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RT1 활성화 약제 콧속으로 투여하자 물혹 80% 감소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
국민 6명 중 1명이 걸리는 축농증, 그 중 콧속 물혹은 숨 쉬기 힘들 정도로 일상생활에 불편하고 잘 낫지 않는 ‘나쁜 병’인데 이를 획기적으로 치료하는 새 치료 약물이 국내 연구팀에 의해 발표됐다.
서울대학교병원은 이비인후과 신현우 교수가 보라매병원 이비인후과 김대우 교수와 함께 코 상피세포에서 발현되는 ‘SIRT1’의 소실이 콧속 물혹 발생의 핵심 원인이라고 23일 밝혔다.
‘SIRT1’은 축농증 발생시 코 상피세포의 염증을 억제하는 단백질이다. 또한 'SIRT1' 활성화 약물인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이 물혹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정상인 8명(A그룹)과 콧속 물혹이 없는 부비동염 환자 12명(B그룹), 콧속 물혹이 있는 부비동염 환자 21명(C그룹)을 대상으로 콧속 상피세포에서 SIRT1 단백질이 얼마나 발현되는지 비교했다.
그 결과 콧속 상피세포 100개 중 SIRT1 발현 세포가 A그룹은 20개, B그룹은 45개, C그룹은 20개 미만으로 나타났다.
즉 히스톤 탈아세틸 효소 중 하나인 SIRT1은 단순 축농증에서는 증가해 과도한 염증을 막아주지만 SIRT1이 없어지면 콧속 물혹이 생길 수 있다.
연구팀은 콧속 물혹 동물모델을 통해 SIRT1이 과발현된 유전자변형(Transgenic) 생쥐에서는 물혹이 거의 없음을 확인했다. 특히 물혹이 많은 생쥐에 SIRT1을 활성화 시켜주는 레스베라트롤을 콧속으로 투여했더니 물혹이 80% 이상 감소했다.
심한 축농증 환자에서는 코 점막이 붓고 콧물이 많아지면서 코 상피세포가 외부 공기와 차단돼 저산소 상태가 되기 쉽다. 이 경우 상피세포는 ‘HIF-1’라는 단백질을 증가시켜 저산소 환경에 적응하게 된다.
이번 연구는 SIRT1이 HIF-1의 기능을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해 SIRT1의 활성화를 통해 HIF-1의 기능을 억제해 물혹을 치료할 수 있다는 가설에 출발했다.
신현우 교수는 “이번 연구는 전신 투여가 아닌 콧속을 통한 약물 투여만으로 물혹의 감소 효과를 보았다는 점에서 향후 전신 부작용이 적은 안전한 치료법의 개발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알레르기 분야 학술지인 ‘알레르기·임상면역학 저널’(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인용지수, IF=11.476)) 최신호에 게재됐다.
국민 6명 중 1명이 걸리는 축농증, 그 중 콧속 물혹은 숨 쉬기 힘들 정도로 일상생활에 불편하고 잘 낫지 않는 ‘나쁜 병’인데 이를 획기적으로 치료하는 새 치료 약물이 국내 연구팀에 의해 발표됐다.
서울대학교병원은 이비인후과 신현우 교수가 보라매병원 이비인후과 김대우 교수와 함께 코 상피세포에서 발현되는 ‘SIRT1’의 소실이 콧속 물혹 발생의 핵심 원인이라고 23일 밝혔다.
‘SIRT1’은 축농증 발생시 코 상피세포의 염증을 억제하는 단백질이다. 또한 'SIRT1' 활성화 약물인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이 물혹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정상인 8명(A그룹)과 콧속 물혹이 없는 부비동염 환자 12명(B그룹), 콧속 물혹이 있는 부비동염 환자 21명(C그룹)을 대상으로 콧속 상피세포에서 SIRT1 단백질이 얼마나 발현되는지 비교했다.
▲신현우-김대우 교수(사진=서울대병원 제공) |
그 결과 콧속 상피세포 100개 중 SIRT1 발현 세포가 A그룹은 20개, B그룹은 45개, C그룹은 20개 미만으로 나타났다.
즉 히스톤 탈아세틸 효소 중 하나인 SIRT1은 단순 축농증에서는 증가해 과도한 염증을 막아주지만 SIRT1이 없어지면 콧속 물혹이 생길 수 있다.
연구팀은 콧속 물혹 동물모델을 통해 SIRT1이 과발현된 유전자변형(Transgenic) 생쥐에서는 물혹이 거의 없음을 확인했다. 특히 물혹이 많은 생쥐에 SIRT1을 활성화 시켜주는 레스베라트롤을 콧속으로 투여했더니 물혹이 80% 이상 감소했다.
심한 축농증 환자에서는 코 점막이 붓고 콧물이 많아지면서 코 상피세포가 외부 공기와 차단돼 저산소 상태가 되기 쉽다. 이 경우 상피세포는 ‘HIF-1’라는 단백질을 증가시켜 저산소 환경에 적응하게 된다.
이번 연구는 SIRT1이 HIF-1의 기능을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해 SIRT1의 활성화를 통해 HIF-1의 기능을 억제해 물혹을 치료할 수 있다는 가설에 출발했다.
신현우 교수는 “이번 연구는 전신 투여가 아닌 콧속을 통한 약물 투여만으로 물혹의 감소 효과를 보았다는 점에서 향후 전신 부작용이 적은 안전한 치료법의 개발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알레르기 분야 학술지인 ‘알레르기·임상면역학 저널’(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인용지수, IF=11.476)) 최신호에 게재됐다.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dusdnr1663@mdtoday.co.kr)
'눈·코·귀·피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 안이 답답해서 풀어보면 누런 콧물이 한가득? (0) | 2015.09.30 |
---|---|
눈이 쉽게 피로하고 뻐근해지기까지? (0) | 2015.09.30 |
우리 국민 10명 중 6명 알레르기 질환으로 병원 찾아 (0) | 2015.09.23 |
자외선차단성분 사용한도 기준 낮아진다 (0) | 2015.09.21 |
가을철 극심해지는 알레르기성 비염…치료 및 예방법은? (0) | 2015.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