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지원 교수팀, “유피종 제거 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윤부결손 해결 가치 커”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
눈동자에 생기는 선천성 양성 종양인 유피종을 흔적 없이 제거하는 수술법이 국내 의료진에 의해 개발됐다.
서남의대 명지병원은 안과 권지원 교수가 개발한 이 수술법은 기존 수술 후 흔적이 남거나 거부반응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해 의료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고 1일 밝혔다.
유피낭종으로도 불리는 유피종은 눈의 흰자와 검은자 경계부위에 위치해 약시, 난시 및 미용상의 문제를 일으킨다.
기존 수술법은 유피종을 단순 제거하는 방식으로 흰자 부위의 흉터와 검은자의 혼탁이 후유증으로 남았다. 권 교수는 지난 2013년 각막 문신으로 이를 해결하는 수술법을 개발한 바 있으며 상피세포를 생산하는 줄기세포가 있는 부위인 ‘윤부’를 이식하는 이번 수술법으로 한단계 더 발전시켰다.
유피낭종은 흔한 질환은 아니지만 심미적인 문제는 물론 난시, 약시 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
권 교수는 “이번 수술법은 유피종 제거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윤부결손을 해결했다는 점에서 학술적인 가치가 매우 크다”며 “선천성 소아유피종 환자들의 치료 및 재건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권지원 교수의 수술법이 정리된 논문인 ‘소아유피종환자의 새로운 수술법 : 단순절제, 각막문신 및 무봉합 윤부결막 자가이식술(New Surgical Approach for limbal dermoids in Children: Simple excision, Corneal Tattooing and Sutureless Limboconjunctival Autograft)’은 Cornea지 최근호에 게재됨과 동시에 저널 홈페이지 메인 화면의 주요 이슈 코너에 소개됐다.
눈동자에 생기는 선천성 양성 종양인 유피종을 흔적 없이 제거하는 수술법이 국내 의료진에 의해 개발됐다.
서남의대 명지병원은 안과 권지원 교수가 개발한 이 수술법은 기존 수술 후 흔적이 남거나 거부반응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해 의료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고 1일 밝혔다.
유피낭종으로도 불리는 유피종은 눈의 흰자와 검은자 경계부위에 위치해 약시, 난시 및 미용상의 문제를 일으킨다.
기존 수술법은 유피종을 단순 제거하는 방식으로 흰자 부위의 흉터와 검은자의 혼탁이 후유증으로 남았다. 권 교수는 지난 2013년 각막 문신으로 이를 해결하는 수술법을 개발한 바 있으며 상피세포를 생산하는 줄기세포가 있는 부위인 ‘윤부’를 이식하는 이번 수술법으로 한단계 더 발전시켰다.
▲권지원 교수(사진=명지병원 제공) |
유피낭종은 흔한 질환은 아니지만 심미적인 문제는 물론 난시, 약시 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
권 교수는 “이번 수술법은 유피종 제거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윤부결손을 해결했다는 점에서 학술적인 가치가 매우 크다”며 “선천성 소아유피종 환자들의 치료 및 재건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권지원 교수의 수술법이 정리된 논문인 ‘소아유피종환자의 새로운 수술법 : 단순절제, 각막문신 및 무봉합 윤부결막 자가이식술(New Surgical Approach for limbal dermoids in Children: Simple excision, Corneal Tattooing and Sutureless Limboconjunctival Autograft)’은 Cornea지 최근호에 게재됨과 동시에 저널 홈페이지 메인 화면의 주요 이슈 코너에 소개됐다.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dusdnr1663@mdtoday.co.kr)
'눈·코·귀·피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치성 질환 ‘내이성 난청’, 보청기 없이도 청력 회복 기대 (0) | 2015.10.15 |
---|---|
‘청력소실 위험’ 메니에르병…40대 중·장년층이 80% (0) | 2015.10.08 |
귀 잘 안 들리는 노인들 '사망' 위험 높아 (0) | 2015.09.30 |
[100세 건강] 노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안질환 (0) | 2015.09.30 |
극심한 스트레스로 온 몸이 욱신거린다 (0) | 2015.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