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D(만성폐쇄성폐질환)질환이 국민의 인지도 뿐만 아니라 정부의 무관심도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은 초기단계에서 환자가 장기간에 걸쳐 기침, 가래 등을 호소하며, 중증의 경우 기본적인 일상생활도 못할 정도로 호흡량이 부족해진다. 또한 심한 호흡곤란으로 탈진상태에 이르며, 심해질 경우 혼수상태에 빠지기도 한다.
이 같은 COPD를 검진하기 위해서는 폐활량 측정기가 있어야 하는데, 보건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폐활량 측정기 수량은 터무니없이 부족한 것.
지난 26일 밀레니엄 서울 힐튼호텔에서 개최된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기자간담회에서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김영균 학술이사는 ‘COPD의 이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COPD는 간단한 폐기능 검사로 조기검진만 잘하면 충분히 완치가 가능한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폐활량측정기의 보급률이 낮아 접근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 2007년 폐활량 측정기 보급률 현황
구분 |
계 |
종합병원 |
병원 |
의원 |
보건기관 |
요양기관현황 |
13,461 |
302 |
1,504 |
11,404 |
251 |
폐활량측정기 보유대수 |
4,594 |
457 |
561 |
3,561 |
15 |
평균 보급률(%) |
34.1 |
151.3 |
37.3 |
31.2 |
6 |
김영균 이사가 근거로 사용한 건강보험공단의 2007년 발표 자료에 따르면 302개의 종합병원에서 보유하고 있는 폐활량 측정기수는 457대로 평균 보급률은 151.3%에 달하는 반면, 251개의 보건소에서는 6%인 총 15개의 폐활량 측정기만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보건소에서 100곳 중 단 6곳만 폐활량 측정기를 보유하고 있는 셈으로, 31%인 일반의원급의 5분의 1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어 김영균 이사는 “COPD라 하면 생소할 수 있겠지만, 전세계적으로 에이즈, 암과 더불어 4번째 사망 원인에 이르는 심각한 질환”이라며 “40세 이상의 경우 만성적인 기침 등의 의심요인이 있다면 정기적으로 폐기능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학회의 한 관계자는 “실제로 폐활량 측정기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호흡기내과나 흉부내과 등 호흡기관련 전문의가 있어야 한다”며 “보건소에서 근무하는 대부분이 가정의학과 출신이거나 공보의인 점을 감안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COPD 환자가 집에서 사용하는 산소발생기는 2008년에 급여 인정을 받았는데, 이 과정에서도 복지부는 “법에 해당 규정이 없다”며 학회와 전문가들의 건의를 수차례 반려시켰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 관계자는 “현재는 집에서 사용하는 고압의 산소통에 대해선 급여가 인정되고 있으나, 이동용 산소발생기에 대해선 급여가 인정되지 않고 있다”며 “현재 이에 대해 복지부와 상의하기로 예정이 잡혀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기자간담회에서는 서울시내의 택시 운전자 7명 중 1명은 COPD 의심환자이고, 일반인 70%와 택시 운전자 90%가 COPD에 대해 모르고 있다는 내용의 조사결과가 발표됐으며, 토론자들은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