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투데이 김진영 기자]
오메가-3-지방산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노화와 연관된 생물학적 주 과정을 늦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오하이오주립대 연구팀이 'BRAIN' 저널에 밝힌 연구결과에 의하면 과체중이지만 건강한 중년과 고령 성인들의 경우 4개월 동안 오메가-3-지방산을 보충하는 것이 백혈구 세포내 DNA 미세 분절을 보존하도록 돕는 방식으로 지방산 섭취 비를 변형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텔로미어라는 이 같은 분절은 노화의 결과로 여러 종의 세포에서 시간이 지나면서 짧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바 이번 연구결과 면역세포내 텔로미어 길이가 식사중 다른 지방산에 비해 오메가-3-지방산을 많이 섭취한 사람들에서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오메가-3-지방산 보충은 혈중 과도한 유리기에 의해 유발되는 산화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위약 섭취시에 비해 15% 가량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 영양 보충을 통해 노화를 실제로 억제할 수 있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것이 매우 고무적이다"라고 강조했다.
5일 오하이오주립대 연구팀이 'BRAIN' 저널에 밝힌 연구결과에 의하면 과체중이지만 건강한 중년과 고령 성인들의 경우 4개월 동안 오메가-3-지방산을 보충하는 것이 백혈구 세포내 DNA 미세 분절을 보존하도록 돕는 방식으로 지방산 섭취 비를 변형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텔로미어라는 이 같은 분절은 노화의 결과로 여러 종의 세포에서 시간이 지나면서 짧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바 이번 연구결과 면역세포내 텔로미어 길이가 식사중 다른 지방산에 비해 오메가-3-지방산을 많이 섭취한 사람들에서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오메가-3-지방산 보충은 혈중 과도한 유리기에 의해 유발되는 산화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위약 섭취시에 비해 15% 가량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 영양 보충을 통해 노화를 실제로 억제할 수 있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것이 매우 고무적이다"라고 강조했다.
메디컬투데이 김진영 기자(yellow8320@mdtoday.co.kr)
'먹거리와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졸중 예방, 식생활 개선 통해 나트륨 섭취 줄여야 (0) | 2012.10.10 |
---|---|
따뜻한 커피 한잔의 미학 (0) | 2012.10.10 |
‘소금 범벅’ 치킨, 세 조각만 먹으면 나트륨 ‘포식’ (0) | 2012.10.04 |
감기 예방 위해 '비타민 D' 보충은 도움 안 돼 (0) | 2012.10.04 |
하루에 커피만 5잔, ‘설마 카페인 중독은 아니겠지?’ (0) | 2012.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