내이까지 전달되는 것을 동물실험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번 연구는 약물과 유전자를 동시 또는 각각 내이로 전달 가능성까지 밝혀냈다.
김동기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가 향후 임상연구를 통해 안전성이 확인되고 상용화된다면 내이성 난청 환자들이 보청기 없이도 청력을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2014년 한국연구재단 신진연구자 지원 사업에 선정돼 이뤄졌으며, 바이오소재 분야의 최고 권위 학술지인 바이오머터리얼즈(Biomaterials, IF 8.557) 2015년도판 73권에 게재됐다.
그동안 치료가 어려워 보청기를 사용해야 했던 노인성, 소음성 난청 등 내이성 난청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됐다.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이비인후과 김동기 교수팀은 ‘올리고아르기닌 접합 나노파티클을 이용한 경고막 내이 약물 및 유전자 전달’ 논문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노인성, 소음성, 선천성 난청 등을 일으키는 내이는 머리뼈 밑바닥의 깊숙한 곳에 위치해 있을 뿐만 아니라 내이까지의 경로에 미로 혈관 장벽이 있어 치료 약물이 도달할 수 없어 치료가 어려웠다.
김 교수팀은 이러한 치료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과학기술원 김종득 교수팀과 세포 내 약물 전달 목적으로 개발한 미세입자 ‘PHEA 나노파티클’에서 착안, 내이성 난청 치료 약물을 ‘나노파티클’에 묻혀 고막 안에 주입한 결과, 치료 약물이 효과적으로 내이까지 전달되는 것을 동물실험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번 연구는 약물과 유전자를 동시 또는 각각 내이로 전달 가능성까지 밝혀냈다.
▲김동기 교수(사진=대전성모병원 제공) |
김동기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가 향후 임상연구를 통해 안전성이 확인되고 상용화된다면 내이성 난청 환자들이 보청기 없이도 청력을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2014년 한국연구재단 신진연구자 지원 사업에 선정돼 이뤄졌으며, 바이오소재 분야의 최고 권위 학술지인 바이오머터리얼즈(Biomaterials, IF 8.557) 2015년도판 73권에 게재됐다.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dusdnr1663@mdtoday.co.kr)
'눈·코·귀·피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년성 백내장, 여성이 남성보다 1.5배 ↑ (0) | 2015.10.16 |
---|---|
“머리가 아프다 못해 어지러워요” (0) | 2015.10.15 |
‘청력소실 위험’ 메니에르병…40대 중·장년층이 80% (0) | 2015.10.08 |
눈동자에 생기는 ‘유피종’ 흔적 없이 제거하는 수술법 개발 (0) | 2015.10.02 |
귀 잘 안 들리는 노인들 '사망' 위험 높아 (0) | 2015.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