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연 중독에 대한 약물 치료에 대해 보험급여가 적용될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화이자제약 주최로 지난 25일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2011 흡연 중단의 트렌드’에 참석한 연자들은 ‘챔픽스(바레니클린)’ 등의 약물을 통한 흡연 중독 치료에 대해 경제적·사회적 효과를 언급하면서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정부의 조치를 강조했다.
|
▲ 가톨릭대 김대진 교수 |
첫 번째 강연을 맡은 가톨릭대 김대진 교수는 “흡연을 의지로 끊는 것은 이를 생으로 뽑는 것이나 마찬가지”라며 “기업과 정부, 의사가 네트워크를 형성해 흡연에 대한 생물학적 치료가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면 국민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대진 교수는 흡연 치료의 급여적용에 대해서 “흡연으로 인해 여러 사회적 문제와 질병이 생김에 따라 선진국에서는 흡연 중독의 치료에 대해 급여를 적용하고 있는 추세”라며 “국내에서도 알콜 중독 치료의 경우 급여가 적용되고 있는 만큼 니코틴 중독에 대해서도 점차 수순을 밟아갈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실제로 영국과 호주에서도 흡연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폐해가 매년 급증함에 따라 바레니클린와 같은 약물에 보험급여를 적용하는 등 세계적으로 보험정책 시행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김대진 교수는 “담배에 대한 세금으로 엄청난 돈을 거둬가고 있는데, 흡연자 입장으로선 세금은 엄청 내놓고 끊을 때는 국가로부터 몇 십만원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고 꼬집어 비판했다.
|
▲ 인제대 김철환 교수 |
다음으로 연자에 나선 인제대 김철환 교수는 “국내 흡연자가 100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와 있는 만큼 흡연은 여러 질병의 원인인데다, 전체 암 환자의 30%는 뇌경색 등 흡연을 하지 않으면 발병되지 않았을 질환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철환 교수는 이어 “이를 감안하면 흡연 중독 치료를 위한 약물에 대해 급여를 적용하는 것은 오히려 보험재정 등 국가 경제적인 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적용하는 것이 맞다”며 “흡연자를 위해 강력한 규제와 지원 정책이 시행되는 것에 대해 찬성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그는 “본인 부담률을 제한적으로 적용하는 등 흡연 치료에 대한 급여를 단계적으로 늘려나갈 수 있도록 정부가 의지를 가져야 할 것”이라면서 “흡연자들이 흡연을 중단할 수 있도록 시도할 방법은 무궁무진한데, 정부가 안하려고 하고 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