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맥류 크기에 따른 파열확률 예측…수술 시점 판단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
우리 몸의 가장 큰 혈관인 대동맥의 일부가 주머니처럼 늘어진 대동맥류의 크기에 따른 파열 확률을 예측해, 앞으로는 대동맥류가 직경 5cm 이상이면 수술을 권장하는 새로운 가이드라인이 생길 전망이다.
서울아산병원 김준범 흉부외과 교수는 하버드 의과대학 토랄프 썬트 교수팀과 공동으로 수술 없이 약물치료를 시행한 대동맥류 환자 257명의 경과를 분석해 대동맥류 크기에 따른 1년 내 파열 확률을 예측했다고 30일 밝혔다.
그 결과, 직경 5cm 미만의 대동맥류는 파열 확률이 1% 미만이었으나 직경이 커질수록 확률이 증가해, 5cm에서는 5.5~8%, 5.5cm에서 11.2%, 6cm에서는 15.6%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7cm 이상에서는 28.1%로 가파르게 늘어, 대동맥류가 직경 5cm를 넘으면 크기에 따른 1년 내 파열 확률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증명됐다.
지금까지는 통상적으로 대동맥류가 5.5cm-6cm 이상일 경우 파열될 위험이 높다고 판단해 늘어난 대동맥류를 잘라내고 인공혈관을 잇는 수술을 권했지만, 그 기준에 정확한 근거가 없고 구체적으로 분석되지 않아 모든 환자에게 적용하기엔 무리가 있었다.
하지만 이번 연구로 대동맥류 크기에 따른 파열 확률이 구체적으로 증명돼, 적절한 수술 시기를 판단할 수 있어 대동맥 파열로 인한 사망가능성을 낮출 수 있게 됐고 환자들의 예후도 더욱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게 됐다.
또한 기존의 대동맥류 수술 및 연구 기준이 되어온 5.5~6cm보다 더 세밀한 단위별 파열 확률이 분석돼, 향후 대동맥질환의 임상 연구 범위도 확대가 가능할 전망이다.
김준범 교수는 “흉부 대동맥류는 파열될 경우 급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위험한 질환이다. 전조증상이 거의 없기 때문에 건강검진 등을 통해 일단 대동맥류 진단을 받으면 평생 추적관찰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동안 대동맥류 파열확률에 대한 예측과 수술 기준이 미흡했던 게 사실이나, 이번 연구로 의료진이 대동맥류 치료방법을 결정하는 데에 도움을 주고 대동맥류 임상시험의 수준도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심장학회 공식학술지 써큘레이션 온라인 9월호에 게재됐다.
우리 몸의 가장 큰 혈관인 대동맥의 일부가 주머니처럼 늘어진 대동맥류의 크기에 따른 파열 확률을 예측해, 앞으로는 대동맥류가 직경 5cm 이상이면 수술을 권장하는 새로운 가이드라인이 생길 전망이다.
서울아산병원 김준범 흉부외과 교수는 하버드 의과대학 토랄프 썬트 교수팀과 공동으로 수술 없이 약물치료를 시행한 대동맥류 환자 257명의 경과를 분석해 대동맥류 크기에 따른 1년 내 파열 확률을 예측했다고 30일 밝혔다.
그 결과, 직경 5cm 미만의 대동맥류는 파열 확률이 1% 미만이었으나 직경이 커질수록 확률이 증가해, 5cm에서는 5.5~8%, 5.5cm에서 11.2%, 6cm에서는 15.6%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7cm 이상에서는 28.1%로 가파르게 늘어, 대동맥류가 직경 5cm를 넘으면 크기에 따른 1년 내 파열 확률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증명됐다.
▲김준범 교수(사진=서울아산병원) |
지금까지는 통상적으로 대동맥류가 5.5cm-6cm 이상일 경우 파열될 위험이 높다고 판단해 늘어난 대동맥류를 잘라내고 인공혈관을 잇는 수술을 권했지만, 그 기준에 정확한 근거가 없고 구체적으로 분석되지 않아 모든 환자에게 적용하기엔 무리가 있었다.
하지만 이번 연구로 대동맥류 크기에 따른 파열 확률이 구체적으로 증명돼, 적절한 수술 시기를 판단할 수 있어 대동맥 파열로 인한 사망가능성을 낮출 수 있게 됐고 환자들의 예후도 더욱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게 됐다.
또한 기존의 대동맥류 수술 및 연구 기준이 되어온 5.5~6cm보다 더 세밀한 단위별 파열 확률이 분석돼, 향후 대동맥질환의 임상 연구 범위도 확대가 가능할 전망이다.
김준범 교수는 “흉부 대동맥류는 파열될 경우 급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위험한 질환이다. 전조증상이 거의 없기 때문에 건강검진 등을 통해 일단 대동맥류 진단을 받으면 평생 추적관찰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동안 대동맥류 파열확률에 대한 예측과 수술 기준이 미흡했던 게 사실이나, 이번 연구로 의료진이 대동맥류 치료방법을 결정하는 데에 도움을 주고 대동맥류 임상시험의 수준도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심장학회 공식학술지 써큘레이션 온라인 9월호에 게재됐다.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dusdnr1663@mdtoday.co.kr)
'뇌·심혈관계 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닥에 쓰러져 입에 거품을 물고 사지를 격렬히 떠는 ‘이것’ (0) | 2015.10.19 |
---|---|
[건강칼럼] 뇌졸중, 초기부터 ‘재활 치료’를 시작하라 (0) | 2015.10.12 |
심장병 환자들 성행위 하면 안된다고? (0) | 2015.09.24 |
심정지 환자 예후 간편하고 정확하게 예측 가능해졌다 (0) | 2015.09.24 |
노인을 위협하는 3대 질환인 ‘이것’ (0) | 2015.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