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낮은 기온, 근육과 관절 유연성 떨어뜨려… 근골격계 부상 많아
[메디컬투데이 김소희 기자]
전국 스키장들이 개장하며 스키와 스노보드의 계절이 돌아왔다. 그러나 겨울철의 낮은 기온은 근육을 수축시켜 유연성을 떨어뜨리고 이로 인해 부상을 입기 쉬운 상태가 되기 쉽다.
실제로 한국소비자원의 조사에 따르면 2010년과 2011년 각 시즌에 접수된 스키장 사고건수는 각각 286건과 281건이며 이중 57.6%가 ▲골절 ▲염좌 ▲긴장 ▲삠 ▲탈구 등 근골격계 부상으로 보고됐다.
하지만 이때 몇 가지 주의사항만 알아둔다면 겨울 레포츠의 꽃인 스키와 스노보드를 안전하게 즐길 수 있다는 것. 이에 부민병원이 안전하게 겨울레포츠를 즐기다 발생할 수 있는 위험상황과 예방법에 대해 발표했다.
스키를 타다가 당할 수 있는 사고 중 흔한 것이 바로 십자인대파열이다. 십자인대는 무릎관절을 지탱하는 4개의 인대가 X자 모양을 하고 있는 것으로 전방과 후방으로 나뉘며 허벅지뼈와 종아리뼈를 연결해 무릎이 앞뒤로 흔들리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십자인대는 스키를 타다가 주저앉거나 회전력이 가해지는 갑작스러운 동작으로 파열되는데 이때 뚝 하는 느낌과 극심한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며칠 후 아무렇지 않은 듯 통증이 사라지고 보행에도 큰 문제가 없는 경우가 많아 그저 살짝 삔 것으로 오인하고 방치하기 쉽다.
그러나 이를 방치할 경우 이차적으로 반월상 연골판의 손상으로 발전할 수 있고 더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는 퇴행성 관절염으로도 진행됨으로 초기에 정확한 전문치료가 중요하다.
스노보드의 경우 스키보다 발이 자유롭지 않아 사고 위험성이 더욱 높다. 특히 고공점프를 시도하다가 착지 과정에서 뒤로 잘못 떨어져 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많은데 ‘점퍼 골절’라는 별명이 있을 정도다.
이는 고관절 및 요추에 금이 가거나 부러지는 골절상에서 그치지 않고 심할 경우에는 신경손상으로 이어져 하반신 마비 등의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또한 넘어질 때 손으로 바닥을 짚으면서 손목 골절이나 염좌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스노보드를 타다가 넘어질 때는 손목으로 바닥을 짚지 말고 앉는 자세를 취해 엉덩이에 체중을 실어야 부상위험을 낮출 수 있다.
부민병원 관절센터 정봉성 과장은 “사고를 당했을 경우 통증 때문에 자기도 모르게 손상 부위를 만지거나 주무르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자칫 손상만 악화시킬 수 있음으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사고를 당한 경우 억지로 일어나려고 하지 말고 부상 부위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 다음 주위의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부민병원에 따르면 스키와 스노보드 등 겨울레포츠를 즐길 때 척추·관절 부상 예방하기 위해서는 최소 15분에서 30분 정도 스트레칭을 해줘 몸을 데워준다. 또 무릎 보호대나 엉덩이 보호대, 손목 보호대 등의 안전장치를 착용한다.
아울러 자신에게 맞는 슬로프를 선택하고 눈이 녹는 2~4시 사이에는 슬로프 이용을 피하는 것이 좋다. 뿐만 아니라 피곤할 때 스키 등을 타지 않도록 하고 평소 허벅지 앞뒤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통해 부상의 위험을 낮추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운동을 끝마친 후에는 뜨거운 물로 샤워를 하거나 반신욕을 통해 몸의 피로와 근육들을 풀어줘야 한다.
