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콩팥병, 저염식 실천하는 것 중요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
우리는 생명과 직결된 심장질환이나 암에는 관심이 많지만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낮은 질환은 간과하곤 한다. 만일 소변을 자주 보고 특히나 밤에 자다가 화장실을 가는 횟수가 부쩍 는다면 '만성콩팥병'을 의심해 봐야 한다.
콩팥은 우리 몸에서 수분과 노폐물을 소변으로 내보낼 뿐 아니라 몸의 산도와 수분 삼투압, 혈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전해질의 농도를 조절하는 등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적혈구 생성 호르몬, 뼈를 튼튼하게 하는 호르몬을 분비한다.
만성콩팥병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콩팥이 손상돼 콩팥 기능이 감소된 상태로서 병이 진행돼 콩팥기능이 많이 감소하면 노폐물과 수분이 우리 몸에 많이 쌓이게 돼 증상이 나타난다.
콩팥 기능이 떨어지면 피로감을 잘 느끼고 기운이 없으며 집중력이 떨어진다. 또한 입맛을 잃거나 식욕이 떨어지며 수면장애가 생기고 수면 중 쥐가 나기도 하고 발목이 붓고 아침에 눈 주위가 푸석푸석하며 피부는 건조하고 가렵다. 더불어 소변을 자주 보고 특히 밤에 자다가 화장실을 가는 횟수가 는다.
그러나 이런 증상은 모호해 적절한 검사를 받지 않으면 콩팥의 기능이 대부분 없어지는 말기 신부전 직전까지 모르고 지내는 경우가 많다.
국내 만성콩팥병의 주요 원인은 당뇨병, 고혈압, 사구체 신장염이다. 당뇨병 환자가 혈당 조절이 잘 되지 않으면 서서히 혈관이 망가지는데 혈관으로 이뤄진 콩팥도 손상돼 소량의 알부민이 소변으로 빠져 나간다.
당뇨병성 만성콩팥병 환자는 일반 당뇨병 환자와 달리 인슐린 요구량의 변화 폭이 크고 경구용 혈당 강하제에 의한 저혈당 위험도 크다. 또 고혈압이 잘 조절되지 않으며 심혈관 및 말초혈관질환의 위험성이 더 높다.
콩팥 손상이 더 진행되면 단백뇨가 나타나고 눈자위나 손발이 붓는 부종이 발생하며 고혈압과 동맥경화증이 심해지면서 결국 만성신부전 상태에 이르게 된다.
계명대 동산병원 신장내과 한승엽 교수는 "만성콩팥병의 경우 지나친 소금의 섭취는 몸 안의 체액을 증가시켜 혈압을 높이는 원인이 되는 만큼 저염식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만성콩팥병은 초기에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특별한 증상이 없어도 당뇨병이나 고혈압 환자 혹은 그 가족들은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조기에 발견하고 철저히 관리를 받아야 말기신부전으로 진행을 막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dusdnr1663@mdtoday.co.kr)
콩팥은 우리 몸에서 수분과 노폐물을 소변으로 내보낼 뿐 아니라 몸의 산도와 수분 삼투압, 혈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전해질의 농도를 조절하는 등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적혈구 생성 호르몬, 뼈를 튼튼하게 하는 호르몬을 분비한다.
만성콩팥병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콩팥이 손상돼 콩팥 기능이 감소된 상태로서 병이 진행돼 콩팥기능이 많이 감소하면 노폐물과 수분이 우리 몸에 많이 쌓이게 돼 증상이 나타난다.
콩팥 기능이 떨어지면 피로감을 잘 느끼고 기운이 없으며 집중력이 떨어진다. 또한 입맛을 잃거나 식욕이 떨어지며 수면장애가 생기고 수면 중 쥐가 나기도 하고 발목이 붓고 아침에 눈 주위가 푸석푸석하며 피부는 건조하고 가렵다. 더불어 소변을 자주 보고 특히 밤에 자다가 화장실을 가는 횟수가 는다.
그러나 이런 증상은 모호해 적절한 검사를 받지 않으면 콩팥의 기능이 대부분 없어지는 말기 신부전 직전까지 모르고 지내는 경우가 많다.
국내 만성콩팥병의 주요 원인은 당뇨병, 고혈압, 사구체 신장염이다. 당뇨병 환자가 혈당 조절이 잘 되지 않으면 서서히 혈관이 망가지는데 혈관으로 이뤄진 콩팥도 손상돼 소량의 알부민이 소변으로 빠져 나간다.
당뇨병성 만성콩팥병 환자는 일반 당뇨병 환자와 달리 인슐린 요구량의 변화 폭이 크고 경구용 혈당 강하제에 의한 저혈당 위험도 크다. 또 고혈압이 잘 조절되지 않으며 심혈관 및 말초혈관질환의 위험성이 더 높다.
콩팥 손상이 더 진행되면 단백뇨가 나타나고 눈자위나 손발이 붓는 부종이 발생하며 고혈압과 동맥경화증이 심해지면서 결국 만성신부전 상태에 이르게 된다.
계명대 동산병원 신장내과 한승엽 교수는 "만성콩팥병의 경우 지나친 소금의 섭취는 몸 안의 체액을 증가시켜 혈압을 높이는 원인이 되는 만큼 저염식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만성콩팥병은 초기에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특별한 증상이 없어도 당뇨병이나 고혈압 환자 혹은 그 가족들은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조기에 발견하고 철저히 관리를 받아야 말기신부전으로 진행을 막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dusdnr1663@mdtoday.co.kr)
'비뇨기계·남성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영제 의한 급성신부전 발생률 1/3로 낮추는 새 예방법 효과 입증 (0) | 2014.10.29 |
---|---|
남성 불임 ‘이것’ 때문이라고? (0) | 2014.10.13 |
매일 다리가 퉁퉁 부어있다? (0) | 2014.09.22 |
'피스타치오' 매일 먹으면 당뇨병 예방 (0) | 2014.09.04 |
신장결석 앓은 사람 '뇌졸중' 위험 40% 높아 (0) | 2014.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