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건조증, 야채나 생선 등 식습관 개선하면 침 분비 도움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
술을 마신 다음날이나 땀을 많이 흘린 경우 등 일상생활에서 흔히 겪을 수 있는 구강건조증.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를 대수롭지 않게 여기곤 하는데 만일 입이 마르면서 혀가 갈라지거나 심각한 구취가 난다면 입속 건강을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
침은 잠을 자거나 안정을 취하고 있을 때 자기도 모르게 조금씩 분비돼 항상 입안을 촉촉이 적셔준다. 이렇게 분비되는 침은 건강한 성인의 경우 하루 1.5ℓ정도에 이르지만 계속 삼켜지기 때문에 많다는 것을 못 느낀다.
일반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의 타액분비량이 1분당 0.1㎖ 이하이면 구강건조증으로 진단할 수 있다. 특히 노인들의 경우 침 분비가 현저히 줄어드는데 이는 입주변의 근력이 약해지고 타액선에 자극이 전달되지 않기 때문이다.
구강건조증이란 침샘이 너무 적은 양의 침을 생산하게 돼 입안이 몹시 마르는 증상을 말한다.
이는 당장 질환을 일으키거나 큰 병이 되지 않기 때문에 무심코 지나치는 사람들이 많지만 계속 방치하면 음식섭취부터 구강건강까지 크게 방해받게 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구강건조증은 침 분비기관 자체에 문제가 생겨서 발생하거나 또는 약물로 인한 부작용, 빈혈, 당뇨 등으로 인해서도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스트레스와 같은 정신적인 요인이나 방사선 치료, 계속적인 비타민A의 부족 등도 구강건조증과 연관이 있다. 아울러 항암제나 마약성 진통제, 스테로이드, 항생제, 항히스타민제 등 약물투여로 타액을 분비하는 신경계에 자극이 발생해 구강건조증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구강의 건조감이 심해지면 음식을 삼키기 어렵고 말을 하기 어렵기도 하다. 또한 침이 소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소화 장애도 생길 수 있고 자극적인 음식을 섭취하면 통증을 느낄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침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인 항균작용이 약화돼 충치, 프라그 형성, 치은염 등과 심하면 잇몸질환, 치주질환, 치아소실까지 발생할 수 있다.
전남대 치과병원 구강내과 김병국 교수는 “구강건조증이 있는 환자들은 치아의 표면이 부식돼 치아가 얇아질 수 있으므로 꾸준한 치아관리가 중요하다. 2∼3개월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치과를 방문해 치석제거를 위한 스케일링을 하고 치아에 불소도포를 하면 부식 예방에 좋다”고 말했다.
이어 “많이 씹게 되는 야채, 생선 등으로 식습관을 개선하면 침 분비에 도움이 되며 신진대사 저하로 갈증을 못 느끼는 노인들은 의도적으로 물을 자주 마시는 습관을 갖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dusdnr1663@mdtoday.co.kr)
침은 잠을 자거나 안정을 취하고 있을 때 자기도 모르게 조금씩 분비돼 항상 입안을 촉촉이 적셔준다. 이렇게 분비되는 침은 건강한 성인의 경우 하루 1.5ℓ정도에 이르지만 계속 삼켜지기 때문에 많다는 것을 못 느낀다.
일반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의 타액분비량이 1분당 0.1㎖ 이하이면 구강건조증으로 진단할 수 있다. 특히 노인들의 경우 침 분비가 현저히 줄어드는데 이는 입주변의 근력이 약해지고 타액선에 자극이 전달되지 않기 때문이다.
구강건조증이란 침샘이 너무 적은 양의 침을 생산하게 돼 입안이 몹시 마르는 증상을 말한다.
이는 당장 질환을 일으키거나 큰 병이 되지 않기 때문에 무심코 지나치는 사람들이 많지만 계속 방치하면 음식섭취부터 구강건강까지 크게 방해받게 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구강건조증은 침 분비기관 자체에 문제가 생겨서 발생하거나 또는 약물로 인한 부작용, 빈혈, 당뇨 등으로 인해서도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스트레스와 같은 정신적인 요인이나 방사선 치료, 계속적인 비타민A의 부족 등도 구강건조증과 연관이 있다. 아울러 항암제나 마약성 진통제, 스테로이드, 항생제, 항히스타민제 등 약물투여로 타액을 분비하는 신경계에 자극이 발생해 구강건조증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구강의 건조감이 심해지면 음식을 삼키기 어렵고 말을 하기 어렵기도 하다. 또한 침이 소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소화 장애도 생길 수 있고 자극적인 음식을 섭취하면 통증을 느낄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침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인 항균작용이 약화돼 충치, 프라그 형성, 치은염 등과 심하면 잇몸질환, 치주질환, 치아소실까지 발생할 수 있다.
전남대 치과병원 구강내과 김병국 교수는 “구강건조증이 있는 환자들은 치아의 표면이 부식돼 치아가 얇아질 수 있으므로 꾸준한 치아관리가 중요하다. 2∼3개월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치과를 방문해 치석제거를 위한 스케일링을 하고 치아에 불소도포를 하면 부식 예방에 좋다”고 말했다.
이어 “많이 씹게 되는 야채, 생선 등으로 식습관을 개선하면 침 분비에 도움이 되며 신진대사 저하로 갈증을 못 느끼는 노인들은 의도적으로 물을 자주 마시는 습관을 갖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dusdnr1663@mdtoday.co.kr)
'구강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틀니·치과임플란트, 만 75세→70세 이상으로 보험 확대 (0) | 2015.05.22 |
---|---|
치아 건강 위해서는 과일쥬스 보다 우유 마셔라 (0) | 2015.05.12 |
양악수술은 예뻐지는 수술이다? ‘NO!' (0) | 2015.04.30 |
노화로 인해 지방 줄어든 얼굴…필러로 ‘빵빵’하게 채우기 (0) | 2015.04.30 |
아픈 치아 오랫동안 방치했더니 결국… (0) | 201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