실제로 한국소비자원의 조사에 따르면 2010년과 2011년 각 시즌에 접수된 스키장 사고건수는 각각 286건과 281건이며 이중 57.6%가 ▲골절 ▲염좌 ▲긴장 ▲삠 ▲탈구 등 근골격계 부상으로 보고됐다.
하지만 이때 몇 가지 주의사항만 알아둔다면 겨울 레포츠의 꽃인 스키와 스노보드를 안전하게 즐길 수 있다는 것. 이에 부민병원이 안전하게 겨울레포츠를 즐기다 발생할 수 있는 위험상황과 예방법에 대해 발표했다.
스키를 타다가 당할 수 있는 사고 중 흔한 것이 바로 십자인대파열이다. 십자인대는 무릎관절을 지탱하는 4개의 인대가 X자 모양을 하고 있는 것으로 전방과 후방으로 나뉘며 허벅지뼈와 종아리뼈를 연결해 무릎이 앞뒤로 흔들리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십자인대는 스키를 타다가 주저앉거나 회전력이 가해지는 갑작스러운 동작으로 파열되는데 이때 뚝 하는 느낌과 극심한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며칠 후 아무렇지 않은 듯 통증이 사라지고 보행에도 큰 문제가 없는 경우가 많아 그저 살짝 삔 것으로 오인하고 방치하기 쉽다.
그러나 이를 방치할 경우 이차적으로 반월상 연골판의 손상으로 발전할 수 있고 더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는 퇴행성 관절염으로도 진행됨으로 초기에 정확한 전문치료가 중요하다.
스노보드의 경우 스키보다 발이 자유롭지 않아 사고 위험성이 더욱 높다. 특히 고공점프를 시도하다가 착지 과정에서 뒤로 잘못 떨어져 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많은데 ‘점퍼 골절’라는 별명이 있을 정도다.
이는 고관절 및 요추에 금이 가거나 부러지는 골절상에서 그치지 않고 심할 경우에는 신경손상으로 이어져 하반신 마비 등의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또한 넘어질 때 손으로 바닥을 짚으면서 손목 골절이나 염좌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스노보드를 타다가 넘어질 때는 손목으로 바닥을 짚지 말고 앉는 자세를 취해 엉덩이에 체중을 실어야 부상위험을 낮출 수 있다.
부민병원 관절센터 정봉성 과장은 “사고를 당했을 경우 통증 때문에 자기도 모르게 손상 부위를 만지거나 주무르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자칫 손상만 악화시킬 수 있음으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사고를 당한 경우 억지로 일어나려고 하지 말고 부상 부위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 다음 주위의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부민병원에 따르면 스키와 스노보드 등 겨울레포츠를 즐길 때 척추·관절 부상 예방하기 위해서는 최소 15분에서 30분 정도 스트레칭을 해줘 몸을 데워준다. 또 무릎 보호대나 엉덩이 보호대, 손목 보호대 등의 안전장치를 착용한다.
아울러 자신에게 맞는 슬로프를 선택하고 눈이 녹는 2~4시 사이에는 슬로프 이용을 피하는 것이 좋다. 뿐만 아니라 피곤할 때 스키 등을 타지 않도록 하고 평소 허벅지 앞뒤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통해 부상의 위험을 낮추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운동을 끝마친 후에는 뜨거운 물로 샤워를 하거나 반신욕을 통해 몸의 피로와 근육들을 풀어줘야 한다.
메디컬투데이 김소희 기자(kimsh333@mdtoday.co.kr)
'운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본격적인 스키시즌 개막, 겨울 레포츠 부상없이 즐기려면 (0) | 2012.11.30 |
---|---|
근력 약한 청소년 조기 사망 위험 높아 * (0) | 2012.11.23 |
겨울철 파워워킹, 잘못하면 골병든다 (0) | 2012.11.21 |
[건강서적] 수술 없이 통증 잡는 법 (0) | 2012.11.19 |
‘핫요가’의 매력에 빠지다 (0) | 2012.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