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투데이 신현정 기자]
실명을 유발할 수 있는 안질환 치료에 비싸고 불편한 주사대신 사용할 수 있는 안약이
개발됐다.
10일 컬리지런던대 연구팀이 'Small'지에 밝힌 연구결과에 의하면 75세 이상 고령자중 20% 가량이 앓는 노인성황반변성 같은 실명을 유발하는 안질환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을 치료할 수 있는 안약이 개발됐다.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추세와 더불어 노인성황반변성과 이와 유사한 질환을 앓는 사람의 수는 점점 증가하며 이에 따라 이 같은 질환의 진행을 멈추게 하는 주사용 약물의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주사용 약물은 환자들이 사용하기에 매우 불편할 뿐 아니라 시간과 비용 부담도 크고 주사하기도 어려우며 감염과 출혈의 위험 역시 높다.
2010년의 경우 미국에서만 약 100만건 이상의 안 주사 치료가 시행됐으며 영국에서는 2008년 3만500건 시행 10년 전 보다 150배 증가했다.
그러나 이번 연구결과 노인성황반변성 같은 실명을 유발하는 질환이 안 주사 대신 안약을 사용 치료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에는 아바스틴과 루센티스 같은 노인성황반변성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 물질이 너무 커 각막을 통해 망막으로 전달될 수 없는 것으로 생각됐으나 이번 연구결과 나노입자가 각막을 통해 망막으로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컬리지런던대 사업부인 technology transfer 회사는 이 같은 안약 기술에 대한 특허를 내고 현재 개발 진행 속도를 내기 위한 상업적 파트너를 찾고 있다라고 밝혔다.
메디컬투데이 신현정 기자(choice0510@mdtoday.co.kr)
10일 컬리지런던대 연구팀이 'Small'지에 밝힌 연구결과에 의하면 75세 이상 고령자중 20% 가량이 앓는 노인성황반변성 같은 실명을 유발하는 안질환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을 치료할 수 있는 안약이 개발됐다.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추세와 더불어 노인성황반변성과 이와 유사한 질환을 앓는 사람의 수는 점점 증가하며 이에 따라 이 같은 질환의 진행을 멈추게 하는 주사용 약물의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주사용 약물은 환자들이 사용하기에 매우 불편할 뿐 아니라 시간과 비용 부담도 크고 주사하기도 어려우며 감염과 출혈의 위험 역시 높다.
2010년의 경우 미국에서만 약 100만건 이상의 안 주사 치료가 시행됐으며 영국에서는 2008년 3만500건 시행 10년 전 보다 150배 증가했다.
그러나 이번 연구결과 노인성황반변성 같은 실명을 유발하는 질환이 안 주사 대신 안약을 사용 치료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에는 아바스틴과 루센티스 같은 노인성황반변성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 물질이 너무 커 각막을 통해 망막으로 전달될 수 없는 것으로 생각됐으나 이번 연구결과 나노입자가 각막을 통해 망막으로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컬리지런던대 사업부인 technology transfer 회사는 이 같은 안약 기술에 대한 특허를 내고 현재 개발 진행 속도를 내기 위한 상업적 파트너를 찾고 있다라고 밝혔다.
메디컬투데이 신현정 기자(choice0510@mdtoday.co.kr)
'눈·코·귀·피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명원인 2위는 이것 때문? (0) | 2014.03.24 |
---|---|
청력 나빠지면 우울증 위험 높아져 (0) | 2014.03.14 |
[100세 건강] 노인들 피부 관리에 유의하자! (0) | 2014.03.10 |
가까이 있는 물건이 잘 안보인다? (0) | 2014.02.25 |
노인들, 염색 시 주의할 점? (0) | 2014.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