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투데이 김진영 기자]
마른 체형에서 생기는 한국형 2형 당뇨의 수술 치료 효과가 시간이 경과 할수록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당뇨병 완치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특히 수술 후 3년째부터는 혈당조절이 급격히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순천향대학교서울병원 외과 허경열 교수팀이 국제비만대사수술학회에 발표할 예정인 자료에 의하면 수술 전 평균 당화혈색소가 9.14%였던 대상 환자들이 수술 1년 후에는 6.66%로 2년 후에는 6.49% 떨어졌고 3년이 지난 후에는 6.06%로 조절되는 효과를 보였다.
또한 개인별 치료효과를 백분율로 환산해보면 당화혈색소 7.0%미만(개선)을 치료목표로 할 경우 1년 후가 66%, 2년은 79%, 3년은 88%가 치료목표에 도달했다. 당화혈색소 6.5%미만(부분관해)을 치료목표로 잡았을 경우에도 1년, 2년, 3년 후에 각각 45%, 59%, 88%로 나타나 시간이 지날수록 급격히 좋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허경열 교수는 “수술 2∼3년 후 정상이 된 환자들 모두 당뇨 유병기간이 20~30년 이상이었고 인슐린이나 경구혈당강하제, 민간요법으로도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던 난치성 환자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더욱 의미 있는 결과”라고 강조했다.
또한 “비만에 의한 당뇨병의 경우 수술 후 지방세포가 적어지면서 인슐린 저항성도 좋아지기 때문에 1년 이내에 고혈당 증상이 좋아진다. 그러나 비만하지 않은 한국형 당뇨에서는 수술로 인크레틴(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 위장관 호르몬)의 분비를 조절하기 때문에 췌장세포의 증식과 저항성이 없어지는데 시간이 소요된다”며 “연구를 계속해 당뇨병 완치에 도전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2009년 8월부터 최근까지 168명의 비만을 동반하지 않은 고혈당증 환자를 축소 위 우회술로 치료한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2012년 12월말까지 수술 후 3년 이상 경과한 환자는 총 19명이었으며 이중 추적 관찰이 가능한 9명의 평균 당화혈색소가 6.06%였다.
나머지 환자는 지방에 거주하거나 재외교포로 전화통화로 혈당상태를 확인한 결과 대부분 정상으로 답변했지만 통계에는 포함하지 않았다.
연구결과는 올해 4월 대만에서 개최되는 국제비만대사수술학회(IFSO-APC, international federation of surgery for obesity : Asia Pacific chapter)를 통해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학술대회의 조직위원을 맡고 있는 허경열 교수는 특히 초청연자와 좌장을 맡아 우리나라의 당뇨수술 현황을 세계에 알릴 예정이다.
'당뇨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 환자 심장마비 사망 위험 2배 (0) | 2013.02.20 |
---|---|
당뇨병, 이제는 극복할 수 있다 * (0) | 2013.02.13 |
성인 10명중 1명이 당뇨병환자? 젊은이들 ‘빨간불’ (0) | 2013.01.14 |
만성질환자 운동하기 ① 당뇨병 (0) | 2012.12.26 |
당뇨병 환자의 저용량 아스피린 복용, 심혈관계 질환 예방 못해 (0) | 2012.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