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청소년·청년 건강

스마트 교육 추진, 아이들 건강 대책은 뒷전(?) *

pulmaemi 2012. 10. 18. 11:10

전자파 피해, 집중력 결핍 등 문제에도 해결방안 ‘전무’

 

[메디컬투데이 안상준 기자]

최근 일부 학교에서 디지털교과서 등의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일명 ‘스마트 교육’을 추진하고 있지만 스마트 기기 중독현상, 전자파 피해 등의 학생 건강 문제가 함께 발생하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스마트 교육 추진전략’은 필연적으로 개인용 디지털기기 활용을 촉진시킬 수밖에 없다. 그러나 개인용 디지털 기기 활용 촉진은 학생과 학부모들에게 여러 가지 ‘고려하지 않은 피해’를 입힐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 급증하는 스마트폰 중독에 스마트 교육까지

2011년부터 급증하기 시작한 스마트폰은 그 증가세가 급등해 전체 청소년 중에서 15%가 스마트폰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중 11.4%는 ‘스마트폰 중독’ 증상을 보이고 있어 빠른 속도로 인터넷 중독을 추월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 ‘스마트 교육’을 이유로 아이들이 손에서 스마트 기기를 놓지 않고 있다 보니 하루 종일 전자파에 노출돼 있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 것이다.

아동의 경우 어른보다 머리뼈가 얇고 뇌의 혈류속도가 빨라 전자파를 더 잘 받아들이고 전자파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이러한 전자파 노출은 ADHD로 이어지기도 하는데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단국대 의대 연구진이 2008년~2010년 전국 10개 도시 3~5학년 초등학생 2000명을 대상으로 역학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휴대폰을 30~70시간만 사용해도 ADHD 발병 위험이 4.34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 스마트 교육, 전자파 피해·집중력 결핍 피할 수 없어

전문가들은 만약 아이들이 스마트 기기를 통해 학교에서 종일 수업을 받고 이를 통해 또 다시 개별적으로 학습을 한다면 스마트 기기 중독현상, 전자파 피해, 집중력 결핍과 같은 정신적, 신체적 피해를 염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한다.

이와 같은 우려는 지난 2007년부터 추진돼 온 디지털 교과서 연구학교에서도 실제로 나타나고 있으며 특정 과목에 한해 일부 학급에서만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우려할만한 상황이 보고된 바 있다.

디지털 교과서 연구학교에서 발생한 태블릿 PC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3시간 이상 장시간 사용 시 눈과 머리가 아프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어깨허리 등 자세와 시력이 저하되는 현상들이 꼽혔다.

또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할 시 아이들의 집중력이 오히려 저하되거나 수업 집중도가 떨어지는 부분도 지적됐다. 아울러 학생들의 건강 문제 우려와 상호작용의 부족으로 올바른 인성을 키우기 어렵다는 부분도 문제로 떠올랐다.

이에 당시 디지털 교과서 연구학교는 장기간에 걸쳐 좀 더 체계적인 연구로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 아이들 건강 및 실질적 대책은 사실상 ‘전무’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난해 6월 국가정보화전력회의에서 ‘스마트 교육 추진전략’을 보고할 당시 이명박 대통령도 스마트 교육으로 인해 학생들의 사회성 저하를 우려한 바 있다.

이처럼 스마트 교육을 전면 도입할 경우 학생들의 건강과 학습 능력 저하 등의 여러 가지 역기능이 예상되고 우려가 제기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교육학술정보원의 대책은 사실상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교육학술정보원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교육학술정보원이 집행하는 스마트 교육과 관련해 집행되는 예산은 82억6000만원 수준이다. 하지만 82억 상당의 예산 중 스마트 교육으로 인한 학생들의 건강 문제와 관련해 사용되는 예산은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게임중독 예방제도 안내영상 및 리플렛 제작비용’ 2000만원이 전부였다.

이는 올해 교육학술정보원이 집행하는 스마트 교육 관련 전체 예상 중 약 0.24%에 불과한 비중이다.

이와 관련해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소속 유은혜 의원(민주통합당)은 “스마트 기기 사용으로 인한 역기능과 관련해서는 주로 불법 동영상이나 음란물, 욕설과 관련한 정보통신 윤리교육을 진행하고 있는데 이것까지 포함한다고 해도 2억원 밖에 되지 않는다”며 “아이들의 건강 및 실질적인 대책은 거의 전무한 실정으로 봐도 무리가 없다”고 주장했다.

학부모 단체의 한 관계자도 “스마트 기기의 전자파 노출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다면 스마트 교육은 순기능보다 역기능이 더 많을 가능성이 높다”며 “또한 스마트 기기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해 학습권을 저해 받는 학생에 대한 부분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메디컬투데이 안상준 기자(lgnumber1@md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