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병원 쏠림 현상, 가속화 우려
[메디컬투데이 박민욱 기자]
원격의료와 관련해 의료계는 일차의료가 일차의료의사에 의해 의원급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제공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이평수 연구위원은 최근 국회에서 열린 ‘원격의료 과연 필요한가?’ 정책토론회에서 이와 같이 밝혔다.
앞서 보건복지부는 원격의료를 추진하면서 동네의원 중심으로 허용되기 때문에 오히려 경영난에 직면한 동네의원 운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거라고 기대했다.
하지만 그 전에 일차의료를 활성화 한 후 원격의료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이 지적됐다.
이평수 연구위원은 “일차의료 기능 강화를 위해서는 원격의료 도입 이전에 의료제공체계에 대한 현 상태의 개선이 전제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현재는 일차의료 구분 없이 대형병원이 모든 외래환자를 흡수하고 있는 상태를 지적한 것이다.
그는 이어 “현재 상태의 개선 없이 원격의료가 도입될 경우 일차의료를 비롯한 외래환자의 대형병원 집중은 심화 될 것이다”고 내다봤다.
원격의료를 수행할 수 있는 인력, 장비, 기술 등이 대형병원이 월등해 대형병원을 이용하던 환자들이 원격의료가 시행이 돼도 대형병원을 지속적으로 이용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이 연구위원은 “정부는 원격의료가 일차의료 기능을 강화하는 방안이라고 주장하려면 현재 대면진료 상태에서 외래환자들이 대형병원으로 무분별하게 집중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메디컬투데이 박민욱 기자(hopewe@mdtoday.co.kr)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이평수 연구위원은 최근 국회에서 열린 ‘원격의료 과연 필요한가?’ 정책토론회에서 이와 같이 밝혔다.
앞서 보건복지부는 원격의료를 추진하면서 동네의원 중심으로 허용되기 때문에 오히려 경영난에 직면한 동네의원 운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거라고 기대했다.
하지만 그 전에 일차의료를 활성화 한 후 원격의료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이 지적됐다.
이평수 연구위원은 “일차의료 기능 강화를 위해서는 원격의료 도입 이전에 의료제공체계에 대한 현 상태의 개선이 전제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현재는 일차의료 구분 없이 대형병원이 모든 외래환자를 흡수하고 있는 상태를 지적한 것이다.
그는 이어 “현재 상태의 개선 없이 원격의료가 도입될 경우 일차의료를 비롯한 외래환자의 대형병원 집중은 심화 될 것이다”고 내다봤다.
원격의료를 수행할 수 있는 인력, 장비, 기술 등이 대형병원이 월등해 대형병원을 이용하던 환자들이 원격의료가 시행이 돼도 대형병원을 지속적으로 이용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이 연구위원은 “정부는 원격의료가 일차의료 기능을 강화하는 방안이라고 주장하려면 현재 대면진료 상태에서 외래환자들이 대형병원으로 무분별하게 집중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메디컬투데이 박민욱 기자(hopewe@mdtoday.co.kr)
'공동체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현주 의원 “두루누리사업 수혜자 88.2%가 기존 가입자” (0) | 2014.09.15 |
---|---|
실업급여 받는 동안, 국민연금 국가가 보조 입법 추진 (0) | 2014.09.15 |
복지부, 폭우로 침수된 지역 취약 독거노인 지원 (0) | 2014.09.03 |
서울시, 내년부터 생활임금제 도입…시급 6582원 (0) | 2014.09.03 |
정부지원 일자리·복지사업 정보 '한눈에' (0) | 2014.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